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1. 간호 사정
1) 일반정보 (가계도도 그림)
2) 건강과 관련된 정보
3) 신체검진
4) 질환관련 사정자료
5) 질병에 대한 이론적 고찰
6) 대상자에 대한 질환관련 사정
2. 간호진단
3. 간호계획, 수행 및 평가(간호과정 3개)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진단명: Gastroenteritis and colitis of unspecified origin
질병개요
▸ 위장염(gastroenteritis)은 구토와 설사가 동반될 수 있는 위와 장의 염증이다. 위장염은 위장관의 일부분에 손상을 입힐 수 있다. 이는 급성의 문제일 수도 있는데, 바이러스와 세균, 기생충 감염 또는 만성질환 때문일 수 있다. 로타바이러스(rotavirus)가 5세 미만 아동의 중증 위장관염의 주요 원인이기 때문에 예방접종이 필요하다.
▸ 결장을 포함하는 대장은 수분과 전해질 흡수, 지방산 및 질소 화합물 흡수, 변의 저장, 배변 등의 역할을 한다. 이때 결장은 변을 형성, 보관, 배출하는 기능을 담당하는데 결장에 염증이 생기면 설사, 복통 증의 증상이 발생하게 된다.
원인 및 병태 생리
감염성과 비감염성으로 위장염의 원인을 나눌 수 있다.
감염성인 경우
① 감염성:▪ 위장관에 병원체(바이러스, 세균 등) 침입 →
장독소(enterotoxin) 생산 → 장벽손상
→ 흡수 감소 → 장내 분비 증가
▪ 병원체에 의한 전신감염과 국소 염증
② 비감염성: 무분별한 식이나 과식, 사탕, 껌 등의 지나친 당섭취
장외감염인 상기도, 요로감염, 중이염
과민성 대장증후군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주요 증상 및 검사 소견
주요 증상은 설사, 구토, 복통, 복부 경련, 발열, 식욕부진 등이다.
1. 급성 설사
– 갑작스러운 변의 횟수 증가와 경도 변화, 보통 14일 이내
2. 만성 설사
– 14일 이상 변의 수분량과 횟수의 증가
▶설사의 구분
① 경증 설사
– 체중 5% 이내의 탈수
– 다른 질병이 없고 매일 약간 묽은 변, 5회 이내
– 갈증의 증가, 구강점막의 건조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