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Uncategorized

  • [A+ 케이스] 전방십자인대파열 ACL rupture_간호진단2개(급성통증, 신체기동성장애)

    목차

    Ⅰ 질병고찰
    Ⅱ 사례보고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정의
    전방십자인대(ACL)는 사람의 무릎에 있는 네 개의 중요한 인대(전방십자인대, 후방십자인대, 내측부인대 및 외측부인대) 중 하나로 무릎 관절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기능을 한다. 이는 다리 윗부분에 위치한 대퇴골이 아래쪽 경골보다 앞쪽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고 무릎 관절의 과신전, 경골의 회전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전방십자인대파열(ACL rupture)은 과도한 운동이나 외상으로 인해 십자인대가 찢어지거나 파열된 상태를 의미한다.

    • 무릎인대 구조
    무릎은 윗부분의 대퇴골, 아랫부분의 경골과 비골이 만나 이루어지는 관절로 여러 가지 인대들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관절의 안쪽에는 십자모양으로 엇갈리게 위치한 전방십자인대와 후방십자인대가 있다. 관절의 바깥 부분에는 양다리의 안쪽에 위치한 내측 측부인대, 바깥쪽에 위치한 외측 측부인대가 있다. 무릎인대는 슬개골 주변의 대퇴사두근인대, 슬개건이 함께 작용하여 무릎을 신전시키는 역할과 무릎 관절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 무릎인대가 손상되면 전후방, 측방, 회전에 불안정성이 나타난다. 전방십자인대는 무릎 관절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기능을 한다. 이는 다리 윗부분에 위치한 대퇴골이 아래쪽 경골보다 앞쪽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고 무릎 관절의 과신전, 경골의 회전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후방십자인대는 무릎 관절의 돌림에 있어 축으로 작용하며 정강뼈가 넙다리뼈에 대해 뒤쪽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풍부한 기계적 수용체가 존재하여 고유 체성 감각에 관여한다. 이는 경골이 대퇴골보다 뒤로 밀리지 않도록 지지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 Amelia Sung 브이심 견갑난산 케이스 _ 간호진단2개(급성통증, 감염의위험)

    목차

    I. 서론
    1. 질병고찰
    2. 간호사정

    II. 본론
    1. 간호과정
    2. Document Assignment
    3. Guided Reflection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

    1. 견갑난산에 관한 질병고찰

    정의
    정의: 견갑난산은 머리는 분만되었는데 앞쪽 어깨가 치골궁 아래를 통과하지 못한 상태이다. 이는 질 분만을 마무리하는 도중 태아와 모체의 이환율 및 사망률 위험을 높이는 흔하지 않은 산과적 응급상황이다.
    원인과 위험요인
    ① 원인: 견갑난산은 태아 어깨와 골반 입구의 불일치로 발생하는데, 이는 지나치게 큰 태아 (4000g 이상) 혹은 위치 이상이 원인이다.
    ② 위험요인: 견갑난산의 위험요인은 다음과 같다.
    · 임부의 당뇨병 (거대 태아)
    · 이전 출산 시, 견갑난산의 병력
    · 다태아 임신
    · 분만 2기의 지연
    : 분만 2기가 지연되고 *산류가 점점 커지는 것은 견갑난산의 징후이다.
    *산류: 분만 시 좁은 산도를 태아가 통과할 때 태아의 몸의 선진부가 압박되어 그 일부에 생기는 울체성 부종
    합병증
    합병증: 출산 종결 지연과 관련된 질식이나 출산에 사용되는 조치들로 인한 외상으로 태아의 손상이 발생한다. 외상으로 인한 태아 손상으로는 상완골 또는 쇄골의 골절, 한쪽의 상완신경총 마비가 있다. 견갑난산의 모체 측 합병증으로는 산후출혈과 직장손상이 있다.
    치료
    – 우선적으로 산모의 자연스러운 힘주기와 함께 회음부 절개를 충분히 하고, 필요 시 진통제를 사용하며 조심스럽게 견인을 실시한다. 견인에 의해 어깨가 나오지 않는다면 신생아의 입과 코를 깨끗이 흡입하고 난 후 치골 하부에 꽉 끼인 앞쪽 어깨를 분만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수기를 시도해서 분만을 한다.
    ① 치골상부를 압박하는 방법
    치골상부를 손바닥이나 주먹으로 하방으로 압력을 가하며 아두를 부드럽게 하방으로 잡아 당겨 앞쪽 견갑 분만을 시도한다. 이 시술은 견갑을 내전시키거나 비스듬하게 하며 골반의 가장 넓은 부분을 지나게 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 케이스] 조기진통 케이스 _ 여성간호학실습 케이스

    목차

    1. 간호력
    2. 질병에 대한 기술
    3. 투약
    4. 검사(blood, urine, X-ray, CT, MRI, 태아 관련 검사 등)
    5. 특수치료 또는 프로그램
    6. 간호과정

    본문내용

    1) 일반 정보

    이름: 박○○

    나이:
    성(sex) : Female
    입원일 :
    진단명 1) preterm labor without delivery,
    임신 주수: 23 주(week) 6 일(day)
    22weeks or more, and less than
    결혼 여부: □미혼 ■결혼 □이혼, 별거, 사별 □기타
    34weeks pregnancy
    교육 정도: 대학(원)

    간호에 임한 기간:

    주호소 및 질병 진행 과정:
    주호소 : “배가 뭉쳐요.”
    “똑바로 누우면 뭉치고 옆으로 누우면 덜해요.”
    “화장실 갔는데 피가 났어요.”
    입원동기
    : 팬티에 묻어나오는 spotty(불규칙)한 출혈 있고 화장실에서 소변볼 때 blood clot 1덩이 있었다고 함
    Abd pain (+): 아랫배 땡기는 느낌, 특히 LLQ
    Labor pain (-)
    Vaginal discharge / bleeding: -/+
    headache / visual disturbance: -/-
    GI sx: N/V/C/D (-/-/-/-)
    상기 산모 본원에서 산전진찰 받는 경산모 분으로 상기 증상으로 ER 내원 후 조기진통 가능성으로 tocolytics 쓰면서 경과관찰 위해 입원함
    2) 과거 병력 및 수술력(병 이름, 수술명 및 최초 진단 또는 수술받은 날짜)
    [산과 과거력]
    산모 □없음 □HIV □TB □HBsAg □VDRL ■기타
    남편 ■없음 □HIV □TB □HBsAg □VDRL □기타

    과거 입원력 □무 ■유

    타병원 입원력 ■무 □유

    3) 가족력
    질환
    • 고혈압: 무 • 당뇨: 무 • 결핵: 무 • 간염: 무 • 기타: 무

    • 부: 무 • 모: 무 • 형제/자매: 무 • 자녀: 무 • 기타: 무

    출처 : 해피캠퍼스

  • [A+ 케이스] Vsim Maternity Case 3 Brenda Patton (Core)

    목차

    I. 서론
    1. 문헌고찰
    2. 자료수집

    II. 본론
    1. 간호과정 작성
    2. Document Assignment
    3. Guided Reflection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

    1. ROM에 관한 문헌고찰

    정의

    태아는 양막 안에 있는 양수에서 성장하고 발달하게 된다. 이때 양막이 파수 되는 경우 양수가 새어 나오게 된다. 이를 양막파수(Rupture Of Membrane, ROM)라고 한다. 임신 주수에 상관없이 진통 전에 양막이 파수되는 것은 조기 양막 파열이라고 한다.

    원인

    양막파수는 진통이 본격적으로 진행되는 활발한 분만 과정 중에 일어난다. 무색투명하거나 약간 혼탁한 액체의 질 분비물이 나오는 경우 양막파수를 의심한다. 조기 양막 파열의 경우에는 확실한 원인은 알 수 없으나 경관 무력증, 선진부의 늦은 진입, 자궁내 압력이 높은 경우, 산부의 연령, 다산부, 흡연, 조산, 임신 중 적은 체중 증가 등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임신 말기에 파열될 경우에는 파열된 후 24시간 이내에 80~90%가 분만을 시작하게 되고, 임신 말기 이전에는 임신을 더 유지하다가 조기 파열된 며칠 혹은 몇 주 이후에 분만을 하게 된다.

    증상

    많은 양의 맑은 액체가 질을 통해 흘러나온 후 적은 양의 액체가 계속 흐른다고 하면 양막파수를 의심할 수 있다. 조기 양막파수 외에 이러한 증상이 나오는 경우는 소변의 누출, 매우 많은 양의 질 분비물, 그리고 흔하지는 않지만 혈액성 이슬 등이다. 임신부에서 질을 통해 맑은 액체가 지속적으로 흐르거나, 또는 한꺼번에 많이 흐른 경우에는 즉시 병원에 방문하여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

    진단

    진단은 자궁 경부로부터 양수가 흐르는 것을 직접 확인하는 방법과 이외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 나이트라진 검사는 알칼리성 양수의 존재를 나이트라진 종이를 이용해 확인하는 방법으로, 노란색의 검사 종이가 질 분비물에 의해 파란색으로 변하면 양수가 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나이트라진 검사는 혈액, 정액, 염기성 소독제 등에 의해 위양성을 보일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응급간호학][응급의학과] 일상생활 속 발생가능한 상황별 대처법

    목차

    1. 호흡곤란(Dyspnea)
    2. 과호흡(Hyperventilation)
    3. 흉통(Chest pain)
    4. 실신(Syncope)
    5. 대사성 의식장애
    6. 급성 뇌졸중 의증(r/o stroke)
    7. 경련(convulsion)
    8. 급성 저혈당 의증(r/o hypoglycemia)
    9. 발열(fever)
    10. 알레르기 및 아나필락시스(allergy and anaphylaxis)
    11. 행동이상 및 자살(abnormal behavior and suicide)
    12. 응급 분만(Emergency delivery)

    본문내용

    1) 호흡곤란이란? : 체내 산소 공급과 이상화탄소의 배출이 정상적이지 않아 발생하는 증상으로, 천식(asthma), 만성폐쇄성폐실환(COPD), 심부전(Heart failure), 폐부종(pulmonary edema) 환자에게서 주로 관찰된다.

    2) 임상적 특징
    ① 천식(asthma)
    – 발생원인 : 기관지 평활근 수축에 의한 가역적인 기도 폐쇄
    – 특징 : 빈 호흡의 쌕쌕거리는 소리 (천명음, Wheezing sound)

    ② 만성폐쇄성폐질환(COPD)
    – 만성기관지염(chronic bronchitis): 가래를 동반한 기침, 거친 나음, 만성 청색증,
    흡기와 호기 시 저항
    – 폐기종(pulmonary emphysema): 가래를 동반하지 않은 기침, 쌕쌕거림, 나음,
    호기의 연장

    ③ 심부전(HF)/폐부종(PE)
      – 발생원인 : 심근손상으로 심부전이 발생하면 폐정맥 상승으로 폐부종이 발생
    – 특징 : 폐부종이 발생하면 폐포와 폐모세혈관 사이에 액체가 축적되어 가스의
    교환이 방해를 받아서 호흡곤란과 빈호흡이 발생함
    심한 경우, 핑크색 거품의 가래를 뱉어냄.

    3) 환자평가 – 병력청취 : OPQRST
    ① Onset발병상황) : 호흡곤란이 시작되었을 때 무엇을 하고 있었는지, 언제 시작
    되었는지, 갑자기 시작되었는지, 서서히 악화되었는지 확인
    ② Provocation(주호소 유발요인) : 무엇이 호흡곤란을 유발시켰는지, 악화&완화 시키는 요인 확인

    출처 : 해피캠퍼스

  • [A+ 자료] Ward_재활간호_석고붕대, 견인

    목차

    Ⅰ. Cast, Traction, Splint, Brace에 따른 간호
    Ⅱ. 재활간호: CPM(continuous passive motion), QSE(quadriceps strengthening exercise), SLR(straight leg raising)

    본문내용

    1) Cast 석고붕대
    • 목적: 골절 부위의 고정을 위해 사용
    • 유형
    -Short arm cast (단상지 석고붕대): 요골 또는 척골의 원위부 골절 등에 시술

    -Long arm cast (장상지 석고붕대): 요골 및 척골 골절, 기타 주관절 주변의 골절, 손목 인대의 손상, carpal bone의 경미한 골절을 치료

    -Short leg cast (단하지 석고붕대): 발목이나 발에 골절이 있을 때 무릎 아래에서 발목까지 감는 형태

    -Long leg cast (장하지 석고붕대): 무릎관절을 지나서 회음부위까지 석고붕대로 고정하며 무릎관절이나 대퇴하부의 심한 골절이나 경골, 발목뼈의 경미한 골절에 사용

    -Hanging arm cast (상박현수 석고붕대): 장상지 석고를 목에 맨 형태로, 환자가 서 있을 때 상완골과 어깨관절 부위를 지지하기 위해 사용

    -Body cast (체간부 석고): 척추골절의 고정이나 척추융합술 후, 또는 척추골 손상의 치유를 위해 사용

    -Hip spica cast (둔부수상 석고): 선천적 대퇴관절 탈구나 대퇴관절 및 무릎관절의 재건수술 후에 수술 부위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
    • 합병증
    ① Compartment syndrome (구획증후군)
    -폐쇄된 공간 내에 압력이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순환장애가 발생하는 것
    -임상증상: 극심한 통증, 환부의 저림, 감각 이상이 있다.
    -우선적인 치료: 압력을 완화하는 것이며, 지나치게 감긴 붕대를 풀거나 양쪽 측면을 잘라낼 수 있고 환부는 심장 높이로 유지함 (심장보다 높게 올리는 경우, 국소동맥관류를 감소시켜 혈액순환장애를 유발할 수 있음)

    출처 : 해피캠퍼스

  • [A+ 자료] Transient tachypnea of newborn, Respiratory distress of newborn (일과성 빈호흡, 호흡곤란증후군)

    목차

    없음

    본문내용

    사례연구 조사 기간:

    Ⅰ. 아동대상자 소개

    아동 이름
    윤00 아기
    성별/ 나이(출생년월일)

    의학적 진단명
    Transient tachypnea of newborn
    Respiratory distress of newborn, unspecified
    입원일/퇴원일

    질병과정
    상기 환아 출생 후 신생아실로 입실하였음. 출생 당시 이상소견 없었고 NR로 이동함. 이동 후 NR에서 환아 호흡 시 chest retraction 확인됨. desaturation은 관찰되지 않음. r/o TTN으로 호흡기 치료하기 위해 NICU로 전실됨.

    Ⅱ. 질병에 대한 이론적 고찰

    1. 신생아 일과성 빈호흡
    (Transient tachypnea of newborn, TTN)

    질병의 원인 및 병태생리

    [정의]
    태아는 폐속에 폐액으로 차 있는데, 출생 후 이 폐액이 자연히 흡수되고 호흡을 하게 된다. 그러나 폐액의 흡수가 지연되어 폐 속에 물이 조금 남아 있는 경우에 호흡이 정상적이지 못하고 호흡곤란이 생겨 호흡이 빨라지는 경우를 신생아 일과성 빈호흡(Transient tachypnea of newborn, TTN)이라고 한다.

    [원인]
    신생아 일과성 빈호흡은 출생 시 폐액의 흡수가 지연되어 발생한다. 이는 1000명 중 5.7명의 빈도로 발생하며 제왕절개로 출생한 아기, 경산부의 아기, 분만 시 마취로 인한 과다 진정, 둔위분만, 저출생 체중아, 주산기 가사, 당뇨병 산모의 아기에서 나타날 수 있다. 국내에서는 호흡곤란 증후군보다 흔하며 주로 만삭이 가까운 신생아에게서 발병되나, 미숙아에게서도 나타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 VSIM 5, 6 Pediatric Case _Eva Madison (Core, Complex)

    목차

    없음

    본문내용

    대상자 소개
    Eva Madison은 5세 백인 여성으로, 2일 동안 구토와 설사를 했으며 입은 촉촉하지만 입술은 건조하고 갈라져 있다. 체중은 20.5kg이고 키는 120cm이다. 특별한 병력은 없고 몇 달 전 마지막 검진에서도 체중은 그대로였다.
    질환 소개
    급성위장관염은 바이러스, 박테리아, 기생충 등으로 인해 위와 장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을 의미한다. 이는 바이러스의 감염, 박테리아나 기생충의 감염에 의해 발생하게 된다. 특히 해산물 같은 음식, 오염된 물, 감염된 사람과의 접촉, 개인 위생 불량 또는 약물에 의하여 발생할 수도 있다. 또한 감기나 기관지염 등으로 위장염의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급성위장관염의 증상으로는 대표적으로 설사와 구토가 있다. 설사로 인해 항문이 헐고 설사 및 구토로 인해 복부에 가스가 차 복부팽만감이 발생한다. 식욕 저하로 인해 발열, 피로, 허약감, 체중 저하가 나타나고 근육과 관절통이 발생하기도 한다. 급성위장관염을 진단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탈수로 인한 체액 변화와 세균 감염을 알아보기 위한 혈액 검사와 대변 검사가 있다. 대부분 자연적으로 치료되며 구토와 설사가 심한 경우에는 수액과 전해질을 보충해준다. 구토가 심한 경우 일정 기간 금식을 진행할 수도 있으며 원인균이 발견되거나 의심되면 항생제를 사용한다. 설사 원인이 감염이면 병원체 전파를 차단하고 원인을 치료해야 한다. 입원 시 접촉을 제한하고 손씻기와 개인 위생을 철저히 하며 오염된 물질은 장갑을 착용하는 등의 방법이 있다. 회음부 주위를 깨끗하게 씻고 건조시키며 보호용 로션이나 연고를 바르는 등의 피부손상을 관리해주는 것도 간호 중 한 부분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울혈성 심부전 환자 간호중재(2개)

    목차

    1. 문헌고찰
    2. 심장기능 저하와 관련된 심박출량 감소
    3. 조직 내 수분 축적과 관련된 체액과다

    본문내용

    – 심장은 좌측 제3~5늑골 사이의 종격동에 있는 근육 기관으로 신체 중심선에서 좌측으로 치우쳐 있다.
    – 심장은 심내막, 심근, 심외막 등 3개 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심장 전체는 심낭 속에 보호되어 있다.
    1. 폐순환
    – 우심방은 상, 하대정맥과 관상정맥동을 통해 전신 순환으로부터 돌아온 정맥혈을 받아 심실 확장기에 열린 삼첨판을 통해 혈액을 우심실로 보내며 우심실은 우심방으로부터 유입된 혈액을 폐동맥 판막구를 통하여 폐로 밀어낸다.
    – 폐의 가스교환 작용에 의하여 산화된 동맥혈을 좌우 두 쌍의 폐정맥을 통하여 좌심방으로 보낸다.
    2. 체순환
    – 좌심방은 폐순환으로부터 산화된 동맥혈을 받아 좌심실의 이완기에 열리는 승모판을 통해 좌심실로 보내고 또 좌심실 수축 시에 열리는 대동맥관을 통해 전신 동맥계로 박출하여 각 조직과 장기에 혈액을 공급한다.
    – 혈액순환을 하게 하는 원동력은 좌, 우심실의 펌프작용으로 발생되는 혈압이다.

    <중 략>

    1) 울혈성 심부전(Congestive heart failure)이란?
    – 심장의 펌프 기능 장애로 인하여 혈역학적인 불균형이 초래되고 심장이 신체 대사 요구에 필요한 혈액을 충분히 박출하지 못하게 된다. 이는 심박출량(CO)이 감소하여 말초 조직으로의 관류가 부적절해지고 폐와 말초에 혈액이 정체 또는 울혈 되는 상태가 되며 허혈성 심질환(ischemic heart disease, IHD), 심근증(cardiomyopathy), 고혈압(hypertension), 심장판막 질환(valvular heart disease), 선천성 심질환(congenital heart disease), 만성 폐질환(chronic lung disease), 부정맥(arrhythmia), 당뇨(diabetes mellitus), 여러 약물들의 부작용으로 인해 나타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 자료] 확장성 심근병증 Dilated Cardiomyopathy (심부전)

    목차

    Ⅰ 질병고찰
    Ⅱ 사례보고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정의
    심근병증(cardiomyopathy)은 심근세포가 변성 및 위축되거나 간질 결합조직의 증식으로 심근 본래의 기능에 장애를 받는 상태를 말한다. 심근병증은 확장성(dilated), 비대성(hypertrophy), 제한성(restrictive)으로 분류된다. 이중 확장성 심근병증(dilated cardiomyopathy)은 심근병증의 약 66%로, 가장 흔한 형태이다. 심실이 확대되고 수축력이 저하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는 심부전과 부정맥 등을 유발하는 질환이기도 하다.

    2) 원인 및 위험요인
    확장성 심근병증의 원인은 특발성이거나 바이러스성, 또는 감염성 심근염, 대사질환, 임신, 신경근질환, 결합조직 장애 등이다. 속발성의 경우, 여러 가지 원인이 가능하며 흔한 원인으로는 관상동맥 질환, 고혈압, 판막 질환, 바이러스성, 유전성이 있고 그 외에도 과음, 지속적인 빈맥, 갑상선 질환, 코카인 중독 등으로 심근병증이 초래될 수 있다. 구조적인 심근질환의 마지막 단계는 대개 확장성 심근병증, 그리고 이로 인한 심부전인 경우가 많다.

    3) 병태생리
    확장성 심근병증은 지속적인 심근의 스트레스로 심실이 확대되고, 심근의 수축력은 감소하여 심실 전체의 펌프 기능이 저하된 상태이다. 보통 좌심실과 우심실 모두 확대되고 심박출량이 감소하며, 이를 보상하기 위해 심박동수가 증가한다. 심실 확장에 문제가 생기고 심근 수축력이 비효율적으로 이루어지면 심장 내 혈액순환에 문제가 발생하거나 혈괴가 형성되기도 한다. 특발성 확장성 심근병증 대상자의 75%는 증상 발현 후 5년 이내 사망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