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Uncategorized

  • Sternberg는 사랑의 유형을 감정, 생각, 행동까지 포함한 다차원 구조로 분류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Sternberg의 사랑의 유형에 따른 분석)
    Ⅲ. 결론
    Ⅳ. 나의 생각 및 제언(발전방향)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세상에 태어나서 상대가 누구든, 타인에게 사랑의 감정을 느껴보지 않은 사람은 없을 것이다. 사랑은 사람들을 상호 끈끈한 정으로서 묶어주는 역할을 하는 아름다운 정서이다. 사랑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지만 그 중에서 이성 사이에 이루어지는 사랑은 인간이 발달함에 따라 생겨나는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말할 수 있다. 여러 학자들은 이론을 통해 그를 증명코자 하였는데, 프로이드도 그 중 한 사람이었다. 프로이드는 자신의 심리성적발달 이론을 통하여 사춘기 때 성호르몬의 분비로 인해 이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게 되면서 이성 간의 사랑 감정이 발생된다고 주장하였다. 즉, 그는 이성 사이의 사랑은 신체적 그리고 성적으로 성숙한 이후에 가능해 진다는 특징을 설명코자 했던 것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었던 사건들 가운데 사회적약자의 권익이 침해받았거나 불평등사례를 찾아 정리하고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장애인 이동권
    1) 장애인 이동권의 개념
    2) 장애인 이동권 불평등 사례
    2. 장애인 이동권 문제 대처방안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인간은 누구든지 자유롭고 안전하게 이동할 권리를 가지고 있다. 이는 일상생활을 영위하기 위한 기본적 요건이라고 할 수 있으며 교육을 받는 것부터 경제활동에 참여하는 등 사회활동을 하기 위한 전제 조건이 된다. 특히 장애인에게 이러한 이동권과 관련된 문제는 장애인의 교육권, 노동권, 문화 향유권 등을 제한하게 되는 원천적 제약이기 때문에 장애인 관련 문제에서 핵심적인 요소라고 할 수 있는 차별을 발생시키는 대표적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는 장애인의 이동권 보장을 위해서 교통약자의 이동 편의 증진 법 등 관련된 법률을 마련하기도 하였고 이에 따른 특별 교통수단의 운영을 통해 교통수단과 시설에 이동 편의시설을 설치하게 하였다. 또한 지상 버스를 운영할 수 있도록 하여 다양한 교통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교통약자법이 제정된 지 시간이 지났음에도 장애인의 이동권은 아직 완전하게 보장되지 않고 있다. 특히 제공되는 교통 서비스는 대부분 지역 내 단거리 통행을 중심으로 하고 있어 장애인은 지역 간 장거리 이동을 하기 어려운 상황들도 발생하고 있다.
    최근에는 장애인 이동권과 관련하여 지하철 시위를 시작하면서 사회적 갈등이 촉발되기도 하였는데 본론에서는 대표적인 장애인 불평등 문제라고 할 수 있는 장애인 이동권 문제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처방안은 무엇인지 제시할 것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영문 파일을 읽고, 파일 안에 있는 5문제에 대한 답변

    목차

    1. Discuss the various aspects of Gucci's brand positioning, and how it has changed over time. What are some of Gucci's main points of difference?
    1) various aspects of Gucci's brand positioning
    2) How it has changed over time?
    3) What are some of Gucci's main points of difference?

    2. What primary value does Gucci offer Millennials and Gen Z? Do you think these consumer groups will stay loyal to Gucci? How can the brand stay relevatnt to them?
    1) What primary value does Gucci offer Millennials and Gen Z?
    2) Do you think these consumer groups will stay loyal to Gucci? How can the brand stay relevant to them?

    3. What are the key drivers of MUJI's market success? What are MUJI's points of parity and points of difference relative to the competition?
    1) Key drivers of MUJI's market success?
    2) What are MUJI's points of parity and points of difference relative to the competition?

    4. What are the pros and cons of using the "no brand" strategy?

    5. How should MUJI grow its brand?

    본문내용

    1) various aspects of Gucci’s brand positioning
    구찌는 패션 업계에서 세련됨과 고급스러움, 명품으로서의 이미지, 혁신 등의 이미지로 포지셔닝한 브랜드이다. 구찌는 설립 이후 지금까지 지속적으로 고객의 자아 이미지와 위상, 위신 등에 초점을 맞춰 명품 브랜드로서 소구해왔다. 구찌는 진정성과 특별함, 수준 높은 디자인, 아이코닉한 로고 등으로 명품 브랜드로서의 지위를 유지해왔다.
    2) How it has changed over time?
    물론 구찌에게도 지금까지 부침은 존재해왔으며,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 기업과 잘 맞는 브랜드 이미지를 찾기 위해서 어려움을 겪은 기간도 있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고령사회의 사회문제와 해결방안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노인의 빈곤과 고독사
    1) 발생원인
    2) 현황
    3) 개선방안 제언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노인은 사회에서 은퇴하고 생산성의 측면에서 가치를 부여하지 않기 때문에 생산인구 보다 노인인구가 늘어난다는 것을 국가적 차원에서 위기로 파악하고 있다. 더욱이 현재 고령화는 과거 생산인구의 주축이 되었던 베이비부머가 일시에 노동인구로 편입됨과 동시에, 저출산문제도 겹쳐지면서 미래 생산인구는 줄고 고령인구가 급격하게 늘어날 전망이라는 점에서 고령화를 국가적 위기로 파악하고 있다.
    노인이 되면 개인차는 있지만 신체적 정신적 노화로 인하여 돌봄과 의료지원이 반드시 필요하게 된다. 각종 질병에 대한 위험보다 젊은 사람들에 비하여 높으며 은퇴로 인하여 활동력이 감소하여 집에만 머물게 되며 사회적 축소 및 경제적 빈곤으로 인하여 불안과 우울을 느끼게 된다. 국가의 노인복지개입이 반드시 요구되지만, 노인인구의 급격한 증가는 사회적 비용상승으로 이어진다.
    본론에서는 고령사회의 사회문제인 노인의 빈곤과 고독사 문제에 대하여 발생원인과 현황을 짚어보고 개선방안에 대하여 제언하도록 하겠다.

    Ⅱ. 본론
    1. 노인의 빈곤과 고독사
    1) 발생원인
    대부분의 노인의 경우 직장에서 은퇴하고, 자립적인 소득원이 없다. 또한 일을 하고 싶어도 노인들을 받아주는 직장이 없고 노화나 질병으로 인해 노동력을 상실한 경우가 많아 빈곤 상태가 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Corporate responsibility What, first of all, comes to your mind and why

    목차

    1. Corporate responsibility: What, first of all, comes to your mind and why?
    2. Examples of Innovative Companies
    3. Your favorite franchise store: the uniqueness you value most
    4. Privacy and Security Issues on the Net
    5. Location: key success factor

    본문내용

    4. Corporate responsibility: What, first of all, comes to your mind and why?
    오늘날 소비자나 투자사, 정부 등 점차 더 많은 기업 내외부의 이해관계자들이 각 기업에 기업의 책임을 다하라고 요구하고 있다. 소비자들은 자신들의 관점에서 지향해야 할 올바른 가치라고 생각하는 것에 대해 점차 더 큰 목소리를 내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지속 가능한 발전이라는 개념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는 최근 몇 년 동안 전 세계적으로 점차 더 큰 주목을 받고 있으며 미래 세대의 요구 사항을 충족할 수 있는 능력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현재 요구 사항을 충족하고 의무사항을 이행할 필요성을 강조하는 개념이다.
    이러한 현상은 기업의 전략 수립 방법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기업이 존재하는 본질적인 이유는 이윤 창출이다. 그러나 기업의 모든 우선순위가 이익을 추구한다면 타인의 이익을 저해하고 장기적으로 사회에 불필요한 갈등을 야기할 수밖에 없다. 이와 관련한 사례는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지난 수십 년 동안 만연해 온 이익 우선주의 사고 방식으로 인해 환경파괴가 자행되었다. 누구나 삶의 터전을 잃어 버리고 배회하는 북극곰의 모습이나 코에 플라스틱 빨대가 끼어서 괴로워하는 바다거북의 사진을 본 일이 있을 것이다.
    또한 우리나라 사회의 경우 양극화 문제가 점점 심각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소위 대기업에서 일하는 사람들은 중소기업 근로자들에 비교해서 임금 수준이 훨씬 더 높다. 이러한 사항은 공공 데이터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지니계수나 빈곤율, 혹은 상위소득점유율로 측정되는 우리나라의 소득 불평등은 오늘날 이른바 선진국 클럽이라고 불리우는 경제협력개발기구에서 가장 높은 수준에 속한다 (Woo, 2022). 이는 우리나라가 오늘날 국제사회에서 어느새 명실상부한 경제 선진국으로서 여겨지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많은 사람들을 놀라게 만드는 부분이기도 하다.

    출처 : 해피캠퍼스

  • 마키아벨리의 군주론(1532)- 경영과 리더쉽에 대한 함의

    목차

    I. 서론

    II. 본론
    1. 마키아밸리 <군주론>의 주요 내용
    1) 마키아밸리가 살았던 16세기 르네상스 시대, 그리고 피렌체
    2) 마키아벨리가 말한 군주의 통치 전략
    2. 마키아밸리의 <군주론>이 현대 경영과 리더십에 가지는 함의

    III. 결론

    IV. 참고문헌

    본문내용

    지금도 이탈리아 피렌체에 가면 메디치 가문의 숨결을 느낄 수 있는 건축물과 예술 작품이 곳곳에 남아 있다. 사실 피렌체라는 도시의 현재 모습은 메디치 가문이 완성한 것이며, 그것이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는 것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메디치 가문은 르네상스 시대에 금융업으로 막대한 부를 축적한 가문이었는데, 이들 가문에 유럽의 다른 어떤 가문보다도 널리 회자되는 이유는 이 가문에서 우리가 이름만 대면 알 법한 예술가들을 많이 후원했기 때문이다. 레오나르도 다빈치와 미켈란젤로가 대표적이다. 그런데 메디치 가문이 후원한 것은 예술가만이 아니었다. 정치사상가인 마키아밸리도 메디치 가문의 후원을 받은 인물이다. 그래서 지금도 피렌체의 산타크로체 성당에 가면 마키아밸리의 무덤이 있다.
    <군주론>은 마키아밸리의 대표 저서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 표준보육과정과 누리과정의 아동미술을 제시하고, 아동미술 지도를 위한 보육교사의 자질과 역할을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누리과정의 아동미술
    2) 아동미술 지도를 위한 교사의 자질과 역할
    3) 나의 함양 전략 방안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아동 교육은 어린 시절 인성과 인격 발달에 있어 가장 중요한 시기이다. 이 시기에 제대로 된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성장해서도 문제점이 나타날 가능성이 크다. 이 중에서도 아동 미술교육은 아동의 여러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최적의 교육이라고 볼 수 있다. 아동은 경험과 생각, 느낌, 상상 등을 표현하면서 자신의 감정과 지각, 정서 등을 알맞게 향상시킬 수 있다.
    우리나라는 2012년부터 유아교육기관을 대상으로 누리과정을 시행했다. 누리과정이란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교육과정을 하나로 합친 ‘공통의 보육과 교육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만 3세부터 5세까지의 아동을 대상으로 연령 별에 알맞은 교육과정을 실시하고, 교육 및 보육을 국가가 지원하며 도와주는 교육과정이라는 점에서 많은 이들은 누리과정에 거는 기대감은 크다.

    출처 : 해피캠퍼스

  • 현대가족의 변화에 대한 가족위기론과 가족진보론의 쟁점을 비교 설명하시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현대가족의 변화에 대한 가족위기론과 가족진보론 쟁점 비교 설명
    1) 가족위기론
    2) 가족진보론
    3) 가족위기론, 가족진보론 쟁점 비교 및 설명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현대사회는 산업화 시대를 거쳐, 우리 사회에 문화적, 경제적 변화를 가져왔고, 이러한 변화와 함께 가족은 급격히 달라지고 있다. 이것은 가족이 사회의 변화와 지속적으로 상호작용한다는 것을 뜻하며, 이 과정 속에서 가족은 기존의 가지고 있었던 가족의 기능이 축소되거나, 약화되고 가족의 형태가 여러 가지 면을 가지는 경험을 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가족의 변화는 가정폭력, 가족갈등, 신용불량 및 가계부채 증가로 인해 가족이 해체되거나, 아동과 노인을 부양하는 의무를 감당하지 못해 가족원의 출산 기피 및 유기 등 가족의 위기로 이어지면서 여러 가지 가정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가족을 둘러싼 변화는 소위 ‘가족의 위기’라 일컬어지며, 이것은 우리 사회의 주요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고 남녀 간의 결혼에 대한 보편적 가치를 부정하고 세계 최저 수준의 출산율을 보이는 것은 한국이 보이는 가족 위기의 대표적 징후로 보인다고 할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영유아발달의 관점에서 영유아기 조기교육의 실효성에 대해 서술하시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영유아기 조기교육의 실효성
    2. 영유아기 조기교육의 부정적 측면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요즘 부모들은‘1명의 자녀를 낳아 잘 기르자’는 분위기다. 그래서 대부분의 부모들은 조기교육에 관심을 갖고, 그 필요성에 대해 호기심을 갖는다. 하지만 지나친 조기교육은 아이에게 다양한 영향을 미친다. 양날의 검과 같은‘조기교육’, 과연 아이에게 필요한 것일까? 조기교육이 단순하게 부모 개인의 기대 충족 및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 이루어지면 아이는 스스로의 욕구보다 부모의 기대감에 부흥하기 위해 자신의 잠재력을 꺼내지 못할 수 있다. 아이들은 연령별 발달과정에 맞게 학습을 쉽게 습득하는 결정적인 시기가 있기 때문에 적절한 시기와 자극이 필요하다. 모국어는 만 3세 이전에 결정적 시기가 오고, 외국어는 논리 및 인지발달이 형성된 만 6세 이후에 결정적인 시기가 찾아온다. 따라서 아이의 발달에 맞는 단계별 교육을 통해 차근차근 성장해야 한다. 이때 아이 스스로 좋아하는 일에 흥미를 느끼도록 자극과 자신감을 주어야 한다. 과도한 조기교육의 문제점으로는 첫째, 과잉학습장애의 발생이다. 어릴 때부터 지나치게 조기 교육을 받은 아이는 오히려 과잉학습장애를 보일 수 있다. 이 때 아이가 공격적인 모습을 보이거나 또는 학습을 거부하기도 한다. 둘째, 조기 교육으로 인해 학습 흥미가 저하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좋은 동시’와 ‘나쁜 동시’의 차이점이 무엇일까요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좋은 동시
    2. 나쁜 동시
    3. 차이점
    4. 좋은 동시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동시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표준국어대사전」에서 동시는 어린이를 주로 독자로 예상하고, 어린이의 정서를 위한 시라고 정의하고 있으며, 「새국어대사전」에 의하면 어린이를 위한 시이며, 어린이의 동심 세계를 표현한 시라고 정의한다. 동시는 말 그대로 풀이하면 동심을 기반으로 느낌이나 생각 따위를 시적 언어를 사용하여 형상화한 글이며, 이것은 주로 어린이를 위한 시이고, 어린이가 건전한 정서를 함양할 수 있도록 하는 예술 행위이자 교육 행위이며, 동시는 시와는 다르게 동심을 향상시키는 것을 기초로 하고 있고, 주요 독자가 어린이인 만큼 교육적 기능을 감안해야 한다. 또한 동시는 어린이다운 감정과 마음을 소재로 하는 시이며, 어린이의 정서 표현을 음악적 수단을 통해 표현한 문학이라고 할 수 있다. 동시가 가진 교육적 의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동시는 박자를 맞추면서 리듬에 쾌감을 느끼고 즐거워할 수 있다. 이것은 유아가 언어와 리듬 음악성에 대해 최초로 자각하여 즐거움 정서를 표현하는 것이라 볼 수 있다. 동시를 통해 얻는 기쁨은 동시에 포함되어 있는 언어적 리듬에 대한 생생한 반응이다. 이것은 동시를 읽음으로서가 아니라 들음으로써 은유를 즐기는 것이라 볼 수 있다. 더 나아가 인간 생활과 자연에 대해 생생하게 표현한 내용을 즐길 수도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