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Title
Ⅱ. Purpose
Ⅲ. Theory
Ⅳ. Chemicals & Apparatus
Ⅴ. Procedure
Ⅵ. Data & Results
Ⅶ. Discussion
Ⅷ. Reference
본문내용
Ⅰ. Title
합성 섬유 – 나일론 끈
Ⅱ. Purpose
나일론의 합성을 통하여 고분자의 특성을 이해한다.
Ⅲ. Theory
1. 중합체
단위체(monomer)는 반복적이게 모여 중합을 함으로써 분자량이 큰 생성물을 형성한다. 이 생성물을 고분자(polymer) 또는 거대분자(macromolecule)라 한다. 고분자는 많은 원자들이 서로 공유결합을 이룬다. 다만 고분자는 모든 분자에 대해서 만들어지는 것은 아니다. 분자 양 끝에 작용기(functional group)를 가지는 monomer들을 반복해 결합하는 중합 반응을 거쳐 형성한다. 인공적으로 합성한 고분자는 자연 속의 고분자(단백질, 셀룰로오스, DNA 등)와 비교했을 때 그 모양과 크기가 불균일할 수도 있고 분자량 형성이 다양할 수가 있다. 본 실험에서 합성할 나일론 610도 인공적으로 합성되는 중합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합성 상황에 대해 일정하게 유지하지 않으면 나일론이 뭉쳐서 만들어질 수가 있고, 중간에 끊어질 가능성도 존재한다.
2. 작용기
작용기란, 유기 화합물 중에서 공통된 화학적 반응을 진행하는 유기물들이 가지는 공통적인 원자단을 말한다. 작용기를 용이하게 표현할 땐 시성식을 쓸 때가 많다. 그리고 유기물의 명명법에서는 작용기를 주로 접미어 또는 접두어로 쓴다. 이를 통해 유기물이 어떠한 작용기를 가지는지 알 수가 있고 이 유기물이 어떠한 화학 반응을 진행할 것인지를 예상해볼 수 있다. 작용기에는 다양한 종류가 존재한다. 이 중에서도 고분자 물질을 만들 때 필요한 주요한 반응기에 대해서 살펴보자.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