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P. 1
Ⅱ. 문헌고찰 : 위암 P. 1
Ⅲ. 연구기간 및 방법 P. 7
Ⅳ. 간호력 P. 7
1. 일반적 사항
2. Lab data & 진단검사
3. 투여되는 약물
Ⅴ. 간호과정
1. 수술과 관련된 급성 통증 P. 15
2. 배액관과 관련된 감염 위험성 P. 18
3. 건강관리와 관련된 불안 P. 20
Ⅵ. 교육자료 : 배액관 관리P. 21
Ⅷ. 참고문헌P. 22
본문내용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전 세계적으로 암으로 인한 사망률 중 위암으로 인한 사망률이 세 번째로 높다.
우리나라는 1999년도부터 국가에서 2년마다 40세 이상의 전 국민을 대상으로 위장조영촬영 또는 위내시경을 이용한 위암 검진을 시행하여 이를 예방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H.pylori만으로는 발암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보고도 많이 나오면서 인종 차이와 고염섭취와 같은 식생활 차이가 위암 발생에 큰 영향을 준다는 견해도 유력하다.
2017년 국가암등록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 위암은 전체 암 발생률 중 1위이며, 40세 이후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더 호발한다. 성별에 따른 위암 발생률은 2:1로 남성에게서 더 높다.
Ⅱ. 문헌고찰
1. 병태생리
위는 점막, 근육층, 장막 3층으로 이뤄져 있다. 위암은 국소 부위에서 시작해 점차 점막, 점막 하층, 근육층 및 장막층 순으로 깊이 파고들며, 심하면 위벽을 뚫고 복강 내로 퍼지게 된다. 위암은 위의 어느 곳에서도 발생할 수 있으며 65%가 위의 하부 1/3에서 발견된다.
조기 위암은 림프절 전이에 상관없이 점막층과 점막 하층에 국한되어 있는 경우로, 수술로 치료한 위암의 절반가량이 조기 위암으로 완치 가능성이 높은 암 중 하나이다.
진행성 위암은 근육층이나 점막층에 침범하거나 다른 장기로 전이된 경우로 종괴의 크기가 증가해 점막 하층 이상을 침범한 경우를 말한다.
종괴의 크기가 증가하면서 종양의 표면에 깊은 궤양이 형성되어 속 쓰림, 상복부 통증, 식욕부진, 오심, 구토 등 양성 위궤양과 유사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종괴가 매우 커지거나 궤양이 깊어지면 혈변, 흑색변, 토혈, 심한 빈혈, 어지러움 등이 있거나 상복부에 종괴가 만져지기도 하며, 체중이 감소할 수 있다.
2. 원인
위암의 정확한 원인은 알려지지 않았으나, 환경적, 유전적, 문화적 요인이 다양하게 관련.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