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연구 방법과 범위의 설정
2. 선행 연구 고찰
3. 4차 산업혁명의 기술을 활용한 한국 군사 혁신의 방향성 논의
1) 군사 혁신의 개념
2) 한국 군대의 현 주소: 육군을 중심으로
3) 군사 혁신의 방향성 및 전략
가. 멀티플레이가 가능한 군사의 양성
나. 메가시티 작전의 수행
다. 사이버전에의 대응
라. 무인 드론의 발전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4차 산업혁명 시대가 도래했느냐 하지 않았느냐에 대한 논의는 이제 무의미하다. 현 시대는 명백한 4차 산업혁명의 시대이다. 우리는 이미 일상생활에서도 4차 산업 혁명의 기술과 기계를 활용하고 있다. 그런데 4차 산업혁명이 정확히 무엇일까. 이 개념은 2016년 스위스 다보스 포럼에서 처음 제시된 것으로 핵심은 고차원적 정보 처리와 ICT를 통한 기술 구현이다. 핵심은 3차 산업혁명과 마찬가지로 ‘정보’에 있지만 그것이 한 단계 진화, 발전된 형태이다.
그런데 우리가 ‘혁명’이라고 이야기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기술 발전과 변화로 인한 영향이 국지적인 것이 아니라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전반에 걸쳐서 나타나야 한다. 따라서 4차 산업혁명이라는 것은 IoT, 클라우드, 빅데이터 등의 기술이 사회에 전방위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의미이며, 이에 따라 군사 분야에서도 4차 산업혁명의 물결을 맞이하게 되었다.
4차 산업혁명은 국방 분야에서 기존의 전쟁의 개념 자체를 바꿔 놓을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미래의 전쟁은 과거의 재래전에 비해 몇 가지의 차이가 나타나는데, 핵 전쟁의 가능성은 배제하고 예컨대 무인 항공기(드론)의 사용, 로봇의 활용, 테러나 역사, 종교, 이념 등에 따른 다양한 종류의 비정규전, 전시와 평시를 구별하지 않는 비군사적/준군사적 수단을 이용한 분쟁의 증가 등을 예상해 볼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미래전의 양상이 현실에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물론 미래전 자체가 발생하지 않는 것이 가장 좋겠지만) 첨단 기술을 갖추어야 한다. 이미 미래전에 대응하기 위한 선진국들의 경쟁은 시작되었다. 특히 미국, 러시아, 중국 등의 국가는 이미 상당 수준에서, 상당한 범위에서 4차 산업 혁명이 군사와 국방에 미칠 영향력에 대해 예견하고 장기간 이와 관련된 대규모의 연구 개발을 해 왔으며, 실제 전투와 전쟁에서 이러한 기술을 활용하고 있는 상황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