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이론의 접근방법
(1) 연역법
(2) 귀납법
2) 이론의 역할
3) 연구대상으로서의 현상
4) 이론의 정의
(1) 이론의 구성요소
(2) 법칙과 그 요건
본문내용
1) 이론의 접근방법
이론(theory)은 현상에 대한 설명과 예측을 목적으로 변수 간의 관계를 밝힘으로써 그 현상에 대한 체계적인 견해를 제공하는 일련의 상호 연결된 개념 및 정의 혹은 명제이다. 또한 이론이란 경험적으로 적용될 수 있어야 하고 어느 정도 법칙적인 일반성을 가져야 한다. 그 구조가 체계적으로 상호 연결된 일련의 진술(statement)또는 명제(proposition)이다. 이론적 연관성을 도출하는 방법에는 연역적 방법(deductive approach)과 귀납적 방법(inductive approach)이 있다.
(1) 연역법
연역법(deductive approach)은 어떤 이론을 가지고 구체적인 관찰에 의해 기존 이론을 검토해 보는 방식이다. 전략으로는 명백한 이론 정립과 경험적 연구에 적용해 볼 수 있는 종류의 진술이나 주장들을 그 이론에서 도출하는 것이다. 선정된 진술과 주장을 경험적 연구결과와 서로 합치 되는지를 검증하기 위한 과제를 설계한다. 만약 전자와 후자가 서로 맞지 않으면 이론을 바꾸거나 연구 설계를 고쳐서 이를 도출을 위한 방안을 강구해야 하며, 합치된다면 그 이론에서 다른 진술이나 주장을 도출하여 같은 방법으로 검증을 계속하거나 이론 자체의 한계를 찾아낸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