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Uncategorized

  • 한국사 영상매체와 서적 비교

    목차

    1. 광해군과 인조의 대외정책 다른 점
    2. 충신 최명길
    3. 인조, 남한산성으로 피난가다
    4. 삼전도의 굴욕 / 인조, 청 황제에게 세 번 절하다
    5. 소현세자, 청나라에 볼모로 잡혀가다

    본문내용

    드라마 “화정”
    산성일기 / 김광순 옮김
    광해군과 인조의 대외정책 다른 점
    1623년, 조선왕조의 두 번째이자 마지막 반정이 일어났다. 명분은 폐모살제(廢母殺弟)의 죄였다. 김자점, 김류, 최명길, 이괄 등의 서인들은 반정을 도모하였고, 능양군을 왕으로 추대하였다. 이것이 바로 인조반정이다.
    1636년 병자호란이 발발하고 치욕스러운 항복을 하고 난 인조와 조정 대신들은 결국 1637년 광해군을 제주도로 보내고 만다. 인조는 “국가가 10년 사이에 세 차례의 변란을 겪었으니, 광해 자신을 위해서도 제주로 옮기는 것이 편안할 것 같다.”고 밝혔지만, 실제로는 후금과의 관계를 비교적 잘 유지하려 했던 광해군이 한양과 가까운 강화나 교동에 있는 것이 부담스러웠을 것이라 짐작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성찰과 소통을 위한 글쓰기 논설문 과제

    목차

    없음

    본문내용

    ‘낙태죄를 폐지하는 것이 바람직한가?’라는 논의는 예전부터 끊임없이 이어져 왔습니다. 낙태죄에 대한 저의 의견을 드러내기 전에 우리는 낙태와 낙태죄에 대해 자세히 알 필요가 있습니다. 우선, 낙태는 다른 말로 유산이라 하고 이는 자연분만에 앞서서 자궁 내의 태아가 자연적 혹은 인위적으로 모체 밖으로 배출 혹은 모체 내에서 사망한 것을 의미합니다. 위키백과, 낙태 https://ko.wikipedia.org/wiki/%EB%82%99%ED%83%9C
    이 중에서 사람들이 흔히 말하는 ‘낙태’는 인위적으로 일어나게 만든 유산, 그중에서도 인공임신중절을 통한 유산을 말합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TISAX 인증가이드

    목차

    1. TISAX 배경
    2. TISAX 소개
    3. TISAX 인증절차
    4. TISAX 인증평가
    5. TISAX 기대효과

    본문내용

    TISAX 배경
    자동차 업계 공급망 정보보안에 대한 지속적 공격 및 보안사고 (정보유출) 발생
    제조업에 대한 위협 및 공격 증가

    BMW TOYOTA
    • 2019년 12월, 베트남 해킹그룹(ATP32) 으로 추정되는 공격으로 BMW, Toyota 네트워크 해킹,고객정보 유출

    중요정보 유출

    현대자동차
    • 2021년 1월 현대자동차 러시아법인 고객 정보(130만건) 다크웹에서 판매됨
    • 2021년 3월 현대자동차그룹 내부자료 해킹, 약 3.2GB 분량 3,500개 파일 유출 (설계도와 내부망 구성도 등)

    신뢰도 하락

    Supply Chain 취약점 노출

    FORD
    • 2021년 1월 Ford prototype 차량 정보가 공급업체에 의해 SNS에 유출 발생, 공급업체에 대한 경고 조치

    사업기회 손실

    TESLA TOYOTA VW
    • 2018년 7월 공장 레이아웃, 작업계획, 계약 정보 등이 협력회사에서 유출되어 인터넷에 노출
    • 2021.06 폭스바겐 북미/캐나다 영업 협력업체에서 고객정보 330만건 유출

    출처 : 해피캠퍼스

  • 피타고라스의 음계에 대하여

    목차

    1. 동기
    2. 피타고라스 학파의 음악론
    3. 피타고라스가 음계를 만들게 된 계기
    4. 피타고라스 음계의 내용
    5. 피타고라스 음계의 문제점
    6. 결과 및 느낀점

    본문내용

    <동기>

    우리는 음악을 듣다가 음계는 언제 누가 어떤 계기로 만들게 되었는지 한 번쯤 궁금해 본 적이 있을 것이다. 우리가 살아가면서 꼭 필요한 음악, 즉 음계의 탄생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피타고라스의 음계를 주제로 정하게 되었다.

    <피타고라스 학파의 음악론>

    음계를 연구하기에 앞서 피타고라스 학파의 음악론에 대해 알아볼 필요가 있다.
    피타고라스 학파에게 수는 우주를 포함한 세계를 지배하는 성스러운 원리였다.
    그들은 만물의 존재를 입체는 면으로부터, 면은 선으로부터, 선은 점으로부터 온다고 믿었다. 다시 말해서 그들은 우주 만물의 조화는 하모니에 의해 형성되는데 조화를 이루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질서가 필요하고 질서를 이루는 체계의 근본이 수라고 생각하였다. 때문에 피타고라스 학파에게 수는 우주를 구성하는 근본이 되었던 것이다.
    그들은 이 방법을 음악에서도 그대로 적용하여 정수로 셀 수 있는 음악의 소리를 체계화하였다. 수의 표현이 가장 확실한 음정 관계에 관심을 두었고 정수비례로 표현 될 수 있는 음정을 정리하였다. 즉, 무한한 음의 세계에 수적 질서를 부여하여 조화로운 음악을 만든 것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 [화학공학실험]부력

    목차

    1. 실험 이론 및 원리
    2. 실험 기구 및 시약
    3. 실험 방법
    4. 실험 결과
    5. 토의 사항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실험 이론 및 원리
    1.1. 실험 요약
    물 속에서 뜨거나 가라앉으며 바닷속을 이동하는 잠수함의 주된 유체역학적 원리인 부력을 이해하기 위해 아크릴 실린더의 무게에 따른 부력의 종류를 탐구하는 실험을 진행하였다.
    수중에서 정지한 물체에 작용하는 부력과 물체의 무게에 의해 작용하는 중력의 평형 방정식으로부터 중력과 부력이 동일해지는, 즉 중성부력이 작용할 때의 무게를 계산한 후 추를 통해 아크릴 실린더의 무게를 계산값까지 조정하였다. 준비한 수조에 아크릴 실린더가 충분히 잠길 수 있는 높이까지 물을 채운 후 이론적으로 중성부력이 작용하는 무게의 아크릴 실린더를 잠수시켜 운동양상을 확인하였다. 이후 추가적으로 다양한 무게 추로 무게를 조절한 실린더를 잠수시켜 양성부력, 중성부력, 음성부력의 모습을 관찰하였다.
    수조 중앙에서 방향성 없이 10초정도의 정지양상을 보일 경우를 중성부력이 작용한다고 가정하였을 때, 이론질량인 2101.9g에서는 가라앉는 모습을 보여 추가적으로 추를 넣어 2183.5g에 도달하였을 경우 정지하는 양상을 보여 이론값과 실험값 사이 3.74%정도의 오차율을 보였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우리역사에 영향을 끼친 사건과 조약

    목차

    1. 433년 나제 동맹
    1) 발단 및 배경
    2) 전개
    3) 결말
    4) 의의 및 평가

    2. 648년 나당 연합
    1) 발단 및 배경
    2) 전개
    3) 결말
    4) 의의 및 평가

    3. 993년 서희와 소손녕의 협상
    1) 발단 및 배경
    2) 전개
    3) 결말
    4) 의의 및 평가

    4. 1636년 삼전도 조약
    1) 발단 및 배경
    2) 전개
    3) 결말
    4) 의의 및 평가

    5. 1712년 백두산정계비 국경 조약
    1) 발단 및 배경
    2) 전개
    3) 결말
    4) 의의 및 평가

    6. 1876년 강화도 조약
    1) 발단 및 배경
    2) 전개
    3) 결말
    4) 의의 및 평가

    7. 1882년 조미 수호 통상 조약
    1) 발단 및 배경
    2) 전개
    3) 결말
    4) 의의 및 평가

    8. 1905년 을사늑약
    1) 발단 및 배경
    2) 전개
    3) 결말
    4) 의의 및 평가

    9. 1910년 한일 병합 조약
    1) 발단 및 배경
    2) 전개
    3) 결말
    4) 의의 및 평가

    10. 1965년 한일 기본 조약
    1) 발단 및 배경
    2) 전개
    3) 결말
    4) 의의 및 평가

    11. 1966년 주한 미군 지위 협정 (SOFA)
    1) 발단 및 배경
    2) 전개
    3) 결말
    4) 의의 및 평가

    12. 2002년 한국·칠레 자유 무역 협정(FTA)
    1) 발단 및 배경
    2) 전개
    3) 결말
    4) 의의 및 평가

    본문내용

    1. 433년 나제 동맹

    발단 및 배경
    4C~5C 광개토대왕의 북진 정책, 장수왕의 남진 정책 등 고구려가 위용을 떨치며 신라와 백제를 치고 내려오니, 신라와 백제는 위험을 느껴 서로 나제 동맹을 맺게 된다.

    전개
    ①475년 고구려가 백제를 공격하자 신라는 2만의 구원병을 파견하였고, 484년 고구려가 신라의 북변을 치자 백제는 이를 지원하여 모산성 전투에서 고구려 군을 격파하였다.
    ②5C~6C초에 고구려는 내부적인 위기에 놓였다. 권력이 왕에서 대대로에게 점차 넘어가면서 왕권이 흔들리고 지배층의 대립과 분열, 부패와 타락으로 통치체제가 동요하였다. 이에 남진정책은 주춤하였고 백제와 신라는 호기로 삼았다.
    ③백제와 신라는 공동으로 한강유역을 공략하여 백제는 한강 하류유역을 수복하고 거칠부가 이끄는 신라군은 죽령 이북 철령 이남 10개 군을 획득하였다.

    결말
    ①나제동맹의 한강유역 공략이후 553년 신라가 백제의 수복지역인 한강 하류 유역을 불시에 급습 점령하였다. 이 일은 120년 동안 지속되어 온 나제동맹을 파탄시키는 결정적 계기가 되었다.
    ②신라의 배신적 행위에 분노한 백제는 보복 공격을 감행하였다. 그러나 성왕이 전사하고 3만의 병력이 몰살당하는 등 무참한 패배를 당한 채 퇴각하였다.

    의의 및 평가
    신라는 한강 유역을 점령함으로써 많은 인적, 물적 자원을 확보할 수 있었고 중국과의 교통로를 확보하게 됨으로써 국제 관계에서 유리한 고지를 차지했을 뿐 아니라 고구려와 백제를 분리시킴으로써 삼국 통일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었다. 바로 이 한강 유역 점령이 신라의 삼국 통일의 발판이 되었다는 점에 의의를 두어야 한다.

    2. 648년 나당 연합

    발단 및 배경
    한강 유역을 차지하면서 기세를 올리던 신라는 백제의 공격으로 곤경에 빠졌고, 고구려와 백제의 협공에서 벗어나기 위해 당나라에게 손을 내민다.
    당은 고구려를 공격했다가 실패한 상태라 다시 고구려를 침략할 기회를 노리고 있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인디언 보고서

    목차

    Ⅰ. 동기

    Ⅱ. 인디언의 유래 및 생활 습관
    (1) 미국 원주민인 ‘인디언’의 유래
    (2) 인디언의 언어
    (3) 미국 인디언의 생활습관
    (4) 인디언과 우리 한민족의 공통점

    Ⅲ. 인디언들의 현재 위치
    (1) 인디언 사회의 문제점
    (2) 인디언의 정체성 회복운동
    (3) 미국정부 원주민에 대한 대책 마련
    (4) 인디언 보호구역

    Ⅳ. 느낀점

    본문내용

    Ⅰ.동기
    Academic Encounters에 있는 지문 중에서 미국의 원주민에 대한 글을 읽으며, 인디언의 역사와 문화가 점점 사라진다는 사실에 안타까운 마음이 들었다. 인디언이 생긴 유래와 인디언이 지금까지 살아온 생활모습 등 인디언에 대한 궁금한 것이 많아 주제를 미국 원주민으로 정하게 되었다. 이러한 궁금증으로 자료를 찾던 중 인디언이 우리 한민족과 많이 닮았다는 것을 우연히 알게 되었으며 인디언의 언어를 비롯하여 생활습관, 또 현재 인디언이 미국 사회에서 어떤 위치에 있는지 등에 대해 알아보게 되었다.

    Ⅱ. 인디언의 유래 및 생활 습관
    (1). 미국 원주민인 ‘인디언’의 유래
    미국 원주민은 원래 콜롬버스가 아메리카 대륙에 도달하기 전부터 그곳에 거주하고 있던 사람들을 말한다. 그들은 처음부터 ‘인디언’이라는 이름을 갖고 있었던 것은 아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사회 보고서(자연환경의 변화는 인류에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목차

    1. 지구 온난화
    (1) 지구 온난화의 원인과 피해

    2. 지구 온난화가 계속 되면 지구상에는 어떤 변화가 일어날까?
    (1) 지구 온난화로 몰디브가 당면한 문제는 무엇인가?
    (2) 몰디브와 비슷한 위기에 놓인 지역 또는 국가

    3. 히말라야 산맥과 시짱고원(티베트 고원) 의 얼음이 녹으면?

    4. 다르푸르의 비극
    (1) 사막화
    (2) 수단 다르푸르의 지역

    5. 결론 및 느낀점

    본문내용

    ♣지구온난화(기후변화)의 개념
    – 기후변화는 온실효과에 의한 기후의 이상현상을 말한다.
    – 태양광선에 의해 따뜻하게 가열된 지구 표면에서 발생되는 적외선 중 일부는 대기를 통과해서 우주로 빠져나가고, 나머지 일부는 온실가스에 흡수되어 모든 방향으로 열이 재방출 된다. 이로 인해 대기와 지구가 더욱 따뜻해지는 것을 온실효과라고 한다. 

    – 온실가스는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 메탄 등 지구를 따뜻하게 감싸는 기체를 말한다. 사실 온실가스는 우리에게 꼭 필요하지만 지금은 양이 너무 많아져서 지구를 뜨거워지게 하여 지구온난화를 일으킨다 하겠다. 
     
    – 기후변화 국제협약인 교토의정서에서는 6대 온실가스에 대해 관리하고 있다. 온실가스별 기여도는 이산화탄소(CO2)가 88.6%로 가장 크고, 메탄(CH4) 4.8%, 아산화질소(N2O)2.8%, 기타 수소불화탄소(HFCs), 과불화탄소(PFCs), 육불화황(SF6)를 합쳐서 3.8%로 기후변화에 기여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세포 노화 레포트

    목차

    없음

    본문내용

    ‘수능특강 영어’에서 신체 부위에 따라 세포들의 노화 속도에서 차이가 생긴다는 글을 읽고 구체적으로 어떠한 이유에서 그러한 차이가 생기고, 노화 속도를 조절하거나 노화된 세포를 회복시키는 방법에 대해 궁금증이 생겨 직접 조사해보게 되었다.
    20세기 후반부터 인간의 수명은 전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높아져왔다. 심지어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 만큼 노인인구의 비중이 높아졌다. 이에 따라 노화의 원인과 진행과정에 대한 연구는 물론, 노화 예방과 노화 지연 혹은 치료에 대한 연구도 활성화되고 있다. 그 중 노화의 원인과 신체 부위의 노화 속도에 대한 연구, 혹은 노화 지연 및 치료에 대해 좀 더 알아보고자 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심리학개론 정리본

    목차

    없음

    본문내용

    우리가 사실로 안다고 하는 것이 진짜 사실인지에 대한 질문으로부터 시작
    상식과 감각에 대해 신뢰 <---->꿈을 신뢰할 수 있는가?, 조현병환자의 환청은 신뢰가능?
    우리가 알고 있는 것이 실제로는 아닐 수도 있다. : 자신이 처한 상황/기억에 따라 형성
    “I knew it all along” phenomenon

    1. 심리학에 대한 소개 : 심리학의 근원은 무엇인가?
    인간의 지식이 어디에서 나오는지에 대한 탐색으로부터 시작

    플라톤&소크라테스 : 인간의 지식의 근원은 감각이다, 인간의 지식은 왜곡될 수 있다.
    인간의 몸은 감각 중심적이고 불완전하고 이것을 통해 지식을 습득.
    몸을 주장하고 통제하는 것은 영혼 또는 마음이라고 생각. 영혼은 몸과 달리 완벽하고 이성적인 사고(추론)가 가능한 주체라고 생각.(지식을 검증하고 진위 여부를 가림) -> 현실과 진실에 가까워질 수 있다.
    c.f) Socrates : ‘To find yourself, think for yourself’,
    Socrates and Plato believed that source of knowledge was senses and that humans are born with innate knowledge.

    아리스토텔레스 : 경험주의 철학 (정서적인 경험이 뇌보다 심장에, 학습에 영향을 크게 줌)
    심리학적 주제에 대해서 최초로 형식을 갖춰서 깊이 생각을 함.
    “심장을 가르치는 것 없이 심장을 배제한 채로 사람을 가르치는 것은 교육이 아니다”
    삼단논법 주창
    Aristotle believed that human knowledge was acquired through strong emotional experience and used formal reasoning to support his view.

    *Psychology in Pre-Scientific Era

    St. Augustine of Hippo(A.D. 354-430) : 인간의 본성 또는..

    <중 략>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