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표본조사
2. 확률표본추출
3. 비확률표본추출
4. 다양한 표본추출방법 숙지의 중요성
Ⅲ.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연구에서는 알고자 하는 대상 전체의 자료를 수집하는 전수조사가 가장 이상적이다. 그러나 큰 비용과 시간, 노력을 수반하기에 현실적으로 대상 전체를 조사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연구 과정에서 이러한 비용과 시간 소모를 줄이고자 나온 것이 표본추출이다. 표본추출은 연구 대상 가운데 자료를 수집할 일부 대상을 표본으로 추출하는 과정을 말한다. 이는 다른 말로 표집이라고 한다(여기스터디 교안, n.d.). 표본추출을 통해 수집된 자료로 연구 대상(모집단)의 전체 특성을 추정하기에 연구의 핵심적 단계라고 볼 수 있다. 또 이는 연구의 신뢰성과 타당성에 영향을 줄 수 있어 그 중요도가 매우 높다. 이에 본 과제를 통해 표본추출의 확률표본추출과 비확률표본추출의 유형과 특성을 알아보고 연구자의 표본추출 방법의 숙지가 조사연구 실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Ⅱ. 본론
1. 표본조사
표본조사란 모집단 가운데 자료를 수집할 일부 대상을 표본으로 선택하는 과정을 말한다. 알고자 하는 대상 전체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는 전수조사가 가장 이상적이나 이는 큰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어 전체 대상 중 표본을 선택하고 표본에서 수집한 자료를 기반으로 모집단 전체의 특성을 추정한다. 이 모집단 일부를 추출하는 과정을 표본추출이라고 한다. 표본조사의 대표성을 확보하기 위해선 첫 번째, 표본 크기를 결정할 때 통계 검증력 분석을 고려해야 한다. 두 번째, 표본추출오차를 최소화해야 한다. 표본조사의 장점은 경제적이고 신속성, 가능성, 정확성, 응답률과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는 것이다. 단점은 모집단 대표성과 크기에 영향을 받고 표본 설계가 복잡한 경우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표본 추출은 크게 확률표본추출과 비확률 표본 추출로 구분된다.
2. 확률표본추출
대부분의 표본추출에서 추출단위가 표본으로 추출될 확률을 사전에 정한 뒤 우연 현상에 의해 표본 단위를 선택하는 추출법인 확률추출법을 사용한다(손창균 외, 2006).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