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Ⅰ. 실험 제목
Ⅱ. 실험 목적
Ⅲ. 실험 이론
Ⅳ. 실험 방법
Ⅴ. 실험 결과
Ⅵ. 실험 고찰
Ⅶ.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실험 제목: 분쇄
Ⅱ. 실험 목적
소형 ball mill로 건식 분쇄한 고체 시료를 조업 변수(회전수, 분쇄 시간)에 따라 입경을 분석하여 분쇄 효과의 변화를 조사, 고찰하여 분쇄와 체 분석의 원리를 이해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Ⅲ. 실험 이론
(ⅰ) 분쇄(Comminution)
분쇄는 고체 입자를 기계적으로 작게 부수거나 잘라내는 조작을 말한다. 분쇄하는 목적은 고체의 표면적을 증가시켜 반응물질과의 접촉면이 증가함에 따라 연소반응 속도를 높이고, 건조나 추출의 속도를 증가시키며, 입도를 작게 함으로써 고체의 혼합을 쉽게 만들거나, 일정한 입도를 가짐으로써 화학반응 등을 좋게 하기 위함이다. 분쇄하는 원료를 쇄료, 그 제품을 쇄제물이라 한다. 분쇄에서 취급하는 쇄료 또는 쇄제물의 크기는 수 10cm에서 수 μ 이하까지 있다. 분쇄는 쇄제입자의 크기에 따라 조분쇄, 중간분쇄, 미분쇄, 초미분쇄로 구분된다. 쇄제물의 크기가 수 cm 이상일 때에는 조분쇄, 수 mm 정도일 때에는 중간분쇄, 수 100 μ으로부터 수 10 μ 정도일 때에는 미분쇄, 수 μ 이하일 때에는 초미분쇄라고 한다.
(ⅱ) 분쇄의 원리
고체를 분쇄하는 원리는 압축(compression), 충격(impact), 마모(wear), 절단(friction)과 같이 보통 4가지로 분류된다. 일반적으로 압축의 원리는 딱딱한 고체를 조분쇄하는데 쓰이고, 충격의 원리는 조분쇄나 미분쇄에 함께 쓰이며, 마모의 원리는 연하고 마모성이 적은 물질을 미분말로 분쇄하는 데 쓰이고, 절단의 원리는 일정한 크기나 모양의 입자를 생산하는 데에 쓰인다. 보통 한 가지 분쇄기에서 분쇄되는 과정에서는 4가지 원리가 동시에 작용한다.
일반적으로 분쇄를 하면 일단 조립이 먼저 된 다음에 중간립, 세립이 된다. 분쇄가 진행됨에 따라 세립의 수는 증가하나 한계값 이상에서는 거의 입경의 변화가 없다. 이는 분쇄되는 물질의 내부구조와 분쇄공정 사이에 관계가 있기 때문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