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Ⅰ. 본론
CASE
1. 간호정보조사지
2. 임상검사
3. 진단검사
4. 투약
5. 수술방법
6. 우선순위
7. 간호과정
Ⅱ. 참고문헌
본문내용
1. 간호정보조사지
1) 일반적인 사항
연 령
60세
키/몸무게
170CM/70KG
성 별
남자
입원경위
외래
응 급 실
V
기 타
입원방법
도보
Wheel chair
V
Stretcher
기 타
1) 주진단명 : Traumatic subdural haemorrhage
2) 발병일시 : 2023-07-10
3) 입원일 : 2023-07-18
4) 수술명 : burrhole trephination. Lt
5) 결혼상태 : 기혼
6) 직 업 : 건축
7) 종 교 : 무교
8) 신체계측 : 키 170 cm, 체중 70 kg
9) 흡 연 : 유 ( V ) 무 ( ) 기간: 40년 0.2갑
10) 음 주 : 유 ( V ) 무 ( ) 기간: 40년 0.5병 2회
11) 투 약 : 유 ( ) 무 ( V )
12) 가계도 : 딸1
13) 입원 시 활력징후 : 120/70 – 79 – 18 – 36.6 – 97%
14) 입원동기 :
7/10일부터 – 20일 전에 우측 temporal area를 시멘트 바닥에 부딪힘 환자분 느끼기에 머릿속 생각나는 말들이 입 밖으로 나오지 않는다고 함
15) 주 호소 : 10일전부터 우측 팔다리 힘 빠짐으로 검사를 위해 입원함.
<중 략>
간호진단
# 1. 두개내압 상승과 관련된 뇌 조직 관류장애의 위험성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1) “그냥 멍하고 어지러워요. ”
(2) “머리가 지끈거리네요. ”
객관적 자료
(1) Dx: SDH(subdural hematoma)
(2) 대상자의 의식 수준은 Alert~Drowsy mentality이며 주로 졸려 보이는 양상임: 의식 수준의 저하 확인됨.
(3) 내원당시 V/S 120/70 – 79 – 18 – 36.6 – 97%
● 7/18 ( 130/ 74 – 73 – 37.3 ) 7/19 ( 134 /80 – 80 – 37.4 – 96% )
● (4) Rt side power 저하 Rt 쪽으로 쏠림증상있음.
(5) Brain CT: bilateral subdural fluid
(6) Burr hole trephination drainage(천공배액술) OP 시행함.
(7) GCS 4/5/5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