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Uncategorized

  • [A+자료] 성인간호학 실습 OR Donor Hepatectomy

    목차

    1. 수술환자 정보
    2. 문헌고찰
    3. 수술과정
    4. 소독/순환 간호사 업무
    5. 사용한 수술기구 및 봉합사
    6. 참고문헌

    본문내용

    문헌고찰

    간의 정의 : 간은 2개의 큰 엽과 2개의 작은 엽으로 구성된 인체 내의 가장 큰 내장기관으로 가로막 아래 우상복부에 위치한다.

    간 이식 유형 : 간이식의 유형은 크게 생체 부분 간이식, 뇌사자 전간이식으로 구분 할 수 있습니다.

    간 기증자 검사 : 장기 제공자는 3, 4일 전에, 수혜자는 4, 5일 전에 입원한다. 간 이식 수혜자는 수술 전에 철저한 검사를 거쳐야 한다. 간 이식의 금기증은 심한 폐고혈압, 병적인 비만, 내장 혈류폐색 등이다.

    <중 략>

    마취 후
    마취과 의사 기관 삽관 실행 함 (후에 기도로 잘 들어갔는지 청진기로 확인), 환자 쇄골하정맥에 A-line(22G),오른쪽 팔에 PPV(16G), 오른쪽 다리에 PPV(16G) 함
    ②순환간호사는 허벅지에 bovie plate 부착함
    ③의사 환자 허벅지에 kendall SCD 연결(장기간 수술에 하지 쪽 정맥류 예방하여 혈전이 생기지 않게 하기 위함
    ④멸균장갑을 gloving 한 후 유치도뇨 실행(16F)
    ⑤ 10% Betadine으로 복부전체 소독 한 후 수술 할 부위에 Surgidrap부착
    ⑥의사 선생님 두 분 외과적 손 소독 후 멸균가운과 멸균장갑 착용 후 수술부위만 남긴 채 멸균포를 덮어 줌
    ⑦집도의 외과적 손 소독 후 수술 방 입실 후 멸균가운과 장갑 착용

    출처 : 해피캠퍼스

  • Plasmid DNA의 분리 및 정제방법

    목차

    ① Alkaline lysis miniprep
    ② Boiling miniprep
    ③ Lithium miniprep  

    본문내용

    플라스미드를 정제는 total cell DNA를 일반적인 분리방법과 같다. 플라스미드를 지니는 세포를 액체배지에서 배양하여 수확하고 cell extract를 하면된다. extract는 단백질을 제거하고 에탄올침전으로 DNA를 응축시킬 수 있다. 그러나 totall cell DNA 분리와 plasmid 정제와는 중요한 차이점이 있다. 플라스미드 분리는 일반적으로 많은 양의 chromosomal DNA 로부터 분리하여야 한다. 플라스미드 분리방법은 플라스미드 DNA와 bacterial DNA의 물리적인 차이점에 의해 분리된다. 가장 큰 플라스미드의 길이는 E. coli 의 염색체 길이에 8%밖에 되지 않으며 대부분이 작다.
    플라스미드와 bacteria DNA의 구조에 차이로부터 분리하는 방법이 있다. 플라스미드와 염색체는 구형인데 염색체는 extract 시 구형에서 선형조각으로 깨어지며 플라스미드에는 구형으로써 변화가 없다. 이 구조적인 차이점을 이용하여 정제된 플라스미드를 얻을 수 있다.   
    Minipreps of plasmid DNA
    bacterial cells로부터 plasmid DNA를 소량으로 분리하는 방법은 대단히 많지만 성공률과 속도를 생각하여 세가지 방법으로 소개하면 Alkaline lysis prep, boiling method 그리고 lithium-based procedure 이다.
    ① Alkaline lysis miniprep
    alkaline lysis procedure(Bimboim, Doly, 1979)은 가장 일반적으로 쓰이는 분리방법이다. Plasmid DNA는 plasmid을 지니고 있는 bacteria에서 적은 양의 배양으로 분리될수 있다. Bacteria는 sodium dodecyle sulfate(SDS), NaOH를 함유하는 용액으로 처리하여 용균되어 진다(여기서 SDS는 bacterial proteins을 변성시키며 NaOH는 chromosomal DNA와 plasmid DNA를 변성시킨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제한효소를 이용한 DNA절단&전기 영동법 및 PCR에 의한 DNA분리 및 확인

    목차

    1. 실험제목

    2. 실험목적

    3. 실험 기구 및 시약

    4. 실험원리
    4.1 PCR
    4.2 전기영동
    4.3 competent cell
    4.4 유전자 재조합
    4.5 형질전환
    4.6 Ethidium Bromide

    5. 실험 방법

    본문내용

    1. 실험제목: 제한효소를 이용한 DNA절단& 전기 영동법 및 PCR에 의한 DNA분리 및 확인

    2. 실험목적: 미생물에서 plasmid DNA를 분리하고, PCR을 이용하여 DNA를 증폭하고 제한효소를 이용하여 DNA를 절단한 후 Mini gel unit를 이용하여 전기영동법에 의해 DNA를 분리하고 확인한다.

    3.실험 기구 및 시약
    Gradient PCR, Mini Gel Electrophoresis Units(Mupid21), agarose gel, Microcentrifuge tube, 증류수, 제한효소, buffer용액, PCR premix tube, 증류수, primer, DMSO, 주형 DNA, size marker, circular vector plasmid, loading dye, circular recombinent plasmid

    4. 실험원리

    4.1 PCR
    1. PCR의 원리
    PCR법의 기본 원리는 다음과 같다.
    첫 단계는 이중쇄 DNA를 단일쇄 DNA로 열변성(denaturation)시킨다. 두 번째 단계는 올리고 뉴클레오티드를 단일쇄 DNA에 결합(annealing)시키고 세 번째 단계는 결합한 올리고뉴클레오티드를 시발체로 하여 DNA 폴리머라제에 의해 DNA를 합성(Extension)하여 이상의 과정을 일정한 싸이클동안 반복한다.
    이론적으로 매 PCR 주기마다 증폭되는 DNA는 2배씩 늘어나야 하나 (n 싸이클 후는 2n개) 여러 가지 이유에서 일정 주기가 지나면 증폭되는 DNA의 양이 안정기(plateau)에 도달하게 된다. PCR로 증폭된 밴드를 에티디움 브로마이드(EtBr)로 염색된 아가로스 젤(Agarose gel)에서 관찰하려면 약 50ng의 DNA가 필요한데 50ng은 300bp길이 DNA로 따지면 약 1011카피가 된다. 따라서 단일 copy의 300bp DNA를 증폭 후 전기영동하여 볼 수 있으려면 약 37 싸이클이면 (237=1011)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자료] 성인간호학 실습 PACU C-SEC Case Study (간호진단2개)(간호과정2개)

    목차

    Ⅰ. 문헌고찰
    1. 정의
    2. 제왕절개의 조건
    3. 적응증
    4. 종류
    5. 수술 전 간호
    6. 수술 후 간호
    7. 퇴원교육
    8. 수술 후 신체적 영향
    9. 제왕절개 후 질분만
    10. 장·단점

    Ⅱ. 간호과정
    1. 간호사정
    2. 마취 전 환자평가 및 마취 계획
    3. 제왕절개수술중 출혈량 계산표
    4. 회복실 간호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문헌고찰
    1. 정의
    제왕절개 수술(Cesarean section)은 질강 분만에 반대되는
    개념으로 임신부의 복부를 절개하여 태아를 출산하는 것으로 의료기술과 장비, 항생제의 발전으로 사망률이 낮아져 심각한 문제가 되지는 않았지만 자연분만에 비해 산모와 태아에게 미치는 위험은 더 크다. 가급적 자연분만으로 유도하되 부득이 제왕절개 수술을 해야만 하는 경우는 산모와 태아에게 고위험 원인이 있을 때이다.

    2. 제왕절개 수술을 해야 하는 조건들
    ♥골반이 좁을 때
    첫 임신에서 수술하게 되는 가장 흔한 이유가 된다. 엄마의 골반에 비해서 태아의 머리가 크면 산도로 아기가 내려오지 못하고 머리가 골반에 끼일 우려가 있다.
    ♥태아의 위치가 잘못되었을 때
    출산 예정일이 임박해오면 태아의 머리 쪽이 아래로 향하게 된다. 그런데 태아의 다리나 엉덩이 쪽이 밑으로 향해 있는 `둔위`자세가 되면 제왕절개 수술을 할 가능성이 커진다. 둔위 상태로 분만할 경우 뇌에 손상을 입을 수 있기 때문이다.
    ♥전치태반일 때
    전치태반이란 태반이 자궁 입구를 막고 있는 것을 말한다. 진통이 시작되면 태반이 아기보다 먼저 나와 출혈 등의 위험한 상태가 초래될 수 있다. 태반이 자궁벽에 심하게 유착되어 있는 경우에도 수술하는 것이 안전하다.

    3. 적응증
    a. 모체와 태아의 원인
    – 아두골반불균형(CPD): 가장 흔한 원인
    – 유도분만 실패
    – 자궁기능 부전
    b. 모체의 원인
    – 35세 이상의 노초산모
    – 임신중독증
    – 출산 12시간 전에 양수가 터져 아기의 감염이 우려되는 때
    – 산모의 혈액형이 RH(-)일 경우
    – 기존에 제왕절개술을 한 경험이 있는 산모
    – 성병으로 자궁경부나 질에 균이 있을 때
    – 산모에게 당뇨, 심장병, 고혈압으로 자연분만이 어려운 때
    c. 태아의 원인
    – 태아가 거꾸로 선 경우나 옆으로 누워있을 때

    출처 : 해피캠퍼스

  • 면역조직화학법을 이용한 Rat brain의 Neuron 관찰과 항암제 Taxol과 Cisplatin의 난소암세포(SKOV3 cell line)에서의 민감도 측정

    목차

    Ⅰ. 서론

    Ⅱ. 이론
    1. 난소암
    2. Immunohistoch emistry(면역 조직 화학)
    3. 동물세포배양
    4. MTT (Thiazolyl Blue Tetrazolium Bromide) Assay
    5. Apoptosis

    Ⅲ. 실험도구 및 재료

    Ⅳ. 실험방법

    Ⅴ. 결과

    Ⅵ. 고찰

    Ⅶ. 참고문헌

    본문내용

    난소암은 여성생식기에 발생하는 암 가운데 한국 여성의 경우 자궁경부암 다음으로 발생빈도가 높다. 국내에서는 여성 암의 2.8%정도를 차지하고 있으며 자궁경부암의 경우는 점차로 감소하는데 비하여 난소암은 점차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자궁경부암의 경우에 있어서는 조기 진단에 따른 사망률의 감소를 보이는데 반하여 난소암은 조기 진단이 용이하지 않아 2/3의 환자에서는 이미 진행성 암으로 발견되므로 수술 및 보조적 치료의 개선에도 불구하고 난소암으로 인한 사망률에는 큰 변화가 없는 실정이다.
    난소암 환자의 생존율을 높이기 위해 많은 항암제들이 개발되어 사용됨으로서 생존율은 조금씩 나아지고 있지만 병기가 3기 이상인 경우 생존율은 11-41%로 아직도 여성암 중에서 가장 치명적인 암인 것이 현실이다. 난소암 치료의 항암제로 1990년 이전에는 melphalan, cyclophospamide, doxorubicin, cisplatin 등이 사용되었는데 단독 요법보다는 platinum제제를 기본으로 한 병용 요법의 효과가 더 좋아서 doxorubicin, cisplatin 또는 cyclophospamide, cisplatin 등의 병용 요법이 사용되어 왔다. 1990년대 초에 taxene계열의 paclitaxel이 난소암 치료에 도입되면서 그 뛰어난 효과로 인해 현재 난소암의 항암화학요법의 일차치료요법으로 paclitaxel과 platinum의 병용 요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면역조직화학법이란 항원항체반응의 예민성과 특이성을 이용해 특정 단백질에 대한 생성물질을 검출하는 방법으로 조직의 어떤 부위에서 단백질이 발현되는가를 정확히 육안으로 관찰하는 일종의 분석검사라고 할 수 있다. 조직 항원 (tissue antigen) 에 primary antibody를 결합시키고 primary antibody에 secondary linking antibody를 붙여 본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여성간호학 A+ CASE STUDY / 아두골반 불균형(CPD) 문헌고찰, 간호과정 1개, 인수인계 보고서

    목차

    Ⅰ. 서론
    Ⅱ. 문헌고찰
    Ⅲ. 본론
    Ⅳ. 간호과정 보고서

    본문내용

    Ⅰ서론
    ▷ 사례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우리나라 산모의 제왕절개 분만율은 OECD 회원국과 비교해 보았을 때 비교적 높다. 제왕절개분만은 산모에게는 감염과 이로 인한 사망, 전신적 기능저하, 골반 통증 등의 문제를 초래할 수 있고, 신생아에게는 신생아 호흡곤란증후군 및 모유수유 지연의 문제를 초래한다. 현재 울산미즈병원으로 실습을 오면서 제왕절개나 NSVD 대상자의 분만 후 간호를 배우게 되면서 c/sec환자를 가장 많이 접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케이스를 선정하게 되었다. 그 중 제왕절개의 이유 중 두 번 째 제왕절개와 함께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아두골반불균현(CPD)의 환자를 좀 더 자세하게 알아보고 싶은 생각이 들었기 때문에 case study로 선정하여, 가장 먼저 제왕절개 분만에 대한 정의를 파악하고, 그 후 임상실습을 통해 병리 및 생리, 원인, 증상, 진단, 치료 및 간호를 비교. 분석하여 스터디를 진행할 것이다.

    Ⅱ문헌고찰
    ▷ 병리 및 생리
    제왕절개 분만이란 복부절개를 통하여 태아를 만출 시키는 것이다 그 중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아두 골반 불균형(Cephalopelvic dispreportion)이란, 분만시에 아두가 너무 크거나, 또는 모체 골반이 너무 작아서 아두가 골반을 완전하게 통과할 수 없는 상태를 말한다. 중단되는 부위는 주로 골반 입구이며, 때로는 골반강이나 출구에서도 일어난다. 협골반( Contracted pelvis)이란, 정상골반보다 약 1cm가 짧은 경선이 하나 이상인 골반을 망한다, 협골반은 첫째, 골반이 넉넉히 크면 모영은 그렇게 중요하지 않으나 4가지형의 골반 중 어느형이라도 크기가 작은 경우, 일반적인 협소 골반인 작은 여성형 골반은 모양은 여성형 골반이지만, 각 경선의 길이들이 정상보다 약간 짧다. 태아가 너무 클 때는 분만이 중단된다. 작은 유인성골반은 아두가 횡경에 진입하지 못하므로 후방 후두위가 많으며, 분만중에는 횡경이 좁으므로 내전이 잘 되지 않고, 후방 후두위로 만출되는 비율이 높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성인간호 케이스 응급실,ER 뇌전증 epilepsy(seizure) 간호진단5 간호과정2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문헌고찰
    ① 정의
    ② 원인 및 관련요인
    ③ 병태생리
    ④ 증상 및 징후
    ⑤ 진단검사
    ⑥ 치료 및 간호

    Ⅱ. 본론
    1. 자료수집
    1) 개인력
    2) 건강력
    3) 간호력
    2. 간호문제 목록
    3. 간호진단
    4. 간호과정 적용 : 간호진단별로 작성함

    Ⅲ. 결론
    1. 느낀점, 퇴원교육
    2.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연구의 필요성
    뇌전증은 전체 인구의 약 0.5~1%에 이르는 유병률이 높은 비교적 흔한 질환이며, 이중 약 20%는 기존의 약물치료에 잘 반응하지 않는 난치성 간질로 알려져 있다. 뇌전증은 의식소실, 발작적 운동, 감각적 현상과 비정상적 행동 중 한 가지 또는 그 이상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독립적으로 발생할 수 있지만 저혈당, 약물, 알코올 금단증상, 외상성 뇌손상, 후천적 요인 등 다양한 요인들과 연관되어 발생하기도 한다.
    뇌전증은 약물치료만으로도 65% 이상의 환자에서 증상이 완화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정밀검사를 통해 수술적 치료로도 증상이 호전되기도 한다. 약물치료 이외에도 미주 신경자극술, 뇌심부자극술 등의 보조적 치료법으로 치료가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 간호과정을 통해 뇌전증 환자의 주 원인과 위험요인, 치료방법, 각 대상자의 뇌전증 종류에 따른 중재 및 치료, 간호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고자 한다.

    2. 문헌고찰
    ① 정의
    뇌전증의 증상으로 나타나는 발작(seizure)은 뇌의 비정상적인 전기방전으로 갑작스럽게 또는 일시적으로 뇌 기능의 변화가 일어나는 것이다. 발작은 임상적으로 감각, 행동, 움직임, 인식, 혹은 의식에서의 변화를 나타낸다. 증상들은 침범된 피질 영역과 관련되어 뇌의 자극을 일으키거나 생화학적 환영을 변화시키는 상황에서 발작이 일어날 수 있다.
    뇌전증은 뉴런에서 비정상적으로 반복되며 과도하고 자가 종료되는 전기적 방전이 되는 만성질환이다. 발작이 2회 이상 있는 환자에게 뇌전증으로 진단을 내린다.
    단일한 뇌전증 발작을 유발할 수 있는 원인 인자, 즉 전해질 불균형, 산-염기 이상, 요독증, 알코올 금단현상, 심한 수면 박탈 상태 등 발작을 초래할 수 있는 신체적 이상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뇌전증 발작이 반복적으로(24시간 이상의 간격을 두고 2회 이상) 발생하여 만성화된 질환군을 의미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히가시노 게이고의 <옛날에 내가 죽은 집> 독후감-줄거리, 감상 등

    목차

    1. 들어가며
    2. 줄거리
    3. 삼대째 이어진 아동학대의 고리
    4. 상처를 대하는 두 인물의 상반된 태도
    5. 옛날에 죽은 나는 지금 어디에 있을까?

    본문내용

    1. 들어가며
    호기심이 이는 제목이었다. 옛날에 내가 죽은 집에 나는 어떻게 가게 되었을까? 타임워프물일까? 미스테리물일까? “그 집을 생각하면 지금도 몸서리가 쳐진다.”라는 도입부의 문구를 읽고는 같이 이 집을 찾아간 여성이 알고 보면 귀신이었던 건 아닐까, 라는 상상을 하기도 했다. 결과적으로 나의 상상은 완전히 어긋났다. 히가시노 게이고의 소설은 크게 세 장르로 구분된다. 본격 추리물, 사회파 추리물, 휴먼드라마. <옛날에 내가 죽은 집>은 본격 추리물과 사회파 추리물 그 중간에 있는 소설로, 사회문제를 다룬 <공허한 십자가>, <인어가 잠든 집> 등의 전신이라고 할 만한 작품이다. 완성도 측면에서는 아쉬운 점이 있지만, 개인적으로 히가시노 게이고의 사회파 추리물을 좋아하는 입장에서는 환영할 만한 작품이었다. 일본에서 1994년에 출간되었으며, 2008년 한국에 처음 소개되었다가 2019년에 재출간되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 서평_횡설수설하지 않고 정확하게 설명하는 법을 읽고 나서

    목차

    없음

    본문내용

    학교생활이나 직장생활을 하다 보면 그다지 어렵지 않은 내용을 필요 이상으로 어렵게 설명하는 사람을 종종 본다. 그런 사람들을 보게 되면 저 내용을 굳이 저렇게 설명해야 하나 하는 의문, 학교나 직장에서 뭔가를 배울 때 한 번쯤은 가져본 적 있을 것이다.

    물론 다른 사람이 하는 설명만 답답한 건 아닐 것이다. 내 딴에는 공들여 설명했더니 상대는 이해되지 않는다는 표정으로 그래서 <결론이 뭐라는 것이지> 라는 Feedback이 와서 당황해본 경험도 많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혹평을 날린 상사 때문에 자괴감을 느껴본 이들도 상당수일 것이다.

    실제로 일본에서 실시한 조사에서 <당신은 설명을 잘하는 편입니까, 그렇지 않은 편입니까>라는 질문에 그렇지 않은 편이라고 답한 사람이 약 82퍼센트에 달했다고 한다. 그 만큼 사회에 설명 잘하는 재주를 갖춘 이는 생각보다 많지 않다는 것이다. 그러다 보니 설명이 필요한 시점에 거침없이 입을 여는 사람보다는 설명할 일이 있으면 일단 뒤로 숨는 사람들이 훨씬 많게 되는것이다.

    이렇게 설명이 필요한 일은 많아도, 정작 설명쯤은 별일 아닌 듯 수월하게 해내는 사람은 별로 없다. 그러나 이 책의 저자이자 강연가로 활동하는 고구레 다이치는 사실 설명이 그렇게 까다로운 것은 아니라고 강조한다.

    예를 들어 설명을 잘하기 위해 특별한 센스를 타고나야 하는 것도 아니고 성격이 밝아야 하는 것도 아니라는 것이다. 말주변, 목소리 크기나 태도, 유머 감각도 설명 능력과 그다지 상관없다고 말한다. 저자는 나는 설명에 소질이 없다는 태도와 생각을 버리고 알기 쉬운 설명을 만드는 데 필요한 일종의 공식을 익히고 연습하면 누구나 설명을 능숙하게 할 수 있다고 강조한다.

    조직 특히 회사에서 설명을 잘하는 것은 무조건 유리하다. 일반적으로 설명은 프레젠테이션이나 영업 활동을 할 때만 필요하다고 생각하는데 이는 오해이다. 직종이나 직책과 상관없이 누구든지 직장에서는 설명을 해야 할 상황에 놓이게 되어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성인간호 케이스 녹내장Glaucoma suspect 간호진단5 간호과정1 급성통증 A+보장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문헌고찰

    Ⅱ. 본론
    1. 자료수집
    2. 간호문제 목록
    3. 간호진단
    4. 간호과정 적용 : 간호진단별로 작성함

    Ⅲ. 결론
    1. 느낀점, 퇴원교육
    2.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녹내장’은 눈으로 받아들인 빛을 뇌로 전달하는 시신경에 이상이 생겨 시야가 점점 좁아지는 질환이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하 건보공단)이 세계녹내장주간(22.3.7~3.13)에 발표한 데이터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16~2020년) 국내 녹내장 환자는 연평균 4.5%씩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0년 녹내장 진료인원은 총 96만 4812명을 기록해 2016년 80만 8012명보다 15만 6800명(19.4%) 증가했다. 환자 연령대는 60대가 전체 연령대의 25%를 차지하며 가장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국내에서 녹내장 환자가 증가하는 이유는 인구 고령화, 당뇨병•고혈압 질환을 동반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환자 10명 1명은 20‧30대의 젊은사람이기에 주의가 필요하다. 이처럼 점점 유병률이 증가하는 녹내장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2. 문헌고찰
    ① 정의
    녹내장이란 눈으로 받아들인 빛을 뇌로 전달하는 시신경에 이상이 생겨, 그 결과 시야결손이 나타나는 질환으로, 방치하면 실명(시력을 잃어 앞을 못 보게 됨)에 이르게 되는 질병이다.

    ② 원인 및 관련요인
    원발성 폐쇄각 녹내장
    (primaryclosure-angle glaucoma)
    흔하지 않은 형태로 증상 없이 갑자기 발생하며 응급치료가 필요하다. 근본적인 문제는 나이가 들어 수정체가 두꺼워져 홍채가 각막 쪽으로 이동하여 전방 각이 좁아지거나 폐쇄되어 방수의 배출을 방해하기 때문이다. 특히 안축장(눈의 길이)이 짧은 사람에서 많이 발생한다.

    원발성 개방각 녹내장
    (primary open-angle glaucoma)
    원발성 녹내장의 가장 흔한 형태로 양측성이고 초기 단계에서는 증상이 없다. 전방각을 통한 방수의 배출이 감소되기 때문에 방수는 생성된 양만큼 눈에서 빠져 나올 수 없어 안압은 점차로 상승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