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alrway 기도유지기: 구강인두관, 비강인두관, 기관절개관
2.ambu bag 소생백(앰부백)
3.Chest drainage set 흉부 배액 세트
4.defibrillator 제세동기
5.EKG monitoring 심전도 모니터링
6.endotracheal tube 기관내관
7.gastrolavage set 위세척 세트
8.ICP monitoring 두개내압 모니터링
9.infusion pump 약물 자동 주입기
10.intubatton set 기관내삽관 세트
11.laryngoscope 후두경
12.nasal canula 비강캐뉼라
13.nebullzer 연무기(네뷸라이저)
14.oxymetry 산소측정법
15.oxygen suppler 산소공급
16.scttion set 흡인 세트
17.tongue block 교합저지기
18.venturl mask 벤튜리마스크
19.고막체온계
20.혈압계
21.수액세트
22.3-way
23.종이밴드
24.의료폐기물 상자
25.드레싱카트
26.응급카트
27.산소요법 추가: 비강캐뉼라, 단순마스크, 부분재호흡 마스크, 비재호흡마스크, 벤튜리마스크, 안면텐트, 산소텐트
28.인공기도관 추가: 구강인두관, 비강인두관, 기관내관, 기관절개관
본문내용
airway 기도유지기
– 적용 대상자(사용목적): 의식이 없거나 자발호흡이 없는 대상자의 기도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
1) 구강인두관: 수술 후 마취회복기, 무의식 상태이거나 혀로 인해 기도가 폐쇄될 위험이 있는 대상자의 상부기도를 위지하기 위해 사용, 구강내 분비물 흡인하기 위한 보조기구로 사용, 기관내 삽관 시 기관 튜브의 개방성 유지를 위해 사용
2) 비강인두관: 구강인두관을 사용할 수 없거나 구개 반사가 민감하게 나타나는 대상자의 상부 기도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 비강인두 흡인 시 비강점막과 인두점막을 보호기 위해 사용
– 사용기전 및 관리 방법
고무 혹은 플라스틱으로 된 인공기도를 삽입하거나 기관내관, 기관절개술 등을 시행함.
1) 구강인두관(oropharyngeal tube)은 구강부터 인두 후방까지 위치시키고, 금기가 아닌 경우 목을 과신전 시키고 턱을 당겨 입을 벌린 후 구강인두관을 삽입함. 흡인 방지를 위해 측위를 취해 줌. 자주 분비물과 구토물을 흡인함. (의식이 있는 경우 구개반사를 자극하여 구강인두관을 사용하지 않음.)
2) 비강인두관(nasopharyngeal tube)은 비공에서 귓불까지의 길이의 비강인두관을 사용함. 비강에서 후인두까지 삽입하며, 세미파울러 혹은 파울러체위를 취해줌. 8시간마다 반대쪽 비공으로 삽입부위를 교환하여 점막 손상을 예방함. 매 4시간마다 비강간호를 시행함.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