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

  • 자궁경부암 케이스 스터디 [A+]

    목차

    Ⅰ.일반정보
    Ⅱ. 신체사정
    Ⅲ. 의학적 정보
    Ⅳ. 의학적 치료계획
    Ⅴ. 문제목록

    본문내용

    입원동기
    자궁경부암&난소전이로 2013년 9월 8일 LAVH(Laparoscopy Assisted Vaginal Hysterectomy 복강경 자궁적출술), BSO (bilateral salpingo-oophorectomy 양측 난소난관절제술), 오른쪽 PLND (Pelvic Lymph Node Dissection 골반 림프절 절제술), 부분 대망절제술 수술 후 CCRT(combined chemo radiotherapy 항암방사선 동시요법), 방사선치료 시행함.

    4. 입원반응과 병에 대한 인식
    1) 입원에 대한 환자의 반응 : 장기체류를 원하며 귀가 거부함
    2) 질병에 대한 가족의 반응 : 2019/06/09 응급 결장절제 및 회장루술 시행하며 가족들에게 DNR(심폐소생거부) 구득된 상태이나 이후 다시 철회. 환자 본인은 DNR 의지 없음

    <중 략>

    Ⅳ. 의학적 치료계획
    1) 진단명: malignant neoplasm. cervix uterus, unspecified site

    2) 치료 및 수술에 대한 반응: 2019.08.13. 왼쪽 경피신루 삽입 예정이였으나 환자 변심하여 거부하였으며 환자 신장기능 이상으로 쇼크, 사망가능성 있음을 설명하였으나 강력하게 거부하여 시술 취소하였음

    3) 치료경과 및 예후
    – 오른쪽 경피신루 있고 폐색으로 인해 왼쪽 설치 필요함 -> 극구거부함
    – 가슴 엑스레이상 유출 없고 호흡곤란 없어서 수분유지(hydration) 유지함
    – 좌측 신장 완전 폐색
    – 복부 엑스레이상 장폐색증 소견있음 (2019.08.12.)

    4) 기본욕구에 대한 간호
    – 배설: 장루하고 있음
    – 영양: Sips of water 동안 물을 하루동안 종이컵 반컵밖에 못 마심
    일반식 섭취 시 두 숟가락도 안먹음. 입맛없다고 말함
    – 활동과 휴식: 화장실 가는 것 외엔 거의 일어나지 않음

    Ⅴ. 문제목록

    진단1
    만성통증 : 허리
    진단2
    기동성장애와 관련된 낙상위험성
    진단3
    식욕부진과 관련된 영양 불균형

    출처 : 해피캠퍼스

  • 유기화학 합성 과제_ 아세틸살리실산과 아세트아미노펜의 합성과정

    목차

    1. 아세틸살리실산 합성
    2. 아세트아미노펜 합성

    본문내용

    아세틸살리실산 Acetylsalicylic Acid은 아스피린으로 잘 알려진 합성 의약품입니다. 최조로 합성된 진통제이면서 동시에 혈전예방약으로도 사용되고 있습니다. 버드나무 껍질에 함유되어 있는 살리실산이라는 물질에서 시작되었으나 살리실산은 부작용이 많았기 때문에 그 부작용을 감소시키기 위해 합성되었습니다. 1899년 이후 여러 방면으로 진통, 해열제로 사용되고 있지만 여전히 위장출혈과 같은 부작용이 있어 복용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아스피린, 아세틸살리실산은 방향족 벤젠 분자에 카복실기와 에스터기가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제법은 살리실산과 아세트산 무순물을 인산과 같은 산촉매 아래 반응시켜 합성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아세트산의 카복실산과 살리실산의 알코올을 반응기로 하여 에스터화 반응으로 아스피린을 합성시키는 것이 원리입니다. Fischer 에스터화 반응이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이는 SN2 반응으로, 살리실산이 결합, 아세트산이 이탈기로 작용합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파우스트

    목차

    1. 파우스트의 모순성, 복잡성
    2. ‘순간’의 의미: 파우스트가 구원받은 이유
    3. 그레트헨은 마치 테스처럼 순결하다: 그레트헨이 구원받은 이유
    4. 정리

    본문내용

    파우스트 박사는 두 번의 인생을 살며 존경받는 학자의 삶과 자유로운 쾌락의 삶을 살아 본다. 두 번째 인생에서 그는 그레트헨의 아름다움에 이끌렸다가, 마법의 세계를 즐기고, 그녀를 잃고, 황제에게 장난을 하고, <어머니들> 중 하나인 헬레나에게 빠져 그녀의 아름다움을 숭배하고 그녀의 유령과 함께 환상 속의 나라를 살아보고, 또 다시 아들 오이포리온과 헬레나를 잃는다. 그는 영지를 다스리고자 하고, 또 한 번 황제를 구한 뒤 존재하지 않는 땅—메피스토펠레스가 만들어낼 해안 간척지—를 하사받는다.
    이 모든 것 중 실체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었다. 그는 그레트헨을 가짜 외모를 쓴 채 사랑했고 자신의 악마 하인을 따라 마술의 세계에 빠졌으며, 황제에게는 존재하지 않는 곳에서 온 유령을 보여주었고 그 자신도 유령과 사랑에 빠져 한바탕 환상극을 벌였다. 그는 주술의 힘을 빌어 황제를 돕고 그 실체 없는 공훈의 대가로 아직 있지도 않은 땅을 하사받았다. 그의 두 번째 삶은 철저하게 마술의 세계에 기반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성인간호학 실습 폐렴 사례연구

    목차

    Ⅰ. 문헌고찰
    Ⅱ. 폐렴 사례연구
    Ⅲ. 간호과정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정의

    폐렴(pneumonia)은 폐(허파)의 폐포(공기 주머니)에 생긴, 즉 폐 실질조직에 염증을 말합니다. 폐렴은 모든 연령에서 발생하는데, 특히 소아와 65세 이상 노인에서는 심각한 상태를 초래하기도 합니다. 특히 심부전, 당뇨, 만성폐질환 환자에서 발생할 때는 생명의 위험을 초래할 수도 있습니다. 폐렴은 특히 겨울에 많이 발생하고 남자에서 여자보다 많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폐렴은 크게 일반 생활인에서 발생하는 지역사회 획득 폐렴과 요양원이나 병원에 입원한 상태에서 발생하는 병원획득 폐렴으로 나눌 수 있으며, 지역사회 획득 폐렴환자의 20%에서는 입원치료를 요하기도 합니다.

    Ⅱ. 원인

    원인 미생물은 다양하여 폐렴구균으로 알려진 세균이 가장 흔한 원인이고 마이코플라즈마균, 연쇄상구균, 녹농균 등의 세균, 그리고 여러 바이러스와 드물게는 곰팡이 등이 있습니다.
    미생물에 의한 감염성 폐렴 이외에 화학물질이나 방사선 치료 등에 의해 비감염성 폐렴이 발생할 수도 있다.
    폐렴구균은 지역사회에서 발병하는 폐렴의 가장 흔한 원인균으로 폐렴구균성 폐렴은인플루엔자나 홍역의 합병증으로 발생합니다. 예방접종이 가능하며 여러 유형의 폐렴구균에 효과적입니다. 한 번 접종하면 대개 평생 면역됩니다.

    정형적 폐렴
    임상증상이 매우 빠르게 나타나고, 가래를 동반한 기침나는 화농성 객담, 피검사상 백혈구 수가 증가하고, 가슴 X-ray 사진 상 폐엽 경결소견을 보임. 일반적으로 폐렴구균, 황색포도상구균, 그람 음성간균, 혐기성 세균 등에 의해 발생.
    비정형적 폐렴
    임상증상은 서서히 나타나고, 가래가 많지 않은 마른기침이 나면서, 점액성의 객담이 나탄난다., 피검사상 백혈구 수가 증가하지 않고, 가슴 X-ray 사진 상 간질성 음영을 보이며, 복통, 설사, 환자의 의식상태 변화 등의 증상을 보임. 마이코플라스마, 클라미디아, 레지오넬라 등에 의해 발생

    출처 : 해피캠퍼스

  • 급성신우신염 (APN) 케이스스터디 [A+]

    목차

    1. 일반적 사항
    2. 과거력
    3. 현재의 건강 문제
    4. 간호력
    5. 신체사정
    6. 질병
    7. 투약
    8. 임상 검사
    9. 간호진단 및 우선순위 선정
    10. 참고문헌

    본문내용

    질병
    Acute pyelonephritis: 급성 신우신염
    1) 병태생리
    -정의 : 상부요로감염으로 신장에 세균 감염이 발생한 것을 말한다. 급성과 만성의 두 가지 형태가 있으며 일반적으로 숙주의 저항력이 감소되어 발생하는 원발성 질환이지만 다른 곳의 감염과정이 파급되어 나타나기도 한다.
    -원인 및 유발요인 : 세균에 의한 감염이 원인이며 방광이 주된 감염원이다. 가장 흔한 원인균은 대장균(E.coli)이며, 요도구와 가까운 회음부 주위와 항문주위에서 대개 발견된다. 요로감염의 다른 원인균으로는 Klebsiella, Staphylococcus aureus, Proteus, Pseudomonas, Haemophilus 등이 있다. 세균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확산되며, 특히 소변의 정체가 가장 중요한 요인이 되어 요로감염을 일으킨다. 배뇨 후 방광에 남은 소변은 세균이 빠르게 증식하도록 돕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감소된 수분 섭취는 세균을 농축시켜 세균의 증식에 기여할 수 있다. 치료되지 않은 방광의 감염으로 오염된 소변이 요로를 타고 신장으로 역류하여 신우신염을 야기한다. 또한 여아의 경우 해부학적요인으로, 요도가 약 2cm로 길이가 짧아 세균뇨의 발생을 증가시킨다.

    2) 임상증상
    신우신염의 증상은 연령별로 다소 차이가 있다. 또한 사정 시 증상에 의해 나타나는 아동의 비정상적인 움직임에도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면 배뇨 시 작열감 또는 따끔한 느낌이 있을 경우 영아는 배뇨 시 울 수도 있으며, 아동은 기저귀를 붙잡을 수도 있다.

    3) 진단
    -신체검진 : 신생아나 어린 영아는 황달이나 호흡수의 증가가 나타나는지 관찰한다. 영아나 아동의 경우, 회음부에 발적이나 불편감이 없는지 확인한다. 소변에 혈액이 섞여있는지, 혼탁, 어두운 색깔, 침전물, 점액, 악취가 있는지 관찰한다. 창백함, 부종, 혈압 상승을 확인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여성간호학 제왕절개 사례연구

    목차

    Ⅰ. 문헌고찰
    1. 정의
    2. 유형
    3. 적응증
    4. 금기증
    5. 수술과정
    6. 간호중재

    Ⅱ. 사례 연구

    Ⅲ. 간호과정

    본문내용

    3. 적응증

    아두골반 불균형(CPD): 가장 흔한 원인
    태위이상: 황위나 둔위
    자궁기능부전(uterine dysfunction): 비정상적 자궁수축, 자궁경부 개대불능, 분만지연 등
    과거 제왕절개분만: 자궁파열의 위험증가
    과거난산(soft tissue dystocia)으로 연조직 손상: 과거 수술이나 상해로 인해 자궁경부 강직 (cervical rigidity), 질 협착, 생식기 반흔
    유도분만의 실패: 자궁경부가 옥시토신에 반응하지 않을 때
    생식기의 음부포진 감염: 약 50%의 신생아가 눈, 두개골, 피부, 제대, 상기도 등에
    감염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장기간 후유증이 초래될 수 있다.
    임신 합병증: 임신성 고혈압
    모체당뇨병
    모체합병증: 심장질환, 고혈압, Rh 부적합증, 지능이상, 이전 질식수술 등
    태반부전: 지연임신 시 태반의 노화
    기타 고위험 산과적 요소: 전치태반, 태반조기박리, 제대탈출, 태아부전,
    이전 태아사망 또는 손상, 분만 중의 감염이 동반된 양막파막증

    <중 략>

    간 호

    사 정
    주관적
    자 료

    “진통제 좀 더 주세요”
    “배가 너무 아파요”
    “배랑 허리가 너무 아파요.”

    객관적
    자 료
    IV PCA 적용
    C/sec 후 NRS 척도: 7점
    2020년 06월 01일 C/sec 함
    뉴페낙(진통제) 투여 중
    통증 양상: 둔함
    간 호 진 단
    제왕절개 수술과 관련된 급성통증
    간 호 목 표
    •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통증이 없고 편안하다고 말할 것이다.
    • 단기목표: 대상자는 4일이내 NRS 3점 이하로 유지할 것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 보건교육학 / 오타와 헌장 / 행동주의 강화 원칙 /인지주의 이론 /구성주의 학습전략

    목차

    없음

    본문내용

    1. 오타와 헌장의 건강증진 주요전략과 활동수단을 기술하시오.
    주요 전략 : 첫 번째 건강에 유리한 조건 창출을 위한 옹호 활동을 전개하였고, 두 번째 건강 잠재력을 달성하도록 기회와 기술을 보장하였다 세 번째 건강 추구 보장을 위한 집단 간 조정을 주요 3개지 전략으로 세웠습니다.
    활동 수단
    1) 건강한 공공서비스 제공을 위한 정책 입안하는 것
    2) 건강 지지적 환경을 조성하는 것 (ex. 안전 작업환경, 건강 지지적 생활 환경)
    3) 지역사회 행동을 강화하는 것 (ex. 대중의 참여 촉진, 지역사회의 역량을 높이는 것)
    4) 개인의 기량을 개발하는 것
    5) 보건 서비스의 재편성 (예전의 치료중심에서 예방과 건강증진 방향으로 재편성)

    2. 행동주의 강화원리로서 쾌 자극, 혐오 자극을 주기/뺏기로 나누어 설명하시고, ‘새롭게 금연을 시작한 청소년’에서 적용할 수 있는 강화 방안을 순차적으로 세워보세요.

    출처 : 해피캠퍼스

  • 유전자편집 기술 관련 레포트

    목차

    1. 유전자 편집 기술의 원리와 중요성

    2. 유전자 편집기술의 종류
    1) 유전자 가위 기술
    2) 유전자 복제, 도입 기술

    3. 개발 사례

    4. 향후 전망
    1) 법적 규정
    2) 기술적
    3) 윤리적

    5.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유전자 편집기술의 원리와 중요성
    유전자 편집기술, Genome Editing, 은 인위적으로 유전자를 편집하여 조작한 후 이를 개체 내에 삽입하여 발현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입니다. 조작된 핵산분해효소를 이용한 유전자 편집, 유전자 가위라고도 불리는데 핵산분해효소, 유전자 가위를 통해 원하는 유전자를 잘라 삽입하는 것이 유전자 편집기술의 주요부분이기 때문입니다.
    기본 원리는 DNA Repair System의 작용 기전으로 볼 수 있습니다. 다양한 이유로 DNA에는 돌연변이가 일어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DNA의 이중나선이 잘려 나가는 손상도 일어날 수 있게 됩니다. 이를 복구하기 위해서 일어나는 DNA Repair System은 두종류로 볼 수 있는데, 말 그대로 다른 작용 없이 절단된 부분을 연결하는 비상동말단연결 (Non-Homologous End Joining, NHEJ)와 손상된 부위와 유사한 서열을 주형으로 사용하여, DNA 공여체를 통해 오류가 포함되지 않게 정확하게 복구하는 상동재조합 (Homologous Recombination, HR)이라 할 수 있습니다. 손상을 복구한다는 것 외에 일어나는 방식이 다르지만, 두 기전 모두 사용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오류 없이 정확하게 복구된다면 인위적으로 만들어낸 유전자의 발현을 더욱더 효과적으로 일으킬 수 있으며, 원하는 결과값을 이룰 수 있기 때문에 DNA 공여체로 작용할 수 있는 DNA Donor를 함께 넣어 상동재조합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하여 효율성을 최대로 높이곤 합니다.
    유전자 편집기술은 현재 4차 산업혁명의 핵심 바이오 기술로 인정받고 있으며, 유전자 편집 시장의 성장과 인류의 난제라고 불리는 글로벌적 문제들의 해결책으로 대두되고 있어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KATA 온도계 실험 (건축환경실험 레포트)

    목차

    1. 서론
    1.1 배경
    1.2 기류의 의미
    1.3 KATA 온도계의 의미
    1.4 적용예시

    2. 실험방식
    2.1 실험장치의 구성
    2.2 실험장치의 개략도
    2.3 실험 설명 및 절차

    3. 실험해석
    3.1 실험 데이터 결과
    3.2 계산 절차 및 실험 결과의 해석과 분석

    4. 결론

    5.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배경
    실내의 온열환경은 실내기후라고도 불리며 인간의 건강이나 쾌적성을 크게 좌우하는 중요한 것이다. 인종 차이나 건강상태, 작업조건 관습 등의 차에 따라서 개개인의 쾌적조건이 미묘하게 달라지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자연적으로 주어지는 태양이나 바람의 힘을 어떤 경우에는 잘 이용하고 때에 따라서는 능숙하게 컨트롤할 수 있는 건축을 설계할 수 있다면 쾌적한 실내온열환경을 얻기가 쉬운데다가 에너지절약도 가능하게 된다. 실내기후를 형성하는 온열요소에는 열, 습기, 기류가 있다. 우리가 느끼는 덥고, 추운 느낌과 같은 체감온도는 기온, 습도, 기류(풍속), 방사열(복사열)의 4가지 요소가 조합되어 결정된다. 그리고 온열요소라 불린다.

    1.2 기류의 의미
    기류는 공기의 흐름을 말하고 1초간 공기가 이동한 거리를 미터(m)로. 이상기체방정식 Pv=RT를 이용해서 P=RT를 구하고 결과적으로 온도가 상승하면 밀도가 낮아지고, 온도가 하강하면 밀도가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태양 복사에너지는 공기를 가열시켜 온도를 증가시키고 이때 발생한 온도차로 대류현상이 발생하고 공기의 흐름이 유도되는 것 이다. 기류는 크게 층류 기류(laminar), 높이에 따른 기류 분리현상(separated), 난류 기류(turbulent), 소용돌이 기류(eddy)로 분류할 수 있다. 기류의 형태는 그림1.2를 참고한다. 기류는 건물과 같은 장애물과 직면할 때 안정적인 기류의 형태에서 난류형태의 기류로 바뀌며 소용돌이 기류는 층류 기류와 난류기류 모두에서 발생한다. 움직이는 기류는 직선방향으로 나아가려는 성향이 있고 어떤 물체에 의해서 방향이 변하더라도 각을 이루며 변화하지 않고 완만한 곡선을 유지하며 기류의 흐름은 연속성을 갖고 있어서 소멸되거나 생성되지 않는다. 바람이 건축물에 부딪힐 때 부딪히는 주변은 정압(+)이 형성되지만 건물의 반대쪽이나 측면에서는 부압(-)이 발생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소음도측정 실험 (건축환경실험 레포트)

    목차

    1. 서론
    1.1 배경
    1.2 소음계의 종류
    1.3 옥타브 밴드의 의미
    1.4 적용예시

    2. 실험방식
    2.1 실험장치의 구성
    2.2 실험장치의 개략도
    2.3 실험 설명 및 절차

    3. 실험해석
    3.1 실험 데이터 결과
    3.2 계산 절차 및 실험 결과의 해석과 분석

    4. 결론

    5.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서론
    1.1 배경
    소리는 공기의 압력변화가 우리의 귀에 도달했을 때 발생한다. 이와 같은 공기의 압력변화는 어떤 물체에 외력이 가해졌을 때 발생되거나 직접적인 공기의 진동에 의해서 발생된다. 건물의 내부 및 주변의 음환경은 건물 계획과 디자인 그리고 시공의 과정과 상호 연관된 수많은 요소들에 의해서 영향을 받게 된다. 음환경 측면에서 거주자들이 만족할 수 있는 건물의 계획을 위해서는 건물의 초기 계획단계에서부터 건물의 용도에 따라 외부 음환경을 고려해 부지를 선정하고 부지 내 건물의 위치, 외피의 계획, 건물 내 발생음원을 고려한 실의 배치, 그리고 실간 차음계획 및 실내 음향계획 등의 과정들이 건물을 디자인하는 모든 단계에서 체계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음환경 계획은 듣고자 하는 소리는 보다 잘 들을 수 있게, 듣기를 원하지 않거나 남에게 들리기를 원하지 않는 소리는 차단하여 청각적인 프라이버시와 쾌적성을 확보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1.2 소음계의 종류
    소음계는 인간의 청감에 대한 보정을 통해 음의 크기레벨에 근사한 값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한 측정기를 말한다. 이 소음계는 그 구조 및 성능에 따라 분류되는데, 정밀소음계는 측정주파수의 범위와 청감보정회로의 허용오차 등이 적고 구조 및 성능이 정밀하여 정도를 측정하는데 적합하다. 정밀소음계의 측정가능 주파수는 약 20Hz~12.5kHz이다. 지시소음계는 일반적인 소음을 측정하는 장치로 청감보정회로는 A, B, C의 세가지 종류의 특성을 지닌다. 정밀소음계보다는 오차가 크지만 간이소음계보다는 오차가 작다. 지시소음계는 약 31.5Hz~8kHz로 측정이 가능하다. 간이소음계는 측정주파수의 범위와 청감보정회로의 특성 등이 간단하게 되어있어 소음레벨의 대략적인 값을 확인하는데 사용한다. 간이소음계의 측정가능 주파수는 약 70Hz~5kHz이다. 특수소음계는 특정한 목적의 소음조사를 위해 사용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