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Uncategorized

  • A+ 정보통신실험 6주차 예비보고서 – RC 정현파 발진 회로

    목차

    1. 실험이론
    2. 예비실험
    3. 예비보고서 결과

    본문내용

    1. 실험 이론

    ⚫ 발진기
    =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외부의 입력신호 없이 회로 자체의 동작에 의해 특정 주파수의 신호(정현파, 구형파, 삼각파, 톱니파)를 생성하는 회로

    ⚫ 종류
    = 귀환 발진기 (Feedback oscillator), 이완 발진기(Relaxation oscillator)

    1. 귀환 발진기
    – 출력 신호의 일부분이 위상변이 없이 입력으로 인가되어 출력을 강화

     정귀환 이용 : 증폭기 출력 일부가 위상변위 없이 입력에 되돌려지므로 출력을 보강

     구성 : 증폭기, 정귀한 회로 (위상변이와 감쇠)

    <중 략>

    이론 정리

    – 넓은 범위의 주파수 발진과 낮은 왜곡 레벨이 요구될 때에는 윈 브리지 발진기를 사용한다. 이 회로는 정현파발생기에 쓰이며, 보통 5Hz ~ 500kHZ 주파수 범위를 갖는다. 두 개의 커패시터는 주파수를 가변하는데 사용된다. 여기서 저항과 커패시터는 동일한 값들이고, 과 가 서로 연동된다. (즉, 과 는 두 개가 동시에 조절될 수 있도록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필요한 이득을 얻기 위해서 연산 증폭기가 주로 사용되어 진다.

    – 이 회로의 기본동작은 궤한 신호의 위상변이가 0이 되는 주파수가 단 한 개라는 사실에 있으며, 이 현상은 증폭기 입력에 가장 큰 진폭으로 궤환되는 주파수에서 발생한다. 직렬 -회로에 궤환되는 아주 낮은 주파수에 대해서는 이 개방회로가 되므로 은 점차 증가하다가 커패시터 가 단락회로가 되면 이 첨두값을 가지게 되며, 이 값은 이 과 0 위상변위가 되는 주파수에서만 발생함을 알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 정보통신실험 6주차 결과보고서 – RC 정현파 발진 회로

    목차

    3. 메인 실험
    4. 비고 및 고찰

    본문내용

    3. 메인 실험 (Main-Lab)

    <중략>

    4. 비고 및 고찰
    이번 실험의 목표는 윈브릿지 발진기 회로의 특성을 이용하여 RC 발진회로의 개념을 이해하고 발진기의 공진주파수를 알아보는 실험이다. 실험을 시작하기에 앞서 먼저 우리는 저항 값을 멀티미터로 측정하고 전원공급기의 그라운드가 잘 맞물려 있는지 확인하고 실험에 임하였다.
    POWER SUPPLY의 CH1에서는 (+)단자가 CH2에서는 (-)단자가 그라운드에 제대로 맞물려 있지 않다면 오실로스코프의 나오는 측정되는 파형은 DC가 아니라 AC인 사인파로 측정된다. 그래서 실험하기 전 주의해야 할 사항이다.

    사인파형으로 나오던 전압이 DC전압으로 나오는 것을 오실로스코프로 확인하고 실험을 시작하였다. 공부한 실험이론에 따르면 발진기의 원리는 전원이 인가된 상태에서 외부의 입력 신호 없이 회로 자체의 동작에 의해 특정 주파수 신호가 생기며 출력 신호의 일부분이 위상 변위 없이 입력으로 인가 , 출력을 보강한다고 알고 있다. 또한 정귀환을 이용하여 증폭기의 출력이 입력으로 위상천이나 출력 강화 없이 피드백이 된다. 이로 인해 루프회로가 지속적으로 사인파를 발생하는 구조이다. 이 회로의 기본동작은 궤한 신호의 위상변이가 0이 되는 주파수가 단 한 개라는 사실에 있으며, 이 현상은 증폭기 입력에 가장 큰 진폭으로 궤환되는 주파수에서 발생한다. 직렬 – 회로에 궤환되는 아주 낮은 주파수에 대해서는 가 개방회로가 되므로 전압은 점차 증가하다가 커패시터 가 단락회로가 되면 이 첨두값을 가지게 되며, 이 값은 이 과 0 위상변위가 되는 주파수에서만 발생함을 알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 정보통신실험 5주차 결과보고서 – 저주파 통과 필터 회로

    목차

    3. 메인 실험
    4. 비고 및 고찰

    본문내용

    3. 메인 실험

    이번 실험의 목적은 (1) OP-AMP를 이용하여 능동 2차 LPF를 부귀환 방식으로 구성하고, 필터 특성을 측정하며 (2) LPF 필터의 주파수 변화에 의한 진폭 특성에 대해서 알아보는 실험이었다. 실험을 시작하기 앞서 먼저 우리는 저항 값을 멀티미터로 측정하고 브레드 보드가 서로 잘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실험에 임했다. 모든 소자를 이용해 회로를 구성하고 전원을 인가 해줬을 때 사인파형을 인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출력은 펄스파형으로 나타났다. 회로에 문제가 있나 싶어서 다 빼고 천천히 회로도를 보면서 다시 구성을 하고 오실로스코프의 연결선이 잘못되었나 싶어서 교체를 해도 여전히 펄스파형이 관측되었다. 자리에 문제가 있나 싶어서 자리를 옮겨서 측정을 해도 마찬가지였다. 결국 기존의 회로와 다르게 구성하여 측정해보기로 하였다.

    여러 가지 방법으로 회로를 구성해 본 결과 우리가 회로를 잘못 구성했다는 것을 깨달았다. OP–AMP의 2번에 들어가는 – 입력에 R3를 직접 연결하여 R4와 제대로 병렬연결이 되고 있지 않고 있었다는 것을 알았다. 이로 인해 R3와 R4의 사이에 걸리는 전압, 즉,가 잘못 측정되어 지고 있었다. 이 결점을 알고 바로 고친 후 실험을 하였을 때 오실로스코프에 나타나는 파형은 사인 파형이었다. 여기서 의문점이 하나 생겼다. R3를 2번 포트에 직접 연결하고 R4를 거기에 병렬로 연결하면 왜 펄스 파형이 나오는지 궁금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 정보통신실험 실험설계 결과보고서 – AM Radio Recevier

    목차

    1. 설계 목적

    2. 설계 이론
    1) Envelope Detector(포락선 검파)
    2) Buffer Amp(완충 증폭기)
    3) Attenuator(감쇠기)
    4) Push – pull Amp (푸시풀 증폭기)

    3. 설계 과정

    4. 비고 및 고찰

    본문내용

    1. 설계 목적
    AM Radio Recever의 회로를 구성하여 스피커 단자에 출력되는 파형을 측정.

    2. 설계 이론
    AM Demdulation은
    Envelope Detector 와 Buffer Amp 그리고 Attenuator 마지막으로 Push – pull Amp로 구성되어 있다.

    1. Envelope Detector(포락선 검파)
    포락선 검파는 수신 신호의 포락선을 검출하는 복조 방식으로 수신신호를 정류하여 저역필터를 통해서 포락을 재생한다. 동기검파와는 달리 기준반송파를 필요로 하지 않고 두 측파대와 전 진폭의 반송파를 필요로 한다.
    반송파의 진폭 Ac를 신호파의 최솟값보다 크거나 같게 하여 전송하면 수신기에서 포락선만을 추출하는 간단한 회로를 이용하여 복조한다. 포락선 검파는 비동기검파의 일종으로 다이오드 저항, 캐패시터로 이루어진 간단한 회로를 통해 수신 신호의 포락선을 검출해내는 검파 방법이다. R과 C로 이루어진 회로의 시정수 값을 적절하게 조절해야만 원하는 정보를 복조할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 정보통신실험 5주차 예비보고서 – 저주파 통과 필터 회로

    목차

    1. 실험이론
    2. 예비실험
    3. 예비보고서 결과

    본문내용

    1. 실험 이론
    ⦁필터 = 입력 신호에 포함된 일정한 주파수 성분은 그대로 통과시키고 그 외의 주파수 성분은 저지하는 주파수 선택을 갖는 회로

    ⦁수동 필터 = R, L, C 소자만 사용.

    ⦁능동 필터 = 필터 구성에 R,C와 더불어 능동소자(OP-AMP) 사용.
    1. 저항, 커패시터와 트랜지스터, 연산 증폭기 등의 능동소자 사용 ⟶ 회로의 소형화
    2. L을 사용하지 않고도 LC필터와 동일한 특성 실현 가능
    3. 전압 증폭이나 신호 분리 및 완충을 위해 증폭기로 사용

    ※능동 필터의 회로의 특징
    1. 연산 증폭기에서 전력 공급
    2. 임피던스 성능 향상(입력 임피던스↑, 출력 임피던스↓)
    3. 매우 가파른 롤 오프(roll off)
    4. 평평한 통과 대역
    5. 차단 주파수 조정 가능

    ※능동필터의 회로의 요소
    1. 차단 주파수
    – 필터, 증폭회로 등에서 어느 주파수보다 위, 아래의 주파수 신호를 통과, 감쇄하는 경계의 주파수

    2. 대역폭(bandwidth)
    – 증폭기에서 고역 차단 주파수(상한 주파수)와 저역 차단 주파수(하한 주파수)사이의 주파수 폭

    -주파수 특성에 있어서 이득이 최댓값에서 3dB 저하되는 2점 간의 주파수폭

    ⚫ 여러 가지 필터의 주파수 특성

    ⚫저역 통과 필터
    – 필터의 차단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 성분 통과
    – 신호 통과시 신호의 주파수 성분이 필터 특성에 맞게 변함
    – 저주파 영역의 값은 1, 고주파 영역의 값은 0에 가까워짐

    1. 1차 저역 통과 필터 회로

    출처 : 해피캠퍼스

  • [A+보장]성인간호학 실습 위암(Gastric cancer) 컨퍼런스, 케이스스터디, 간호과정, 간호진단 27페이지 자료입니다.

    목차

    Ⅰ. 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
    3. 병태생리
    4. 증상과 징후
    5. 진단적 검사
    6. 치료적 관리
    7. 치료

    Ⅱ. Case study
    1. 일반정보
    2. 병력
    3. 신체검진
    4. 건강사정
    5. LAB
    6. 진단검사
    7. 약물
    8. 수술: total gastrectomy

    Ⅲ. 간호과정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정의

    위암은 위점막 상피세포에서 발생하는 악성종양으로 90%는 선암(adenocarcinoma)이고 나머지는 비호지킨스 임파종과 평활근육종이 차지한다. 호발부위는 날문방의 작은굽이, 다음으로 날문방의 앞과 뒷벽이다. 그러나 들문이나 위몸통 등 기타 부위의 발생도 적지 않다.

    2. 원인

    위암과 식이습관과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에서 말리거나 훈제 또는 소금으로 간을 한 음식속에 있는 고농도의 질산염을 장기간 섭취한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산염은 미생물에 의해 발암물질인 아질산염으로 전환되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이러한 미생물은 사회경제적 수준이 낮은 계층에서 흔히 소비하는 부패된 음식의 섭취를 통하여 외부에서 유입 될 수 있다. 그 외에 불에 태운 고기를 먹거나, 방사선이나 토양의 금속에 노출된 사람과 H.pylori균이 있으면 위암에 대한 발생률이 증가한다. 염산결핍증(achlorhydia)과 악성빈혈도 위암을 발생 시킨다. 흡연은 비타민 C의 혈중농도를 낮추고 발암물질인 nitrosamine의 생성을 촉진시키기 때문에 위암 발생률증가와 관련이 있다. 위암은 가족 내에서 자주 발생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유전적인 요인도 있는것 같다. 금연은 가장 좋은 예방법이다.

    3. 병태생리

    위암은 점막층에서 흔히 발생하며, 유문부의 작은 만곡부(lesser curvature)와 위동(antrum)에서 많이 발생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 정보통신실험 4주차 결과보고서 – OP-AMP 연산 증폭 회로

    목차

    3. 메인 실험
    4. 비고 및 고찰

    본문내용

    3. 메인 실험

    <중 략>

    이번 실험 목표는 OP-AMP를 사용하여 전압 증폭을 알아보고자 하는 실험이었다. 실험하기에 앞서 공부한 이론내용은 연산 증폭기는 두 개의 입력단자와 한 개의 출력단자를 가지며 두 입력단자 전압간의 차이를 증폭하는 증폭기이기에 입력단은 차동증폭기로 되어있다. 연산증폭기가 필요로 하는 전원은 기본적으로는 두 개의 전원인 +Vcc 및 -Vcc 가 필요하다. 신호 증폭을 위한 주 증폭기의 종류로는 전압 증폭기와 전류증폭기가 있지만 여기서는 전압증폭기만을 취급한다.
    전자소자의 동작 특성을 이해하기 위한 초기가정은 먼저 이상적이라고 가정하는 것이다. 물론 이상적인 것은 실제적인 것과는 항상 차이가 나기 마련이지만, 이상적인 경우의 동작특성을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이상적 가정하에서는 모든 것이 단순해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상적 동작특성은 실제적인 전자소자가 무엇을 궁극적인 목표로 하는 가를 알려 주기 때문이다. 이상적인 연산증폭기의 조건은 (1) 무한대의 전압이득 : Av = ∞ (2) 무한대의 입력저항 : Rin = ∞ (3) 영 옴인 출력저항 : Rout = ∞ (4) 무한대의 대역폭 : B = ∞ (5) 영인 오프셑 전압과 전류 (6) 온도에 따른 소자 파라미터 변동이 없어야 한다. 이상적인 연산증폭기의 전압이득이 무한대이기에, 증폭기 입력단자간의 전압은 영(zero)이 되며 이는 단락을 의미한다. 그러나, 이 단락현상을 물리적인 실제적 단락이 아니기에 이를 가상접지라고 한다. 여기서 접지한 회로가 단락되었음을 가리킨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 정보통신실험 4주차 예비보고서 – OP-AMP 연산 증폭 회로

    목차

    1. 실험이론
    2. 예비실험
    3. 예비보고서 결과

    본문내용

    연산 증폭기란?
     연산 증폭기의 입/출력 단자
    ⚫ 반전(Inverting) 입력단자 : 입력신호와 출력신호가 반전 위상(180도 위상 차)
    ⚫ 비반전(noninverting) 입력단자 : 입력신호와 출력신호가 동일 위상을 가짐
    ⚫ 출력단자 : 출력신호가 나오는 단자
    ⚫ 전원단자 : +전원과 –전원이 인가되는 단자
    ⚫ 오프셋 제거(offset nulling)단자와 주파수 보상을 위한 단자.

     연산 증폭기 기능
    ● 두 입력단자에 인가된 신호의 차를 연산 증폭기의 자체 이득만큼 증폭한 후 단일 신호로 출력

    = 연산 증폭기의 개방루프 이득

     이상적인 연산 증폭기의 특성
    ⚫ 개방루프 이득과 입력저항 : 무한대(매우 큰 값)
    ⚫ 입력 바이어스 전류와 출력저항 : 0(매우 작은 값)
    ⚫ 공통 모드 제거비 : 무한대(매우 큰 값)

    파라미터
    이상적인 경우
    개방 루프 이득

    입력 저항

    입력 바이어스 전류
    0
    출력 저항
    0
    공통모드 제거비

    단위이득 대역폭

    1. 가상단락(virtual short) : 두 입력단자 사이의 전압이 0에 가까워 두 단자가 단락된 것처럼 보이지만 두 단자 사이의 전류가 0인 특성

    2. 가장접지(virtual ground) : 연산 증폭기의 비반전 단자를 접지 시키고 반전 단자에 부귀환을 걸면, 연산 증폭기 입력단자 사이의 가상단락 현상에 의해 반전 단자가 접지된 것처럼 보이는 특성

    출처 : 해피캠퍼스

  • A+ 정보통신실험 3주차 결과보고서 – 푸시풀 전력 증폭 회로

    목차

    3. 메인 실험
    4. 비고 및 고찰

    본문내용

    이번 실험은 푸시풀 전력 증폭회로를 구성하여 푸시풀 증폭기의 동작원리를 알아보고 트랜지스터의 동작점(바이어스점)과 AC신호의 크기 및 위상을 측정하여 비교하는데 목적이 있다.
    일단 처음부터 전원공급기에 합선이 되었다는 빨간 불이 연결할 때 마다 들어왔다. 그래서 브레드보드 위의 회로를 처음부터 다시 구성해 보기도 하고 다른 브레드보드로 교체하여 실험해도 불구하고 계속해서 빨간불이 들어왔다. 회로의 문제가 아님을 직감하고 DC전원 공급기를 살펴보는데 (+)와 GND와 선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알고 바로 수정하였다. GND를 (-)로 바꾸니 합선은 표시되지 않았다. 아마 다른 수강생들이 잘못 연결하여 실험을 수행한 듯하다. 첫 번째 실험은 DC전원만을 인가하여 ,를 측정하는 실험이었다. 일단 오실로스코프로 통하여 를 측정해야 하지만 오실로스코프로는 DC전압이 측정되지 않았다. 오실로스코프에 DC전압이 감지되었다는 표시는 나왔지만 값이 나오지 않았다. 연결선이 잘못된 것으로 가정하고 교류신호를 넣고 오실로스코프의 파형을 관찰하였는데 정상적으로 정현파 신호가 측정되었다. 다시 브레드보드가 고장났다고 가정하기에는 입력신호와 출력신호가 너무 잘 측정되었다. 그래서 박사님과 조교님께 질문하였지만 해결점을 찾지 못했다. 하지만 멀티미터로 측정한 경우 값이 제대로 측정되었기 때문에 허락을 받고 결국 멀티미터로 측정하기로 결정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 정보통신실험 3주차 예비보고서 – 푸스풀 전력 증폭 회로

    목차

    1. 실험이론
    2. 예비실험
    3. 예비보고서 결과

    본문내용

    ⦁전력 증폭기 : 스피커를 통해 소리로 변환시키기 위한 전기에너지를 증폭하는 회로
    1. 전력 증폭기의 개요
    – 부하에 요구되는 전력을 공급
    – 진폭이 큰 신호 증폭
    – 선형성 중요 = 소신호 증폭기와 다른 바이어스 방법 적용
    – 주요 고려사항 = 전력효율, 정격출력, 발열

    ⚫소신호(small-signal) 증폭기
    – 동작점을 중심으로 진폭이 작게 변하는 신호(수 ~ 수백 mV)를 증폭함
    – 트랜지스터의 선형 동작영역 중앙 근처에 동작점을 설정함
    – 입-출력 신호의 선형성(linearity)이 중요함

    ⚫대신호(large-signal) 증폭기
    – 진폭이 큰 신호를 증폭함
    – 트랜지스터의 비선형 특성에 의해 증폭기 출력이 왜곡될 수 있으므로, 큰 동적 범
    위(dynamic range)에서 선형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소신호 증폭기와는 다른 바이
    어스 방법이 필요함
    – 전력변환 효율, 정격전력, 안전동작 영역, 전력소비에 의한 발열문제 등이 중요함

    2. 증폭기 분류
    – A, B, AB, C급 = 트랜지스터의 동작점(바이어스 전압전류)에 따라 구분
    – A급 = 선형성이 높고 효율은 낮다. 바이어스 점 = 선형영역중심
    – B 급: 상보(push-pull)형으로 구성, A급 보다 효율이 높다, 바이어스 점 = 컬렉터 전류가 0인 점
    – AB급: Push-pull 증폭기의 VBE 전압강하에 의한 왜곡 감소, 효율 A급과 B급 사이, 바이어스 점 = 컬렉터 전류가 약간 양의 값
    – C급: 바이어스 점 = 컬렉터 전류가 음의 값, 효율이 A, B, AB급보다 높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