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

  • A+ 조기파막으로 인한 CS 케이스(피드백 수정완)

    목차

    1.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문헌고찰
    1) 만삭조기파막
    2) 제왕절개분만

    3. 간호사정
    1) 건강사정
    2) 신체검진
    3) 활력 징후 외 자료(BST, I/O)
    4) 임상검사(laboratory findings)
    5) 투약하고 있는 약물
    6) 기타 진단검사

    4. 간호과정
    1) 현재까지의 간호사정 자료 요약
    2) 간호과정

    5. 결론

    본문내용

    4) 검사방법
    만삭 조기파막(PROM,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은 병원에 가서 양수인지를 검사해야 확인할 수 있다. 질 내에 고여 있는 양수를 보거나 자궁 경관에서 양수가 나오는 것을 확인하여 진단한다. 확실한 검사 방법은 니트라진(nitrazine) 검사이다. 니트라진 종이에 양수를 묻혔을 때 노란색 검사지가 질 분비물에 의해 파란색으로 변하면 양수가 새는 것이다.

    5) 간호중재
    아두가 진입되어 있고 다른 이상이 없을 때는 관장을 해주고 24시간 기다려 보아 진통이 시작되지 않으면 유도분만을 시행한다. 감염의 증세가 있거나 양수의 색이 변했으면 산부가 패혈증이 빠질 수 있으므로 즉시 옥시토신 투여로 유도분만을 시도한다. 이때 분만 진행의 진전이 없으면 제왕절개술을 실시해야 한다.
    ① 양수를 관찰하면서 자주 패드를 갈아주기
    ② 체온, 맥박을 4시간마다 측정하기
    ③ 태아심음, 혈압, 단백뇨 등을 매일 검사하기
    ④ 산부를 침대에서 안정시키기
    ⑤ 균배양 검사 후 결과에 따라서 항생제 투여하기

    2. 제왕절개분만
    1) 정의
    제왕절개분만(Cesarean section)이란 복부절개를 통하여 태아를 만출시키는 것이다. 우리나라 제왕절개분만율은 2015년 39.6%, 2017년 45.0%(국가통계포털)로 WHO 권고 수준보다 높다. 이렇게 높은 원인은 반복된 제왕절개 수술 증가와 35세 이상 고령출산의 비율이 높기 때문이다.

    2) 적응증
    ① 모체와 태아측 요인: 난산 – 아두골반 불균형, 유도분만 실패, 자궁기능 부전 등
    ② 모체측 요인
    – 모체질병: 중증 심장병, 고혈압성 질환, 당뇨병, 자궁경부암
    – 중증감염: 음부포진(herpes simplex virus type Ⅱ), 활동성 병소
    – 과거에 제왕절개분만을 했을 경우, 자궁수술의 경험이 있을 때, 난소종양이나 섬유종으로 인한 산도 폐쇄
    – 35세 이상의 초산부나 오랜 불임 산부

    출처 : 해피캠퍼스

  • A+ 정신실습_활동요법보고서

    목차

    없음

    본문내용

    ■ 프로그램 전반적 진행 내용: 프로그램을 참여하신 분들은 총 6분으로 2명씩 3팀으로 나누어 게임을 진행하였다. 모두 적극적인 자세로 프로그램에 임했으며 자리 이탈이나 거부, 부정적인 표현이 전혀 없었다. 팀원들과 응원구호를 정할 때에도 환자분들끼리 상호작용하며 거리낌 없이 구호를 정하였다. 게임 시작 전 정한 응원구호를 큰 소리로 외치며 게임을 시작했고 다들 밝은 표정과 큰 동작으로 게임에 임했다.
    – 게임결과: 1등(000, 000), 2등(000, 000), 3등(000, 000)
    ■ 응원구호
    – 1팀: 000“샬롬, 샬롬, 샬롬 파이팅!” (의미: 샬롬이라는 단어를 좋아해서)
    – 2팀: 000 “평강, 평강, 평강!” (의미: 마음의 평화를 가져오기 위해서)
    – 3팀: 000: ”00, 00, 파이팅!“ (의미: 같은 팀인 00와 힘을 내서 1등을 하기 위해서)

    출처 : 해피캠퍼스

  • A+ 방문사례보고서-처방된 식이 불이행(피드백 수정완)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가족 사정도구 (family assessment tool)
    2. 대상자 간호진단
    3. 대상자 간호계획
    4. 간호수행
    5. 간호평가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내가 실습한 방문간호, 방문요양, 방문목욕 서비스를 시행하고 있는 통합재가센터이며 방문보건을 나간 곳인 강서구(대상자 주거지)는 부산광역시 강서구에 추진되고 있는 신도시로 주변에 아직 활발히 개발되지 않아 편의시설, 교통과 의료시설이 열악하다. 또한 보호자의 탈수에 대한 간호정보부족으로 인하여 대상자가 탈수로 입원을 하는 등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따른 대상자의 진단, 간호과정을 적용하여 지역사회 방문간호에 따른 지식을 습득하고자 연구하게 되었다.

    1. 간호제공
    ● 방문 시 대상자의 활력징후를 사정한다.
    ● 방문간호사는 방문 시마다 가정에서 대상자의 영양상태를 사정한다.
    – 피부, 체모, 손발톱, 점막의 상태를 확인하여 영양 상태를 확인
    – 대상자 식욕의 변화가 있는지 확인(식욕변화가 있다면 어떤 이유인지)
    – 체액부족의 증상이 보이는지 확인
    ● 보호자에게 대상자가 매일 섭취 및 배설량을 기록할 수 있도록 집중배설관찰기록표를 제공한다.
    ● 탈수 증상이 보일 시 자주 수분을 제공한다.
    ● 필요시 체위변경, 연하훈련, 처방된 경관영양 등의 방법으로 수분공급한다.

    2. 보건교육
    ● 수분섭취의 중요성과 수분섭취 계획을 교육한다.
    ● 식이로 탈수 조절을 할 수 있도록 유동식을 섭취하도록 교육한다.
    ● 대상자가 탈수에 빠질 경우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보호자에게 탈수의 증상 및 예방법을 교육한다.
    ● 건강한 식습관 교육 및 교육용 팜플렛을 만들어 보호자가 언제든지 보고 익힐 수 있도록 한다.
    ● 보호자에게 Input, output 기록 방법을 교육한다.
    (섭취 및 배설 기록 법, 기저귀 무게 재는 법)

    3. 관리
    ● 방문간호사는 방문 시마다 가정에서 대상자의 영양 상태를 확인하고, 필요시 관리책임자의 지도·감독하에 영양계획을 수정하고 적용한다.
    ● 탈수의 증상을 관리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중환자실 SICU 외상성 경막하 출혈(T-SDH) CASE STUDY (비효과적 호흡양상, 낙상위험성, 감염위험성) 입실후경과, 간호진단5개 간호과정3개

    목차

    1. 문헌고찰

    2. 간호력
    1) 간호력
    2) 간호사정
    3) 진단적 검사(혈액 및 소변, 심전도 등)

    3. 입실후경과

    4. 간호과정
    1) 간호진단 목록
    2) 우선순위에 따른 간호진단
    3) 간호과정적용

    본문내용

    ⒊낙상 위험 평가도구로 낙상위험성을 평가하였다.
    – 대상자의 상태가 급성기이므로 24시간마다(매일) ‘Morse의 낙상 위험 사정 도구’를 사용하여 낙상위험도를 평가하였다.
    – 낙상유발 가능 약품 복용환자, 이차적 진단 있음, 3개월간 낙상 경험 있음, IV 있음, 자신의 기능수준은 과대평가하거나 잊어버림에 해당.
    총 75점으로 낙상고위험군에 해당됨.

    ⒋낙상 위험을 증가시키는 모든 요인을 사정하였다.
    – 대상자는 의식 수준 저하, 혼돈 증상으로 낙상 위험이 증가된 상태였다. 낙상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는 약물(에필라탐) 투약 후 더욱 주의깊게 관찰했다.

    5. 자주 순회하여 대상자의 전반적인 상태와 주변 환경을 확인하였다.

    ⒍ 대상자에게 낙상 고위험군 팔찌를 착용시키고 낙상 고위험군 팻말을 침상 등 잘 보이는 곳에 부착하였다.

    7. 대상자의 뇌압(ICP) 상승을 방지하기 위한 중재를 시행하였다.
    – 침상 머리를 30~45° 정도로 올린 자세를 취해주었다.

    8. 대상자에게 적절한 지남력을 제공한다.
    – 대상자가 시간, 장소에 대한 지남력이 없고 혼돈 증상이 있을 때 일관적으로 지남력에 대한 정보를 제공했다.
    – “여기 지금 병원이에요”라고 정보를 제공한 뒤에 다음 자리보기 시간에 “지금 여기가 어딘지 아시겠어요? 병원이면 고개 끄덕여보세요, 집이면 고개 끄덕여보세요”라고 질문하였다.
    -“지금 밤이라서, 주무실 시간이에요”

    장기 목표
    1. 입원기간동안 대상자는 낙상을 경험하지 않는다.
    -> 11/16일까지는 낙상을 경험하지 않았다. -> 부분달성

    단기 목표
    1. 3일 안에 대상자는 장소, 시간에 대한 지남력이 있다.
    “지금 여기가 어딘지 아시겠어요? 병원이면 고개 끄덕여보세요, 집이면 고개 끄덕여보세요”라고 질문하였을 때 병원에서만 고개를 끄덕여서 장소에 대한 지남력은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시간에 대한 지남력은 확인하지 못하였다. -> 부분달성

    출처 : 해피캠퍼스

  • A+ schizophrenia 케이스(피드백 수정완)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Ⅱ. 문헌고찰
    1. 조현병(schizophrenia)
    1) 정의
    2) 원인
    3) 증상
    4) 진단검사
    5) 치료 및 간호중재
    6) 경과 및 예후

    Ⅲ. 정신 사회력
    1. 기초 자료 ·
    2. 신체검진
    3. 정신력 상태 ··
    4. 정신 질환에 대한 치료
    1) 약물치료
    2) 정신요법

    Ⅳ. 간호과정
    1. 간호진단 우선순위 ·
    2. 간호진단(#1. 개인위생관리에 대한 동기결여와 관련된 자가간호 결핍)
    3. 간호진단(#2 환청의 대처기전 미흡 관련된 수면양상 장애 )

    Ⅴ. 환자와 병동에 대한 느낌

    Ⅵ.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조현병(정신분열병)은 10대 후반에서 20대의 나이에 시작하여 만성적 경과를 보이는 정신적으로 혼란된 상태, 현실과 현실이 아닌 것을 구별하는 능력의 약화를 유발하는 뇌 질환이다. 조현병은 가장 대표적인 정신질환 중 한가지로 유병률은 인구의 1%로 100명중에 1명이 걸릴 수 있는 비교적 흔한 질병이며 사회 계층이나 교육 수준에 관계없이 발생한다. 조현병의 원인에 대한 수많은 유전적, 신경 해부학적, 생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연구 및 사회심리학적 연구가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다. 따라서 입원한 조현병 환자에게 병원 실무에 있어 보다 효과적인 간호중재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조현병 환자의 신체적 건강유지 및 정서적 안정을 도모하는데 효과적인 중재전략 과정으로 여겨져 schizophrenia 환자를 사례연구 대상자로 선정함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

    2) 연구의 목적
    본 연구는 입원한 schizophrenia에 대한 간호목표를 설정하고, 간호과정을 통해 우선순위의 간호진단을 도출하고자 한다. 또한 체계적인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간호수행 및 평가를 적용하여 보다 전략적인 간호를 제공함으로써 실무에서 간호대학생의 전문적 역량을 강화하기 위함에 목적을 둔다.

    Ⅱ. 문헌고찰
    1. 조현병
    1) 질병의 정의
    조현병(schizophrenia)이란 10대 후반에서 20대의 나이에 시작하여 만성적 경과를 보이는 정신적으로 혼란된 상태, 현실과 현실이 아닌 것을 구별하는 능력의 약화를 유발하는 뇌 질환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 ROM 보건교육 계획서(피드백 수정완)

    목차

    1. 보건교육계획안
    1) 보건교육 주제
    2) 보건교육 목적 및 교육목표
    3) 보건교육 일정
    4) 보건교육 순서

    2. 보건교육 내용

    3. 참고문헌

    본문내용

    1) 보건교육 주제
    ○ 핵심 주제: ROM(range of motion)
    ○ 주제 선정이유: 노년기에는 노화과정에 의한 퇴행성 변화로 인해 관절가동범위가 좁아진다. 생활양식의 변화와 인구 고령화에 따라 노인의 근골격계 질환 유병률이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노인은 골격근의 크기와 힘도 감소하고 뼈는 약해져서 골다공증이 발생해 부서지기 쉽다. 노인에서 빈발하는 근골격계 질환으로는 퇴행성관절염, 근육약화, 골다공증, 척추질환 및 골절 등으로 다양하나 이들 질환의 공통적인 주증상은 만성통증이다(Blyth & Noguchi, 2017). 우리나라의 경우 60세 이상 인구에서 통증 호소자의 90% 이상이 근골격계 부위의 통증을 호소하고 있어(Jungchoi, Park, Kim, & Park, 2015) 근골격계 만성통증은 노인에서 중요한 건강문제가 되고 있다. 노인에서 근골격계 통증은 기동성 장애를 유발하고, 낙상과 골절의 위험요인이 되며(Karttunen, Turunen, Ahonen, & Hartikainen, 2014), 심리 ‧ 정서적으로는 우울, 불안과 무력감 등의 증상을 유발하여 궁극적으로 삶의 질을 저하시킨다. 적합한 운동 계획과 꾸준한 운동은 근골격계의 퇴행속도를 줄이고 근골격계 손상을 예방하고 감소시키는 데 도움이 되기 때문에 이 주제를 선정했다.

    2) 보건교육 목적 및 교육목표
    ○ 목적: 노인의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하고 근골격계 만성질환과 관련 삶의 질을 향상시킨다.
    ○ 교육목표
    – 수동적 관절가동범위 운동의 필요성에 대해 3가지 이상 설명한다.
    – 수동적 관절가동범위 주의사항에 대해서 3가지 이상 설명한다.
    – 수동적 관절가동범위 운동법을 수행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오비디우스의 <변신이야기(Metamorphoses)> 독후감

    목차

    1. 들어가는 글
    1) 선정 이유
    2) 작품 소개

    2. 작품의 주제와 구성
    1) 사랑의 이야기
    2) 오비디우스가 작품을 구성한 방식

    3. 텍스트 속에서 살아 숨쉬는 로마, 로마인
    1) 신의 모습, 그리고 인간
    2) 오비디우스가 본 당대 로마의 모습
    3) 영원한 로마

    4. 시간 속에서 빛나는 고전
    1) 문학과 미술에 끼친 영향
    2) 고전을 왜 읽어야 하는가?

    본문내용

    1.1 선정 이유
    인간은 생각하며, 꿈꾸고 상상한다. 그리고 그 생각, 꿈, 상상을 그대로 흘려보내지 않고 기억의 저편에 남겨두기 위해 검정색의 물로 수많은 그림을 그려왔다. 여기, 2천년 전에 살았던 로마인들의 모습이 시인 오비디우스에 의해 그려져 있다. 까마득한 옛날에 살았던 로마인들은 비록 세월이라는 벽 안에 박제되어 있었지만 오비디우스의 이야기를 통해 생기를 띠고, 우리의 가슴 속에서 살아 움직이게 된 것이다.
    그렇다면 로마인들은 무엇을 생각하고 꿈꾸고, 상상했을까? 이 작품에는 그들이 생각하고 상상했던 온갖 사람의 모습, 신의 모습, 세상의 모습이 그려져 있다.
    인간과 신들은 사랑을 하고 분노하기도 하고, 기뻐하고 슬퍼하며 증오하고 질투하며, 그 감정의 결과들은 항상 변신으로 이어지게 된다. 이렇게 이 작품 속에서 숨쉬고 있는 다양한 감정을 가진 존재들의 숨결, 그들의 원초적인 욕망들을 오비디우스의 경쾌하고 자유로운 영혼을 통해 느껴보고자 한다. 또한 작품의 제목이기도 한 수많은 ‘변신’이 과연 어떠한 의미를 갖고 있는지 생각해 보고자 한다.
    문학과 사회는 결코 따로 떼어놓고 생각할 수 없다. 문학은 세상에서 시작된 빛이 작가라는 거울에 반사되어 새겨진 것이기 때문이다. <변신 이야기>는 그리스 신화를 거의 통째로 빌려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지만 오비디우스에 의해 로마식의 사상 및 가치관, 당대 로마의 모습이 반영된 작품이다. 따라서 오비디우스가 이 작품을 통해 당대의 모습을 어떻게 특징짓고 있는지, 또한 그 모습을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 살펴보는 것은 현재를 살아가고 있는 우리들로 하여금 불가능한 시간 여행을 가능하게 해 줄 것이다. 또한 이 시간 여행을 통해 우리가 얻을 수 있는 것은 무엇이며, 이 작품이 이후에 세상 구석구석에 뿌린 금빛 가루들을 구석구석 찾아보는 것도 매우 흥미로울 것이라고 생각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rib fracture_ER 케이스

    목차

    1.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2. 문헌고찰
    1) 늑골골절

    3. 간호과정
    1) 일반적 사항
    2) 응급 환자 정보
    3) 간호력(건강상태)
    4) 이용 가능한 지지체계(개인, 가족, 지역사회자원)
    5) 각 기관별 문진
    6) 진단검사
    7) 치료 및 경과

    4. 간호과정
    1) 간호진단 우선순위

    5.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흉부손상은 사람의 생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장기가 흉강내에 위치하고 있어, 진단과 치료가 신속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흉부손상의 가장 많은 형태는 몸의 가속과 충돌에 의한 감속으로 인한 손상으로 가장 흔한 예가 자동차 사고이며, 추락도 예가 된다. 늑골골절은 흉부외상의 10%를 차지하여 가장 흔한 손상이다. 그러나 흉부방사선 사진이나 다른 검사에서 모든 늑골골절을 발견하지 못하기 때문에 정확한 통계는 어려우며 더 많게 발생된다고 생각하고 있다. 둔상으로 인한 늑골골절은 단독으로 발생하는 것 보다는 다른 장기 손상과 동반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늑골골절은 손상의 중증을 나타내는 지표가 된다. 가장 많이 골절 되는 부위는 4∼9번 늑골이며, 그러나 1∼2번 늑골골절시 대동맥 등 큰 혈관 손상이 동반될 수 있으며, 9∼12번 늑골골절시에는 비장이나 간 등 복부장기 손상이 동반될 수 있으므로 세심한 관찰이 요구되며, 한 개의 늑골골절로도 혈흉이나 기흉 등 흉강 내 장기 손상뿐만 아니라 복부장기 손상이 올 수 있기 때문에 늑골골절 환자들은 입원치료나 외래에서 경과 관찰이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추락 등 안전사고 발생도 증가하고 있는 실정에서 응급실 간호사는 늑골골절 환자를 대처했을 때 그에 따른 환자의 상태를 파악하고 신속하고 적절한 처치를 수행해야 한다. 이에 따른 늑골골절의 병태생리와 원인, 진단법, 치료, 간호과정을 적용하여 질환에 대한 간호를 습득하고자 연구하게 되었다.

    2) 연구의 목적
    1) 응급실 늑골골절 환자의 원인질환에 따른 상태를 파악한다.
    2) 응급실에서 늑골골절으로 진단받은 환자들이 호소하는 통증의 양상과 표현을 파악한다.
    3) 응급실에서 늑골골절으로 진단받은 환자들의 성별, 연령, 진료결과에 따른 흉통의 질을 파악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Primary gonarthrosis, bilateral 케이스

    목차

    1.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2. 문헌고찰
    1) 무릎 관절증

    3. 간호과정
    1) 일반적 사항
    2) 입원 관련 정보
    3) 간호력(건강상태)
    4) 이용 가능한 지지체계(개인, 가족, 지역사회자원)
    5) 각 기관별 문진
    6) 진단검사
    7) 치료 및 경과

    4. 간호과정
    1) 간호진단 우선순위

    5.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병동에서 실습을 하며 가장 많이 보았던 질환이 primary gonarthrosis이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통계에 따르면, 2010년 222만 331명이던 무릎관절증 환자가 매년 꾸준히 증가해 2018년에는 295만 6740명을 기록했다. 특히 무릎관절증의 성별을 살펴보면 여성이 70.3%(207만 7327명), 남성이 약 29.7%(87만 9413명)를 차지해 여성 진료 인원이 남성보다 2배 이상 많다. 여성은 폐경 이후 골밀도가 낮아지면서 관절과 주변의 근육이 약화돼 무릎관절증에 걸릴 확률이 상당히 높아지기 때문에 여성의 체계적인 무릎관절증 치료 및 관리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무릎 관절을 비롯한 우리 몸의 100여 개 관절은 한번 손상되면 원래 상태로 돌아오지 못하기 때문에 물건처럼 손상되기 전에 예방하고, 증상 초기부터 관리해야 한다. 따라서 입원한 무릎관절증 환자에게 병원 실무에 있어 보다 효과적인 간호중재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무릎관절증 환자의 신체적 건강유지 및 정서적 안정을 도모하는데 효과적인 중재전략 과정으로 여겨져 primary gonarthrosis 환자를 사례연구 대상자로 선정함이 필요할 것으로 본다.

    2) 연구의 목적
    본 연구는 입원한 primary gonarthrosis에 대한 간호목표를 설정하고, 간호과정을 통해 우선순위의 간호진단을 도출하고자 한다. 또한 체계적인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간호수행 및 평가를 적용하여 보다 전략적인 간호를 제공함으로써 실무에서 간호대학생의 전문적 역량을 강화하기 위함에 목적을 둔다.

    Ⅱ. 문헌고찰
    1. 무릎 관절증
    1) 정의 및 원인
    무릎관절증(gonarthrosis)은 무릎에 염증이 발생하는 모든 질환으로 퇴행성 관절염(DA,Degenerative arthritis)등 특별한 원인 없이 발생하는 일차성 무릎관절증과 외상, 질병, 기형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이차성 무릎관절증으로 구분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토론 A+] 자원봉사의 철학적 배경에 대해서 설명하고 각각의 철학적 배경에 대한 예시를 설명하고 그러한 철학적 배경 중 자신은 어떠한 이유로 자원봉사활동을 했는지 혹은 할 것인지 서술하시오.

    목차

    없음

    본문내용

    자원봉사의 철학적 배경은 다양하며 이를 이해하는 데에는 여러 관점이 있습니다. 주요한 세 가지 철학적 배경에 대해 설명하고 각각의 예시를 작성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첫째, 안데르센의 Love and Care 철학입니다. 이 철학은 봉사가 사랑과 배려로부터 비롯된다는 것은 강조하고 있으며 안데르센은 다양한 형태의 봉사가 사랑과 배려의 표현이며 자발적이고 성실한 봉사가 사회의 발전에 기여한다고 보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지역 사회의 노인들에게 매주 방문하여 이야기를 나누거나 필요한 일상적인 도움을 제공하는 봉사자는 노인들과의 소통을 통해 상호 존주과 사랑의 표현을 만들어간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