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1. 서론
2. 체가름 시험
1) 시험 목적
2) 굵은 골재 체가름 시험
3) 잔골재 체가름 시험
3. 고찰
4. 참고 문헌
본문내용
1.1 시험목적
– 본 실험은 굵은 골재와 잔골재의 입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행한다.
– 골재의 입도는 콘크리트의 워커빌리티(Workabiltiy)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또, 골 재의 입도가 적당하면, 공극률이 축소되어 단위용적중량이 크고, 시멘트가 절약되 며, 강도가 커지고, 수밀성, 내구성, 내마모성을 지닌 경제적인 콘크리트를 얻을 수 있다.
– 골재의 입도는 체 통과율, 잔류율 등으로 표시하지만 체 통과율에 따라 골재 크기를 알 수 있다.
1.2 굵은 골재 체가름 시험
1.2.1. 시험기구 및 재료
– 체 : 25.4mm, 19.05mm, 12.7mm, 4.75mm, Pan
– 저울
– 굵은 골재, KS F 2502 에 따라 골재는 절대 건조 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1.2.2. 시험방법
1) 굵은 골재 시험 기기에 굵은 골재를 적정량 부어넣는다.
2) 기기를 1분간 가동해 크기별로 분류시킨다.
3) 각 체를 통과한 골재의 무게를 저울을 이용해 측정한다.
4) 각각의 체를 통과한 굵은 골재를 사분법을 이용하여 일정 분량이 되도록 축분한다.
1.2.3. 시험결과
각각의 체를 통과한 굵은 골재의 양은 다음과 같다.
하지만, 이상적인 굵은골재 조립률은 보통 6~7 사이로 나오며 위와 같이 3.74로 결과값이 도출되는 이유를 다음과 같이 결정하였다.
◼ 조립률을 계산할 때 10개의 체를 더해주어 100으로 나누는 반면, 위 실험에서는 5개의 체만을 이용하였음.
◼ 그에 따라 위 실험에선 사용되지 않은 임의의 큰 체 3개를 0, 작은 체 4개의 값을 100으로 계산하면 조립률이 7.74로 납득 가능한 수치가 도출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