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Uncategorized

  • 아동 또는 신생아의 건강과 관련된 국내 보건정책 소개

    목차

    1. 정책 선정 이유
    2. 정책 선정 방법
    3. 정책 소개
    4. 위 정책에 대한 나의 견해

    본문내용

    ‘아동의 삶과 대한민국의 미래를 바꾸는…’ 이라는 슬로건으로 12년에 개정된 아동복지법에따라 중기계획으로 1차 아동정책 기본계획을 15년부터 19년까지 아동이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생활공간(가정, 어린이집, 유치원, 학교)을 기반으로 아동 건강을 통합 관리하는 체계를 구축한다는 목표로 시행이 되었지만, 19년부터 20년까지 아동과 신생아 관련된 학대피해 보도가 많이 나오고 있다.
    모든 아동은 행복하고 건강하게 성장할 권리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동을 보호해야 할 가족과 사회가 아동을 보호하지 못하고 다수의 아동이 학대에 노출되어 있다. 우리나라에서 아동학대에 관한 대책은 오랜 기간 변화의 과정을 거쳐 왔지만, 아동학대는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고 피해아동에 대한 적절한 보호를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정신 의학용어

    목차

    1. 정신과적 증상 Psychiatric Symptoms TEST
    2. 약어

    본문내용

    11. 환각 hallucination [həˌluːsɪˈneɪʃn]
    12. 환청 auditary hallucination [ɔːdətɔːri həˌluːsɪˈneɪʃn]
    13. 환촉 tactile hallucination [tǽktil həˌluːsɪˈneɪʃn]
    14. 환시 visual hallucination [víʒuǝl həˌluːsɪˈneɪʃn]
    15. 환미 gustatory hallucination [gʌ́stǝtɔ̀ː həˌluːsɪˈneɪʃn]

    <중 략>

    ● 약어

    1
    AD
    alzheimer`s disease (dementia)
    [άːltshàimǝrz dizíːz] [diménʃiǝ]
    알쯔하이머 (치매)

    2
    ADHD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ease
    [ǝténʃən défǝsit hàipǝræktíviti dizíːz ]
    주의결핍 활동항진 장애

    3
    C.A
    chronological age
    [krὰnǝlάdʒik eidʒ]
    생활연령

    4
    CNS
    central nervous system
    [séntrǝl nə́ːrvǝ sístǝm]
    중추신경계

    5
    DSM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àiǝgnάstik ænd stǝtístikəl mǽnjuǝl ɑv méntl disɔ́ːrdǝr]
    정신장애의 진단 통계 지침서

    6
    DT
    delirium tremens
    [dilíriǝm ˈtriːmənz]
    진전성 섬망 (음주섬망)

    7
    ECT
    electroconvulsive therapy
    [ilèktroukənvʌ́lsiv θérǝpi]
    전기경련법요법

    8
    I.Q
    intelligence quotient
    [intélǝdʒəns kwóuʃənt]
    지능지수

    출처 : 해피캠퍼스

  • 근골격계 의학용어

    목차

    없음

    본문내용

    1
    acetabulum
    [æ̀sǝtǽbjǝlǝm]
    관골구
    2
    acromion
    [ǽkrou미온]
    견봉 (어깨돌기)
    3
    articular cartilage
    [ɑːrtíkjǝlǝr kάːrtilidʒ]
    관절연골
    4
    calcium
    [kǽlsiǝm]
    칼슘
    5
    cancellous bone
    [kǽnsəlǝs boun]
    해면골
    6
    cartilage tissue
    [kάːrtilidʒ tissue]
    연골조직
    7
    compact bone
    [kǝmpǽkt boun]
    치밀골
    8
    condyle
    [kάndail]
    과돌기
    9
    cranial bones
    [kréiniǝl boun]
    두개골
    10
    diaphysis
    [daiǽfǝsis]
    뼈몸통 (골간)
    11
    disk
    [disk]
    판 (원판, 반)
    12
    epiphyseal plate
    [iˌpifəˈsēəl pleit]
    골단판
    13
    epiphysis
    [ipífisis]
    뼈끝
    14
    facial bones
    [féiʃəl boun]
    안면골 (얼굴뼈)
    15
    false ribs
    [fɔːls rib]
    거짓 늑골
    16
    fissure
    [fíʃǝr]
    고랑 (틈새)
    17
    floating ribs
    [floʊtɪŋ rib]
    떠 있는 늑골
    18
    fontanelle
    [fὰntǝnél]
    천문

    19
    foramen
    [fǝréimǝn]
    구멍
    20
    fossa
    [fάsǝ]

    21
    haversian canals
    하버스 [kəˈnæl]
    하버스관
    22
    malleolus
    [mǽlioulǝs]
    복사
    23
    mastoid process
    [mǽstɔid prάses]
    유양돌기
    24
    medullary cavity
    [médǝlèri kǽvǝti]
    골수강

    출처 : 해피캠퍼스

  • 내분비계 의학용어

    목차

    1. 내분비계 Endocrine system
    2. 내분비계 Endocrine system test
    3. 약어

    본문내용

    * 내분비계 Endocrine system

    1. adrenal cortex [ǝdríːnəl kɔ́ːrteks] 부신 피질
    2. adrenal medulla [ǝdríːnəl mǝdʌ́lǝ] 부신 수질
    3. ovaries [oʊvəri] 난소
    4. pancreas [pǽŋkriǝs] 췌장
    5. parathyroid glands [pæ̀rəθáirɔid glænd] 부갑상선
    6. pituitary gland (hypophysis) [pitjúːǝtèri glænd] [haipάfǝsis] 뇌하수체
    7. testes [téstiːz] 정소
    8. thyroid glands [θáirɔid glænd] 갑상선

    <중 략>

    * 약어

    1
    ACTH
    Adrenocorticotropic hormone
    [ǝdríːnoukɔ̀ːrtikoutrάfi hɔ́ːrmoun]
    부신피질 자극 호르몬

    2
    ADH
    Antidiuretic hormone
    [æntidaɪjuˈretɪk hɔ́ːrmoun]
    항이뇨 호르몬

    3
    BMR
    Basal metabolic rate
    [béisəl metabolic reit]
    기초대사율

    4
    DI
    Diabetes insipidus
    [dàiǝbíːtis insípədəs]
    요붕증

    5
    DM
    Diabetes mellitus
    [dàiǝbíːtis mélitəs]
    당뇨병

    6
    FBS
    Fasting blood sugar
    [fǽstiŋ blʌd ʃúgǝr]
    공복시 혈당

    7
    FSH
    Follicle-stimulating hormone
    [fάlikəl stɪmjuleɪtɪŋ hɔ́ːrmoun]
    난포 자극 호르몬

    8
    GH
    Growth hormone
    [grouθ hɔ́ːrmoun]
    성장 호르몬

    9
    GTT
    Glucose tolerance test
    [glúːkous tάlərǝns test]
    당부하 내성 검사

    출처 : 해피캠퍼스

  • 간호관리학 실습, 욕창 QI 보고서입니다.

    목차

    1. 문제 선정 및 배경
    2. 문제 해결을 위한 원인 및 영향요인 분석
    3. 문제 해결을 위한 조직 역량과 환경요인 분석(SWOT)
    4. 목표설정하기
    5. 수행전략 수행하기
    + 욕창안내문, 욕창 예방 실무지침 이행도 Check list, 체위변경 기록지
    6. 전략실행 및 평가하기

    본문내용

    1) QI 업무

    2) QI 실습

    주제 : 욕창 예방과 관리

    ■ QI 진행절차

    >1단계 : 문제 선정 및 배경

    문제 목록
    우선순위 평가
    기준
    욕창 예방 교육 및 활동 부족
    1

    문제의 크기
    문제의 심각도
    사업의 추정효과
    3
    2
    3

    (3 + 2 x 2) x 3 = 21
    정맥염 예방 활동 부족
    2

    문제의 크기
    문제의 심각도
    사업의 추정효과
    2
    2
    3

    (2 + 2 x 2) x 3 = 18
    간호사의 손 씻기 미흡
    3

    문제의 크기
    문제의 심각도
    사업의 추정효과
    2
    2
    2

    (2 + 2 x 2) x 2 = 12

    <배경>
    노인 인구 증가로 만성 및 중증 환자가 늘어남에 따라 욕창 위험이 증가하고, 입원 환자의 욕창 발생 시 합병증 발생 및 재원 기간의 연장 등 치료에 부정적인 요소로 작용한다. 특히 000병동은 환자들의 평균 연령이 높기에 특히 욕창 예방에 신경을 써야 한다. 이에 따라 욕창 예방을 위해 지속적으로 보호자, 간병인에게 교육을 하고 욕창 예방 관리 능력을 향상시켜 욕창 발생률을 감소시킴으로써 안전한 의료 환경을 구축, 신뢰받는 병원 이미지를 높이고 교육에 따른 참여율과 이행률을 높여 궁극적으로 환자의 삶의 질을 높이고자 함에 있다.

    >2단계 : 문제 해결을 위한 원인 및 영향요인 분석
    ■ FISH BONE CHART

    >3단계 : 문제 해결을 위한 조직 역량과 환경요인 분석(SWOT)

    Strength
    Weakness
    – 24시간 보호자(간병인)이 옆에 상주하고 있다.
    – 병동 내부에 공기 매트가 있다.
    – 욕창에 대한 주기적인 교육을 시행할 시간 부족

    출처 : 해피캠퍼스

  • 모바일 SNS의 활성화가 관계형성에 미치는 영향-카카오톡, 페이스북, 트위터 이용자를 중심으로

    목차

    Ⅰ 서론
    -연구의 배경
    -문헌고찰
    -연구문제 및 가설
    -용어설명

    Ⅱ. 본론
    -조사 대상자 및
    자료수집방법
    -조사결과

    Ⅲ. 결론

    본문내용

    1.1연구의 배경

    주목적: 스마트폰이 활성화됨에 따라 우리는 이전과 달리 편리하게 정보를 찾고 의사소통을 할 수 있게 되었다. 특히, SNS(Social Network Service)의 활성화로 의사소통의 매개체가휴대전화 사용 이외에도 많아져, 우리는 쌍방향, 실시간으로 정보나 소식을 주고받을 수 있게 되었다. 페이스북과 트위터는 SMS, 블로그, 메신저의 특성이 통합적으로 반영되어 있고,카카오톡은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모바일 메신저로, 그룹 및 일대일 채팅이 가능하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성을 지닌 SNS가 개인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YTN뉴스]2012-01-03 01:11
    “SNS가 대인관계 더 활성화 시킨다”
    SNS, 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이용하는 사람들은 이른바 오프라인에서의 대인관계가 줄어들기보다 그대로거나 더 활발해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소화기계 의학용어

    목차

    없음

    본문내용

    구강 Oral cavity
    인두 Pharynx
    식도 Esophagus
    위 Stomach

    소장 Small intestne

    십이지장 Duodenum

    공장 Jejunum

    회장 Ileum

    대장 Large intestne

    맹장 Cecum

    상행결장(=오름결장) Ascending colon

    횡행결장(=가로결장) Transverse colon

    하행결장(=내림결장) Descending colon

    하행결장(=내림결장) Descending colon

    직장 Rectum

    항문 anus
    Ⅰ 소화기계

    1
    구개
    palate
    [pǽlit]
    2
    목젖
    uvula
    [júːvjǝlǝ]
    3

    tongue
    lingua
    [tʌŋ]
    [líŋgwǝ]
    4
    편도
    tonsil
    [tάnsil]
    5
    잇몸
    gum
    [gʌm]
    6
    치아
    teeth
    [tiːθ]
    7
    타액
    saliva
    [sǝláivǝ]
    8
    설소대
    frenulum linguae
    [frénjǝlǝm líŋgwǝ]
    9
    이하선
    parotid gland
    [pǝrάtid glænd]
    10
    인두
    pharynx
    [fǽriŋks]
    11

    throat
    [θrout]
    12
    식도
    esophagus
    [isάfǝgǝs]
    13

    stomach
    [stʌ́mǝk]
    14
    십이지장
    duodenum
    [djùːoudíːnǝm]
    15

    liver
    [lívǝr]
    16
    담낭
    gallbladder
    [ɡɔ́:lblæ̀dər]
    17
    췌장
    pancreas
    [pǽŋkriǝs]
    18
    공장
    jejunum
    [dʒidʒúːnǝm]

    출처 : 해피캠퍼스

  • 사금융대출이 서민경제에 미치는 영향

    목차

    I. 서론
    1) 문제 제기
    2) 연구의 내용
    3) 연구의 목적

    II. 문헌고찰
    1) 유사 선행 연구사례
    2) 유사 선행 연구사례를 통한 연구 방향
    I. 연구 방법
    1) 가설 설정
    2) 개념 정의
    3) 조사 설계

    III. 자료 분석 및 해석

    IV. 결론

    V. 해결방안

    VI. 설문지

    본문내용

    Ⅰ. 서론

    본 연구는 사금융 대출이 서민에게 실질적으로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는 연구이다. 사람들은 서민계층이 파산하는 이유 중 하나를 사금융 대출로 꼽는다. 사금융 대출은 개인적인 경제 상황에도 악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많은 비용을 발생시킨다. 사금융대출에 대한 위험은 매스컴에서 이미 충분히 다뤄져왔다. 하지만 서민들이 왜 그런 위험성이 다분한 사금융 대출을 이용하는지에 대한 이유는 잘 알지 못한다.
    우리는 사금융 대출과 파산율 사이에 비례관계가 있을것이라고 예상하고 파산을 한 사람중에 사금융대출을 이유로 파산한 확률을 알아보도록 하겠다. 또, 심층 면접을 이용해 사금융 대출을 이용해 파산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그 원인과 해결 방안에 대해 말해보고자 한다.

    Ⅱ. 문헌고찰

    1.유사 선행 연구에 대한 사례

    출처 : 해피캠퍼스

  • 낙태에 대한 찬반 논의

    목차

    Ⅰ. 서 론
    1. 낙태의 정의
    2. 낙태의 관한 법률

    Ⅱ. 본 론
    1. 문제제기
    2. 낙태의 실태 및 현황
    3. 낙태에 대한 찬성 의견
    4. 낙태에 대한 반대 의견

    Ⅲ. 결 론

    Ⅳ. 참고문헌

    Ⅴ. 역할분담

    본문내용

    1. 낙태의 정의
    낙태란 일반적으로 인공유산이란 용어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인공유산은 태아가 생존능력을 갖기 이전의 임신 시기에 인공적으로 임심을 종결시키는 것으로 적응증에 따라 치료적 유산과 선택적 유산으로 나눌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유산의 정의가 완전히 확립되지 않았으나, 모자보건법시행령 제 15조를 참고해보면 ‘임공임신중절은’ 임신한 날로부터 28주 이내에 있는 자에 한하여 할 수 있다. 라는 규정이 있다. 낙태는 외부의 자극 없이 일어나는 자연유산과 외부의 간섭으로 일어나는 인공중절로 나뉜다. 낙태는 28주 내에 가능하며 28주 후에는 태아가 너무 크기 때문에 낙태수술을 진행 할 수 없다. 네이버 백과사전 – 낙태

    2. 낙태의 관한 법률 법령정보센터 – 낙태

    1) 대한민국 형법에서의 낙태
    제 269조(낙태)
    ① 여자가 약물 기타 방법으로 낙태한 때에는 1년 이하의 징역 또는 200만 원 이하 벌금에 처한다.
    ② 여자의 촉탁 또는 승낙을 받아 낙태하게 한 자도 제1항의 형과 같다.
    ③ 제2항의 죄를 범하여 여자를 상해에 이르게 한 때에는 3년 이하의 징역에 처한다. 사망에 이르게 한 때에는 7년 이하의 징역에 처한다.

    제 270조(의사 등의 낙태, 부동의 낙태)
    ① 의사, 한의사, 조산사, 약제사 또는 약종상이 여자의 촉탁 또는 승낙을 받아 낙태하게 한 때에는 2년 이하의 징역에 처한다.
    ② 여자의 촉탁 또는 승낙 없이 낙태하게 한 자는 3년 이하의 징역에 처한다.
    ③ 제1항 또는 제2항의 죄를 범하여 여자를 상해에 이르게 한 때에는 5년 이하의 징역에 처한다. 사망에 이르게 한 때에는 10년 이하의 징역에 처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위장염 아동 간호

    목차

    없음

    본문내용

    ➤ 정의
    : 위장염은 구토와 설사가 동반될 수 있는 위와 장의 염증이다. 다른 말로는 급성 설사라고 한다. 위장염은 위장관의 일부에 손상을 입힐 수 있다.
    : 5세 미만의 아동은 매년 평균 2회의 위장염 증상을 보인다.
    : 위장염이나 설사가 있는 영아와 어린 아동은 빠르게 탈수가 일어날 수 있고 소실된 수분과 전해질이 보충되지 않으면 저혈량 쇼크의 위험이 있다.
    <원인>
    ① 급성의 문제 ② 바이러스 ③ 세균 ④ 기생충 감염 ⑤ 만성질환
    : 로타바이러스(rotavirus)가 5세 미만 아동의 중증 위장관염의 주요 원인 -> 예방접종 필요

    ➤ 병인과 병태생리
    <아동의 설사 원인> -> 항상 특별한 병인이 발견되는 것은 아니다.

    원인
    장의 증상
    정서적 스트레스(불안, 피로)
    운동성 증가
    장염(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과성장)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