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Ⅰ. 서론
1.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데 있어서 이 장애의 의미는 무엇인가
Ⅱ . 본론
1. 선택한 환자의 증상 및 진단
2. 주인공의 문제 발생의 배경 및 발달상 특징
3. 주인공의 심리적 역동
4. 주인공이 이 장애를 안고 성인으로 성장 시, 발행될 문제 예측
Ⅲ . 결론
1. 심리치료 목표 및 전략
2. 이상 심리학 수강 소감
Ⅳ.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데 있어서 이 장애의 의미는 무엇인가
미국 정신의학협회인 APA의 DSM-5에 의하면 ADHD는 부주의 또는 과잉행동 충동성을 주된 증상으로 하는 정신 장애다. 세계보건기구의 국제 질병 및 건강문제 분류인 ICD-10에서는 ADHD는 운동과다성장애로 부르는데 ADHD의 핵심적인 증상으로는 충동성, 과잉행동, 주의산만, 부주의 등이 있다. 그러나 나이나 발달과정에 따라서 핵심증상 양상이 다르기에 진단과 평가가 이루어질 때 이러한 부분을 자세하게 확인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생애주기에 따라 살펴보면 학령전기에는 과잉행동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학령기와 청소년기를 지날수록 충동성과 부주의에 의한 어려움이 커진다. 특히 성인기가 되면 과잉행동은 청소년기나 학령전기보다 감소하지만 부주의와 충동성에 따른 문제가 증가한다. ADHD를 지닌 소아청소년 중에서 10명 중 6명 정도는 성인기에도 증상이 계속해서 나타난다.
성인이 되어서 ADHD 진단을 받은 환자 대부분은 소아청소년기에 ADHD로 진단되지 않고 소아청소년의 ADHD와는 다른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ADHD는 특정 나이에 발생하고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생애주기적인 질환으로 전 생애주기에 걸쳐 삶에 영향을 미친다. DSM-5에서 ADHD는 평균적으로 소아 중 약 5%, 성인 중 약 2.5% 정도 발생한다고 보고한다. 학령전기의 ADHD 유병률은 약 2~8%로 남자아이에게 더 많이 나타난다고 보고되었다. 성별의 발생 비율 차이는 소아는 약 2대 1, 성인은 1.6대 1로 남성에게 더 많이 발생하고 여성은 부주의 증상을 더 많이 나타낸다고 확인되었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