[카테고리:] Uncategorized

  • 보건교육학 / 오타와 헌장 / 행동주의 강화 원칙 /인지주의 이론 /구성주의 학습전략

    목차

    없음

    본문내용

    1. 오타와 헌장의 건강증진 주요전략과 활동수단을 기술하시오.
    주요 전략 : 첫 번째 건강에 유리한 조건 창출을 위한 옹호 활동을 전개하였고, 두 번째 건강 잠재력을 달성하도록 기회와 기술을 보장하였다 세 번째 건강 추구 보장을 위한 집단 간 조정을 주요 3개지 전략으로 세웠습니다.
    활동 수단
    1) 건강한 공공서비스 제공을 위한 정책 입안하는 것
    2) 건강 지지적 환경을 조성하는 것 (ex. 안전 작업환경, 건강 지지적 생활 환경)
    3) 지역사회 행동을 강화하는 것 (ex. 대중의 참여 촉진, 지역사회의 역량을 높이는 것)
    4) 개인의 기량을 개발하는 것
    5) 보건 서비스의 재편성 (예전의 치료중심에서 예방과 건강증진 방향으로 재편성)

    2. 행동주의 강화원리로서 쾌 자극, 혐오 자극을 주기/뺏기로 나누어 설명하시고, ‘새롭게 금연을 시작한 청소년’에서 적용할 수 있는 강화 방안을 순차적으로 세워보세요.

    출처 : 해피캠퍼스

  • 유전자편집 기술 관련 레포트

    목차

    1. 유전자 편집 기술의 원리와 중요성

    2. 유전자 편집기술의 종류
    1) 유전자 가위 기술
    2) 유전자 복제, 도입 기술

    3. 개발 사례

    4. 향후 전망
    1) 법적 규정
    2) 기술적
    3) 윤리적

    5.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유전자 편집기술의 원리와 중요성
    유전자 편집기술, Genome Editing, 은 인위적으로 유전자를 편집하여 조작한 후 이를 개체 내에 삽입하여 발현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입니다. 조작된 핵산분해효소를 이용한 유전자 편집, 유전자 가위라고도 불리는데 핵산분해효소, 유전자 가위를 통해 원하는 유전자를 잘라 삽입하는 것이 유전자 편집기술의 주요부분이기 때문입니다.
    기본 원리는 DNA Repair System의 작용 기전으로 볼 수 있습니다. 다양한 이유로 DNA에는 돌연변이가 일어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DNA의 이중나선이 잘려 나가는 손상도 일어날 수 있게 됩니다. 이를 복구하기 위해서 일어나는 DNA Repair System은 두종류로 볼 수 있는데, 말 그대로 다른 작용 없이 절단된 부분을 연결하는 비상동말단연결 (Non-Homologous End Joining, NHEJ)와 손상된 부위와 유사한 서열을 주형으로 사용하여, DNA 공여체를 통해 오류가 포함되지 않게 정확하게 복구하는 상동재조합 (Homologous Recombination, HR)이라 할 수 있습니다. 손상을 복구한다는 것 외에 일어나는 방식이 다르지만, 두 기전 모두 사용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오류 없이 정확하게 복구된다면 인위적으로 만들어낸 유전자의 발현을 더욱더 효과적으로 일으킬 수 있으며, 원하는 결과값을 이룰 수 있기 때문에 DNA 공여체로 작용할 수 있는 DNA Donor를 함께 넣어 상동재조합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하여 효율성을 최대로 높이곤 합니다.
    유전자 편집기술은 현재 4차 산업혁명의 핵심 바이오 기술로 인정받고 있으며, 유전자 편집 시장의 성장과 인류의 난제라고 불리는 글로벌적 문제들의 해결책으로 대두되고 있어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KATA 온도계 실험 (건축환경실험 레포트)

    목차

    1. 서론
    1.1 배경
    1.2 기류의 의미
    1.3 KATA 온도계의 의미
    1.4 적용예시

    2. 실험방식
    2.1 실험장치의 구성
    2.2 실험장치의 개략도
    2.3 실험 설명 및 절차

    3. 실험해석
    3.1 실험 데이터 결과
    3.2 계산 절차 및 실험 결과의 해석과 분석

    4. 결론

    5.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배경
    실내의 온열환경은 실내기후라고도 불리며 인간의 건강이나 쾌적성을 크게 좌우하는 중요한 것이다. 인종 차이나 건강상태, 작업조건 관습 등의 차에 따라서 개개인의 쾌적조건이 미묘하게 달라지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자연적으로 주어지는 태양이나 바람의 힘을 어떤 경우에는 잘 이용하고 때에 따라서는 능숙하게 컨트롤할 수 있는 건축을 설계할 수 있다면 쾌적한 실내온열환경을 얻기가 쉬운데다가 에너지절약도 가능하게 된다. 실내기후를 형성하는 온열요소에는 열, 습기, 기류가 있다. 우리가 느끼는 덥고, 추운 느낌과 같은 체감온도는 기온, 습도, 기류(풍속), 방사열(복사열)의 4가지 요소가 조합되어 결정된다. 그리고 온열요소라 불린다.

    1.2 기류의 의미
    기류는 공기의 흐름을 말하고 1초간 공기가 이동한 거리를 미터(m)로. 이상기체방정식 Pv=RT를 이용해서 P=RT를 구하고 결과적으로 온도가 상승하면 밀도가 낮아지고, 온도가 하강하면 밀도가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태양 복사에너지는 공기를 가열시켜 온도를 증가시키고 이때 발생한 온도차로 대류현상이 발생하고 공기의 흐름이 유도되는 것 이다. 기류는 크게 층류 기류(laminar), 높이에 따른 기류 분리현상(separated), 난류 기류(turbulent), 소용돌이 기류(eddy)로 분류할 수 있다. 기류의 형태는 그림1.2를 참고한다. 기류는 건물과 같은 장애물과 직면할 때 안정적인 기류의 형태에서 난류형태의 기류로 바뀌며 소용돌이 기류는 층류 기류와 난류기류 모두에서 발생한다. 움직이는 기류는 직선방향으로 나아가려는 성향이 있고 어떤 물체에 의해서 방향이 변하더라도 각을 이루며 변화하지 않고 완만한 곡선을 유지하며 기류의 흐름은 연속성을 갖고 있어서 소멸되거나 생성되지 않는다. 바람이 건축물에 부딪힐 때 부딪히는 주변은 정압(+)이 형성되지만 건물의 반대쪽이나 측면에서는 부압(-)이 발생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소음도측정 실험 (건축환경실험 레포트)

    목차

    1. 서론
    1.1 배경
    1.2 소음계의 종류
    1.3 옥타브 밴드의 의미
    1.4 적용예시

    2. 실험방식
    2.1 실험장치의 구성
    2.2 실험장치의 개략도
    2.3 실험 설명 및 절차

    3. 실험해석
    3.1 실험 데이터 결과
    3.2 계산 절차 및 실험 결과의 해석과 분석

    4. 결론

    5.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배경
    소리는 공기의 압력변화가 우리의 귀에 도달했을 때 발생한다. 이와 같은 공기의 압력변화는 어떤 물체에 외력이 가해졌을 때 발생되거나 직접적인 공기의 진동에 의해서 발생된다. 건물의 내부 및 주변의 음환경은 건물 계획과 디자인 그리고 시공의 과정과 상호 연관된 수많은 요소들에 의해서 영향을 받게 된다. 음환경 측면에서 거주자들이 만족할 수 있는 건물의 계획을 위해서는 건물의 초기 계획단계에서부터 건물의 용도에 따라 외부 음환경을 고려해 부지를 선정하고 부지 내 건물의 위치, 외피의 계획, 건물 내 발생음원을 고려한 실의 배치, 그리고 실간 차음계획 및 실내 음향계획 등의 과정들이 건물을 디자인하는 모든 단계에서 체계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음환경 계획은 듣고자 하는 소리는 보다 잘 들을 수 있게, 듣기를 원하지 않거나 남에게 들리기를 원하지 않는 소리는 차단하여 청각적인 프라이버시와 쾌적성을 확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1.2 소음계의 종류
    소음계는 인간의 청감에 대한 보정을 통해 음의 크기레벨에 근사한 값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한 측정기를 말한다. 이 소음계는 그 구조 및 성능에 따라 분류되는데, 정밀소음계는 측정주파수의 범위와 청감보정회로의 허용오차 등이 적고 구조 및 성능이 정밀하여 정도를 측정하는데 적합하다. 정밀소음계의 측정가능 주파수는 약 20Hz~12.5kHz이다. 지시소음계는 일반적인 소음을 측정하는 장치로 청감보정회로는 A, B, C의 세가지 종류의 특성을 지닌다. 정밀소음계보다는 오차가 크지만 간이소음계보다는 오차가 작다. 지시소음계는 약 31.5Hz~8kHz로 측정이 가능하다. 간이소음계는 측정주파수의 범위와 청감보정회로의 특성 등이 간단하게 되어있어 소음레벨의 대략적인 값을 확인하는데 사용한다. 간이소음계의 측정가능 주파수는 약 70Hz~5kHz이다. 특수소음계는 특정한 목적의 소음조사를 위해 사용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조도 실험 (건축환경실험 레포트)

    목차

    1. 서론
    1.1 조도의 의미
    1.2 LED이 의미
    1.3 거리의 역자승법칙
    1.4 코사인 법칙
    1.5 적용예시

    2. 실험방식
    2.1 실험장치의 구성
    2.2 실험장치의 개략도
    2.3 실험절차

    3. 실험해석
    3.1 실험 데이터 결과
    3.2 실험결과에 대한 해석

    4. 결론

    5. 참고문헌

    본문내용

    1.5 적용예시
    조명은 빛을 이용하여 생활에 도움을 제공하는 기술이다. 조명의 종류에는 인공광원인 백열전구, 형광등, 고압 수은등, 특수전구, LED 등이 있다. 조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조명기구의 의장, 배광, 설치위치 및 배치에 따라 각각 미치는 효과가 달라진다. 그렇기 때문에 조명설계의 목적과 기능, 용도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최적의 조명방식을 선택하여야 한다. 여러 광원들 중, 실험에서 이용된 LED는 재료에 따라 발광색이 달라지고, 적외선 영역에서 가시광역, 자외선 영역에서 발광하는 것까지 제조가 가능하다. 발광다이오드는 실내조명뿐만 아니라 휴대폰의 액정, 전광판, 자동차 계기판 등으로 사용하고 있다.

    2. 실험방식
    2.1 실험장치의 구성
    2.2 실험장치의 개략도
    수광부를 통해 조도를 측정한다.
    2.3 실험절차
    ① 커튼을 모두 열어둔다.
    ② 조도계 6개를 준비하고 각 책상에 조도계를 설치한다.
    ③ 전체 전등을 켠 후에, 조도를 측정한다.
    ④ 좌측 전등 2줄을 끈 후에, 조도를 측정한다.

    <중략>

    전등이 실의 가로로 4개, 세로로 6개씩 배열되어 있었고 출입구 쪽만 1개가 제거 되어 있었다. 그리고 칠판 쪽에 보조등이 하나가 더 배치되어 있었다. 그래서 전등을 모두 켰을 때 입구쪽은 조도가 조금 낮았고 전등이 있는 곳과 가까이 배열된 곳은 유독 더 밝았다. 그래서 전등을 모두 켠 상태의 등조도 곡선을 보면 창가에 가까운 곳의 칠판부분에서는 보조등에 의해 밝은 부분이 형성되었고 표3.1을 참고하면 약 1437 lx로 측정되었다. 그리고 각 실의 끝부분은 벽으로 구성되어 있어 상대적으로 어두운 공간이 형성되었다. 전등을 2줄을 끈 상태에서는 조도의 차이가 확연하게 차이가 발생했고 전등이 켜져 있는 곳으로 갈수록 조도가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유해가스 실험 (건축환경실험 레포트)

    목차

    1. 서론
    1.1 배경
    1.2 이산화탄소의 원리
    1.3 일산화탄소의 원리
    1.4 환기량의 계산
    1.5 적용예시

    2. 실험방식
    2.1 실험장치의 구성
    2.2 실험장치의 개략도
    2.3 실험절차

    3. 실험해석
    3.1 실험 데이터 결과
    3.2 실험해석 및 실험결과에 대한 해석

    4. 결론

    5.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배경
    실내 공기의 오염 원인에는 건물 주변의 대기오염에 의한 영향과 실내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로 구분할 수 있다. 대기오염은 자동차 매연, 난방용 연소가스 등에서 배출하는 배기가스가 주원인이 된다. 자동차 배출가스인 매연에는 다량의 CO, NO2, 분, 납 화합물 등의 여러 종류의 유독물질을 포함하고 있다. 건물내부의 오염물질 발생원에는 재실자로부터 방출되는 CO2(탄산가스), 수증기, 체취 등이 있으며, 담배연기에 의한 오염, 실내의 각종 활동에 의해 발생하는 분진, 각종 연소장치의 연소가 가스나 수증기, 건축자재, 가구나 사무기구 등에서 다양한 오염물질이 방출되고 있다.

    1.2 이산화탄소의 원리
    이산화탄소는 탄소의 완전연소로 방출되는 무취, 무미, 무색의 기체이며, 유기물의 연소나 생물의 호흡, 미생물의 발효 등으로 만들어진다. 실내에서는 주로 물질의 연소 작용과 인체의 호흡작용에 의하여 발생된다. 이산화탄소는 그자체가 독성으로 문제가 될 정도의 고농도는 일반적인 환경에서 존재하지 않으므로 인체에 무해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실내 환기량의 기준이 되는 CO2의 농도는 그 자체의 유해성보다는 실내공기의 오염정도가 이에 비례하여 증가한다는 것에 근거하여 공기오염 지표로 역할을 한다. 우리나라를 비롯해 세계 각국에서는 대부분 실내농도를 0.1% (1,000ppm)로 규정하고 있다. CO2가스는 사람의 활동에 의해여 배출되므로 실내의 종합접인 오염정도를 평가한다. 표1.2는 이산화탄소(CO2)의 농도에 따른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준다.

    1.3 일산화탄소의 원리
    일산화탄소는 무색, 무취의 기체로 각종 유류나 석탄과 같이 탄소를 포함한 물질의 불완전 연소과정에서 발생된다. 일산화탄소는 생활환경에서 급성 또는 만성 중독의 위험이 있으며 산업의 발달, 차량의 증가로 인한 배기가스가 도시의 대기중 일산화탄소의 오염농도를 가중시키고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간호과정 A+ 당뇨병 간호진단3개

    목차

    1. 사례 요약
    2. 가능한 간호진단
    3. 3개 간호진단의 우선순위설정과 설정이유
    4. 3개의 간호진단의 정의, 진단특성, 관련요인(위험요인)
    5. 간호과정 적용

    본문내용

    1. 사례 요약
    환자(F/88) : 과거 의학 진단명 : 당뇨병

    입원 전:
    2009년 Lt. striratocapular infartion으로 Rt. side weakness -> 걷는 데 지장 없음 aspirin 복용중, 1년 전 자의로 약물 중단 (2011년에도 약물 중단해 drowsy로 ER 내원)
    최근 general weakness 호소, 걸을 때 비틀거림 -> 11/22에 계단에서 넘어짐 11/24 7AM 에 말을 이상하게 하며 M/S drowsy 소견을 보여 입원

    입원 중:
    self-voiding 못해 N-cath 시행 중, 의식이 저하되어 회복되지 않음 ->
    11/28 close observation 하기 위해 NCU로 이실
    회복되지 않은 SPO2와 가래량이 증가->intubation을 시행, 기관 내 흡인 자주 함
    내시경 가이드로 tracheostomy 시행 (BRS 전처치로 아트로핀 1A IM으로 주입)

    2. 가능한 간호진단(간호문제)
    1) 자발적 분비물 배출 어려움과 관련된 비효과적 기도 청결
    2) 기관 내 삽관 및 의식수준 저하와 관련된 흡인의 위험
    3) 인지기능 장애 및 활동 저하와 관련된 욕창의 위험
    4) 도뇨관 삽입과 관련된 감염의 위험
    5) 신경계 손상으로 인한 침상 기동성 장애

    출처 : 해피캠퍼스

  • 건습구온도계 실험 (건축환경실험 레포트)

    목차

    1. 서론
    1.1 건구온도의 의미
    1.2 습구온도의 의미
    1.3 상대습도의 의미
    1.4 절대습도의 의미
    1.5 노점온도의 의미
    1.6 적용예시

    2. 실험방식
    2.1 실험장치의 구성
    2.2 실험장치의 개략도
    2.3 실험 설명 및 절차

    3. 실험해석
    3.1 실험 데이터 결과
    3.2 계산 절차 및 실험 결과의 해석과 분석

    4. 결론

    5. 참고문헌

    본문내용

    1.1 건구온도의 의미
    액체 온도계 등의 보통온도계를 이용하여 측정한 온도로 습구온도에 반대되는 개념이다. 건구온도는 물체나 실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형태의 온도계이다. 단위는 섭씨온도(℃)를 사용한다.

    1.2 습구온도의 의미
    습구라는 말은 가제로 유리 온도계의 감온부를 감싸서 증류수에 적신 것으로 습구온도계의 원리로 이용된다. 감온부를 감싼 후에 대기중에 증발시키게 되면, 기화열을 빼앗기게 되는데, 대기 습도에 영향을 미치는 습구온도에 따라 온도를 측정하게 된다. 따라서 습구온도계를 사용하면 공기 중의 수분의 많고 적음을 알 수 있다. 단위는 섭씨온도(℃)를 사용한다.

    1.3 상대습도의 의미
    주어진 온도에서 완전한 포화상태의 공기가 포함하는 습기의 양과 비교해서 주어진 공기 내의 같은 온도에서의 습기의 양을 나타내는 것 이다. 단위는 퍼센트(%)를 사용한다. 상대습도의 공식은 다음과 같다.

    1.4 절대습도의 의미
    절대습도는 습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수분과 건공기와의 중량비(kg/kg)를 의미하며, 기상관계에서는 단위용적의 습공기에 대하여 그 속에 포함되어 있는 수증기와의 중량비(g/m)이다.

    1.5 노점온도의 의미
    노점이란 일정량의 수증기를 가진 공기가 차츰 냉각되어 포화상태가 되어 수증기가 응축하여 물방울로 되기 시작하는 온도를 의미한다. 수분이 많을수록 높은 온도이며, 노점온도는 습공기가 어느 일정 압력에서 수분의 증감 없이 냉각되었을 때, 수증기가 응축하기 시작하여 이슬이 맺히는 온도이다. 즉, 습공기선도에서 수증기 분압 압력 온도의 곡선의 100% 부분의 선을 말한다. 습공기 선도에 표기하면 다음과 같다.

    1.6 적용예시
    건구온도와 습구온도는 단순하게 측정만을 위해서 사용되기 보다는 열의 흐름과 같은 현상들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건축설비에서는 결로현상을 예측하고 대비하기 위해서 이용할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간경화증, 간암 케이스 스터디 [A+]

    목차

    1. 간호 대상자 사정도구
    2. 건강영역별 간호사정
    3. 신체사정 (기록된 사항 외에는 해당없음)
    4. 간호사례 연구보고서
    5. 참고문헌

    본문내용

    – 일반적 사항
    1)성명 : 진OO 2)성별 : 여성
    3)연령 ; 68세 4)교육수준 : 중졸
    5)결혼상태 : 기혼 6)가족관계 : 환자 본인, 배우자, 딸 2명, 아들 1명 (총 5명)

    -현재 건강 문제
    1)입 원 일 : 2019년 9월 10일
    입원경위 : 외래
    입원방법 : 앉는 차
    퇴 원 일 : 미정
    2)주진단명 : Liver cirrhosis with hepatocellular carcinoma
    3)발병일시 : 2019년 9월 10일
    4)주 증 상 : Abd distension (for LT)
    5)질병과정 : 40대 HBV 진단. 3년 전부터 간경화 얘기 듣고 이뇨제 및 약은 지속 복용하였다고 함. 정기검진 때문에 올해 6월 ㅇㅇ병원 내원함. 이때 R/O HCC 확인되었고 복수, 황달 등 확인됨. Hepatic encephalopathy로 입원하여 management 시행하였던 적도 있음. 단국대병원에서 시행한 CT상 7월에 S7에 1.7cm HCC 확인됨. 본원외래 내원. 현재 검사 결과 고려할 때 현재 유일한 방법은 간이식임을 설명드림. 보호자분(자녀 둘) 간 공여 의사 있음. LT W/U 위해 입원함
    6)알레르기 : X
    7)흡 연 : X
    8)음 주 : X
    9)투 약 : 라식스정(이뇨제)
    11)키 : 155cm 12)몸무게 : 86kg

    -과거력
    1)질환 ; 간염
    2)입원경력 : ㅇㅇ병원 (2019.07.25.-2019.08.10.), ㅇㅇㅇㅇㅇ병원 (2019.08.25.-2019.09.09.)
    3)수술경력 : 없음
    4)수혈여부 : X
    5)투 약 : X
    6)한방치료(한약, 침, 뜸, 지압, 부항 등) : X
    7)민간요법/기타 : X

    출처 : 해피캠퍼스

  • 수상스키의 이해

    목차

    1. 역사
    2. 종목, 기술
    3. 장비
    4. 트레이닝-수상스키를 즐기기 위해 받아야 하는 교육
    5. 안전
    6. 참고문헌

    본문내용

    수상스키의 시작은 많은 가설들이 있으나, 1920년대 미국의 랄프 사무엘슨이 여름에도 스노우 스키를 타고 싶은 마음으로 시작되었다. 가장 처음 수상스키라고 부를 수 있는 행위는 물 위에서 비행정에 이끌려 2.7m 송판으로 된 스키를 탄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처럼 수상스키는 초기에 Aquaplane이라는 비행정을 동력으로 이용했는데, 이후에 빠른 속도를 낼 수 있는 쾌속정 모터보트, 파워보트 등의 개발로 지금은 비행정이 아닌 보트를 동력으로 사용한다.
    세계대전 직후 1946년 세계수상스키연맹이 창설되면서 널리 알려지기 시작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 “싸이프레스” 스키팀의 시연과 함께 1979년의 대한수상스키협회 창립, 1986년의 세계 연맹 가입, 1992년에 대한체육회 정 가맹 단체 승인을 순서대로 이어나갔다.
    1958년에 IOC 승인연맹에 세계연맹이 이름을 올리면서, 1967년 테헤란 IOC 총회에서 승인받아 1972년 시범종목으로 채택되었으나, 아직 정식 종목으로 채택이 되지는 않았다. 하지만 2018년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서 진행된 아시안 게임의 정식 종목으로 포함되었기 때문에 협회가 노력하는 만큼 올림픽도 정식 종목으로 채택될 가능성이 높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2010년부터, 12년, 14년 국제대회에서 금메달을 휩쓸 정도로 많은 선수들이 생겨났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