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

  •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 독후감

    목차

    없음

    본문내용

    톨스토이가 쓴 여러 이야기 중에서 한 편을 꺼내어 읽으면, 왠지 마음 한편이 따뜻해진다. 특히 어떤 고민이 머릿속에서 떠나지 않을 때 그가 전하는 메시지에 시선을 두면, 종종 답이 보이는 듯한 느낌을 받는다. 그의 문장은 어려운 장식 없이 흐르는데, 그래서 더 깊숙이 다가온다. 러시아의 배경이지만 도시의 소음이나 풍경은 그리 복잡하지 않게 전해지는 편이다. 평범한 인물이 나오고, 그 인물이 겪는 사건을 통해 한 인간이 어떻게 정신적 변화를 겪는지가 드러난다. 그의 주된 관심사는 결국 사람의 내면에 있는 사랑과 양심 같아 보인다. 가난한 이웃이 어떻게 버티는가, 혹은 인간이 진정 행복을 찾으려면 무엇을 놓아야 하는가, 이런 점들을 작가 특유의 진지함으로 펼쳐 놓았다. 가끔은 거칠게 묘사되기도 한다. 어떤 구절에서는 눈앞에 펼쳐진 장면이 선명하게 그려져서 서늘한 기분을 주기도 한다.

    그 가운데에서도 표제작은 사람 사이의 애정과 희생을 다룬다. 처음 등장하는 구두장이, 길가에 웅크리고 있던 낯선 사내를 데려다 돌보는 그 장면부터 마음이 자꾸 흔들린다. 누구나 한 번쯤 길 위에서 낯선 사람을 본 적이 있을 것이다. 그를 모른 척 지나치거나, 잠시 동정하고 뒤돌아서거나, 혹은 자신에게 피해가 되지 않을지 먼저 따져볼 때가 많다. 하지만 이야기 속 구두장이는 그러한 계산을 길게 하지는 않는다. 집안 형편이 좋지도 않고, 아내가 달가워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을 알지만, 그래도 멈춰 선다. 그의 심정이 오롯이 전달되는 대목이다.

    아내는 처음에 당황하고 화를 낸다. 그래도 남편이 보여준 마음에 서서히 이끌린다. 의문스러운 눈빛을 보내다가, 낯선 사내에게 빵이라도 먹이려 애쓴다. 차가운 얼굴로 대할 수도 있었지만, 결국 그도 사람이다. 먹지도 못하고 길에 쓰러져 있던 이가 집 안에 들어왔으니, 그냥 내칠 수는 없다는 듯한 태도로 변한다. 그 모습이 마치 작은 연민의 불씨가 천천히 피어오르는 것 같다. 구두장이는 그런 아내를 보며 안도하면서, 아직 세상이 살 만하다고 느꼈을지도 모른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 인증O] 경추 추간판 탈출증 CASE STUDY(간호진단 6개, 간호과정 2개) / 목디스크, 경추디스크, 추간판 탈출증 케이스 스터디

    목차

    1. 문헌고찰

    2. 간호사정
    1) 간호력
    2) 인적사항
    3) 활력징후
    4) 건강양상사정
    5) 진단 및 계획을 위한 자료

    3. 간호과정

    4. 참고문헌

    본문내용

    1. 문헌고찰
    경추간판 탈출증(Herniated Cervical Disc)은 추간판이 밀려나 주위 신경근을 자극하여 통증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1) 종류
    ⅰ. 연성 추간판 탈출증
    섬유테가 돌출되거나 찢어진 틈새로 속질핵이 흘러나와 신경이나 척수를 누르는 것이다.
    외상과 관계가 있으며 후측방의 구상돌기(Uncinate process) 때문에 후측방보다 후중앙부에
    잘 발병하며, 속질핵의 대량 탈출시 척수 압박으로 인한 척수병증을 보일 수 있다.
    ⅱ. 경성 추간판 탈출증
    진정한 의미의 추간판 탈출증은 아니다. 경추의 퇴행성 변화인 골극(Osteophyte)의 성장이
    경추 신경근을 압박함에 따라 상지 방사통을 유발하는 것이다.

    2) 원인
    일상생활의 잘못된 습관이나 외상 등으로 인한 목에 직접적인 충격으로 인해 추간판의
    섬유테에 균열이 발생하여 내부의 굳어진 속질핵이 빠져 나오는 것이 주원인이다. 나이가
    들면서 추간판의 속질핵의 수분 함량이 감소하여 탄력성이 떨어지고, 잘못된 자세나 외상
    등의 자극이 가해져 추간판이 밀려날 수 있다.
    <경추 추간판 탈출증에 원인이 되는 잘못된 생활습관>
    ∙ 장시간 머리와 목을 앞으로 내민 자세로 앉아있는 것
    ∙ 외상 등 직접적인 충격으로 목의 뼈나 관절에 손상이 생긴 경우
    ∙ 평발이거나 발에 맞지 않은 신발을 장기간 착용한 경우
    ∙ 무거운 물건을 들어 올리는 경우
    ∙ 높은 베개를 장기간 사용한 경우
    이 외에 진동하는 기계를 작동하는 일, 심한 육체적 노동, 격렬한 운동, 허약한 복부와 등
    근육 모두 추간판 탈출증의 위험을 증가시킨다. 무릎을 구부리지 않고 허리를 굽히는 회전
    운동을 하는 것은 추간판에 긴장을 유발하며, 반복되는 긴장으로 인해 추간판이 약해지면
    탈출이 일어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성인간호학 다발성 외상

    목차

    1. 정의
    2. 병태생리
    3. 원인
    4. 임상증상
    5. 치료
    6. 간호

    본문내용

    1. 정의
    외상은 외부적 또는 폭력적 행동에 의한 신체적 손상 또는 상처로, 의도적일 수도 있고 우발적일 수도 있다. 40세 미만의 젊은 사람들이 사망하는 가장 흔한 원인이다. 다발성 외상(multiple trauma)을 정의하는데 있어 하나의 합의된 정의에 대한 근거는 아직 부족하고 애매하지만 최근 수년간 국제적으로 전문가들이 모여 분석 및 논의하였는데 이에 의하면 다발성 외상(polytrauma)은 Injury Severity Score (ISS)가 15점보다 크고, Abbreviated Injury Scale (AIS)이 최소 두 구역에서 3점 이상이면서 다섯 가지의 병적 상태 중 최소 한 가지 이상을 갖는 경우로 정의하였다. 여기서 다섯 가지 병적 상태는 90 mmHg 이하의 수축기 혈압, 8점 이하의 Glasgow Coma Scale, -6.0 이하의 염기과잉, 부분트롬보플라스틴시간(partial thromboplastin time)이 40초 이상 또는 국제표준화비율(international normalized ratio)이 1.4 이상인 응고장애, 70세 이상인 경우이다. 다발성 외상 환자는 전체 외상 환자의 약 15-20% 정도를 차지하며, 주로 젊은 연령에서 교통사고로 인한 손상이 가장 흔하다. 다발성 외상을 입은 환자는 즉각적인 조치와 다학제적 팀의 접근이 필요하다.

    출처 : 해피캠퍼스

  • 간호관리학실습 간호실무에서의 리더십 유형

    목차

    1. 경로-목표 이론 : 참여적 리더십
    2. 경로-목표 이론 : 성취지향적 리더십

    참고문헌

    본문내용

    정의 :
    House의 경로-목표 이론은 브룸의 동기부여 기대이론에 근거를 두고 있으며 지도자의 역할은 구성원들이 개인이나 조직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동기를 부여하는 것이라고 본다. 구성원들이 직무를 통해 얻으려고 하는 것, 즉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목표에 대한 경로를 제시하거나 그 경로를 보다 쉽게 해주는 것이 지도자의 역할이다.
    특정 리더십 행위의 특성을 4가지로 파악하였으며 더불어 리더십 유형이 효과적인 상황요인을 제시하고 있다. 상황요인은 두가지로 하나는 집단 구성원의 개인 특성과 관련된 요인, 나머지 하나는 작업환경요인들이다. 상황변수인 구성원 특성 및 작업환경 요인에 따라 지도자는 4가지 유형 지시적 리더십, 지원적 리더십, 참여적 리더십, 성취지향적 리더십으로 구분할 수 있다.
    내가 관찰한 리더십 유형인 참여적 리더십은 구성원들에게 자문을 구하고 상의하여 의사결정하여 구성원의 아이디어를 반영하고 함께 정보를 공유하는 리더십 유형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 노인간호학 치료적 의사소통 보고서

    목차

    1) 치료적 의사소통이 잘된 상황 또는 문제가 발생한 상황을 구체적으로 기술하시오.
    2) 간호상황에 맞게 의사소통기술을 8개 이상 정확하게 적용하고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시오.
    3) 치료적 의사소통을 분석 및 평가하시오.
    4) 본인이 직접 사용한 적이 있는 것으로 역기능적 의사소통의 구체적인 예를 10개 이상 제시하시오.

    본문내용

    학생: (1 눈을 맞추며) 안녕하세요, 박0순님. 혈당 재러 왔어요. 오늘은 편안히 누워 계시네요(1 대상자의 변화에 대한 인식을 표현하기).

    환자: 응. (침대에서 느긋하게 일어나며) 안잴래.

    학생: (2 이해한다는 표정으로) 너무 자주 재서 번거롭고 아프시죠. 바늘에 찔리는 거 되게 아파 보이세요(2 관찰한 바를 표현하기). (3 손가락으로 4를 만들며) 하루에 네 번 재셔야 해요. 어르신 혈당 조절이 잘 안되서 조절 잘 되고 있는지 확인할려고 바늘 찔러서 검사하는거에요. 어머니 당뇨약 드시고 계시지만 혈당이 높아도 위험하고 낮아도 위험하니까요(3 정보 제공하기).

    환자: (고개를 저으며) 아파

    학생: 바늘에 찔리는게 많이 아프죠?(4 반영하기)

    학생: (4 눈을 맞추며) 어디에 바늘 찔러 검사했는데 아팠어요?(5 탐색하기).

    환자: 여기 (오른쪽 검지를 내밀며)

    출처 : 해피캠퍼스

  • 정신간호학 영화-뷰티풀 마인드 CASE STUDY 간호진단2개

    목차

    1. 정신간호사정
    1) 정신간호력 조사
    2) 정신상태 검진
    3) 신체 및 심리상태(약물치료 포함)

    2. 간호과정
    1) 간호과정1
    2) 간호과정2

    3.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성장발달(Personal/Developmental)
    ➀ 영아기 및 초기아동기 :
    ➁ 학령전기 :
    ➂ 학령기 :
    ➃ 청소년기 : 대상자의 청소년 이전 시절 정보를 얻을 주변인물이 없어 정확하지 않으나 대상자에게 질문 시 현재 학창시절의 친구와 연락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보아 사회성이 불충분한 것으로 보임, 친구들과 놀기보다는 혼자 장난감을 가지고 놀았다 고함
    ➄ 성년기 : 대학시절 동기들과 함께 생활하였으나 의사소통 시 본인만의 직설적이고 무례한 말을 많이 사용하여 가까운 지인이 많이 없음
    ➅ 중년기 : 본인의 병식이 있어 주변 지인들과 의사소통하려 노력하는 모습을 보임
    ➆ 노년기(65세 이후) :
    (2) 정신 사회학적 사정(Psychosocial Criteria)
    ➀ 병전성격(Childhood/premorbid history) : 주변 인물들과 소통하며 지냈으나 현재 질병의 증상 발현으로 정확한 과거 성격 알 수 없음
    ➁ Stressors(내적, 외적) : 특정 패턴을 보았을 때 반응
    ➂ 스트레스에 대한 적응력(Coping skills) : 환각이라는 것을 인지하지 못하고 대화함
    ➃ 대인관계(Relationships) : 의사소통 방식으로 인해 대인관계에서 어려움을 겪었으나 병에 대한 인식 이후 주변인들과 대화하여 이를 개선하고자 함
    ➄ 신뢰관계(Reliability) : 아내, 대학 동기
    ➅ 문화적(Cultural) : 사회적 낙인으로 인한 주변 시선에 적응하지 못함
    ➆ 영적(Spiritual(value-belief)) : –
    ➇ 직업적(Occupational) : 질병에 대해 인식 후에도 본인의 연구에 집중하는 모습
    ➈ 지지체계(Support systems) : 아내, 대학 동기
    ➉ 특별한 욕구(Special needs) : 약 복용 중단까지 하면서 본인의 연구에 몰두

    출처 : 해피캠퍼스

  • 관계향상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원칙에 대하여 서술해봅시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가족생활교육에 있어서 ‘관계향상 교육프로그램’이란?
    2. 관계향상 교육프로그램의 실천적 유형
    3. 관계향상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원칙

    Ⅲ. 결론

    IV. 참고문헌

    본문내용

    가족은 구성원의 발전과 성장을 지원하며 스트레스 완화와 생산성을 높이는 순기능을 하는 조직 체계이다. 하지만 이와는 반대로 가족 체계의 역기능이나 불협화음이 발생하여 가족구성원의 삶의 질을 저해하고 부정적 정서를 심화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문제들은 장기적으로 인간의 심리와 자아실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조속한 해결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여러 접근법 중에서 가족생활 교육은 교육적 관점에 근거하여 가족의 건전성과 순기능을 강화하는 효과가 뛰어나며 복지 측면에서도 적은 자원 투입으로 최대의 성과를 도출할 수 있는 방법론으로서..

    <중 략>

    출처 : 해피캠퍼스

  • 노인의 의료보장정책의 필요성를 제시하고, 의료보장정책의 문제점 2가지를 제시하고 이에 따른 해결방안을 학습자의 견해와 함께 제시하시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노인 의료보장정책의 필요성
    2. 노인 의료보장정책의 현황
    3. 노인 의료보장정책의 문제점
    4. 노인 의료보장정책 문제점 해결방안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한국의 고령화 속도는 유례를 찾아보기 힘들 정도이며 이에 대한 적절한 대책이 수립되지 않는다면 가까운 미래의 한국 복지체계엔 막대한 부담이 발생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노인은 각종 건강 문제와 질병 등에 취약하므로 노인복지 정책과 제도는 이 부분에 집중될 수밖에 없고, 그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효율과 역기능은 불필요한 사회복지 자원의 소모로 귀결되므로 우리 사회는 지금부터라도 노인 의료에 관련된 제도와 정책의 효율성을 검증하고 문제점을 보완하는 작업을 추진해야 할 필요가 있다.
    나는 지난 노인복지론 교과과정에서 이와 관련된 여러 이론과 실천기술을 학습한 바 있고, 그중에서도 한국의 노인 의료보장정책에 깊은 인상을 받았으므로 이하의 본문에서는 노인의 의료보장정책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의료보장정책의 문제점 2가지를 제시하고 이에 따른 해결방안을 학습자의 견해와 함께 제시해보도록 하겠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 말기신부전 ESRD (진단 4개, 과정 2개)

    목차

    Ⅰ. 서론
    1. 대상자 선정 이유
    2. 통계자료

    Ⅱ. 본론
    1. 문헌고찰
    2. 간호력
    3. 입원 후 경과
    4. 진단적 검사
    5. 주요 약물
    6. 간호과정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1. 대상자 선정 이유
    성인간호학 실습을 통해 – 병원에서 2주간 실습하며 다양한 환자들과 질환을 마주할 수 있었다. 실습한 병동은 내과 병동이며, 중증도가 높은 편이며 환자의 평균 연령도 상당히 높았다. 폐렴이나 패혈증 진단이 가장 많았으나, 이는 진단일 뿐이며 진단받은 질환의 원인을 찾거나 그에 따른 합병증이나 감염성 질환을 치료하는 데에 초점을 둔 병동이었다. 여러 환자를 마주하던 중에, 매일 투석을 받으러 가는 환자를 보게 되었다. 투석을 받으러 가는 환자를 보며 신장에 어떤 문제가 존재하는지, 환자의 치료 경과는 어떤지 궁금해졌다. 본 케이스의 대상자는 기력저하와 의식 변화로 인하여 응급실을 통해 -부터 입원하였다. 말기 신부전이기에 전해질 수치나 혈액검사 등에 이상이 있고, 체액량 과부하가 심하여 투석을 받으며 증상을 조절하는 환자이다. 환자를 부르면 눈을 뜨지만 심한 기력저하로 인하여 말을 거의 하지 못하는 상태로 환자와의 면담이 어려웠다. 그러나 보호자인 환자의 배우자가 환자의 질환 및 상태에 대해 매우 상세히 알고 있었으며, 약의 종류까지 알고 계셔서 보호자와의 면담이 무리 없을 것으로 예상되어 케이스 대상자로 선정하게 되었다. 이번 기회를 통해 말기 신부전에 대해 확실하게 알고 대상자를 온전히 이해하여 할 수 있는 최선의 간호를 공부해보고자 하였다.

    2. 통계자료
    국민건강보험공단은 건강보험 진료데이터를 활용하여 2012년부터 2021년까지 말기신부전의 진료현황을 발표하였다. 말기신부전 진료 인원은 2012년 5만 156명에서 2021년 7만 6,281명으로 2만 6,125명 증가하였고, 연평균 4.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은 연평균 5.3%(17,202명), 여성은 4.0%(8,923명) 증가하였다. 2021년 기준 ‘말기신부전’의 연령 구분별 진료 인원을 살펴보면, 전체 진료 인원(76,281명) 중 70대 이상 26,759명(35.1%)

    출처 : 해피캠퍼스

  • A+ 아동간호학실습 케이스 정상 신생아, 기저귀발진 간호과정/신생아 문헌고찰 (간호과정 2개)

    목차

    Ⅰ. 서론
    1. 대상자 선정 이유
    2. 통계자료

    Ⅱ. 본론
    1. 문헌고찰
    2. 대상자 자료
    3. 간호과정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1. 대상자 선정 이유
    병원 신생아실에서 2주간 실습하며 많은 신생아를 볼 수 있었다. 신생아에게 비교적 흔한 질환인 기저귀 발진이 생긴 신생아를 보았으나 정도가 심하지 않고 정상에 가까워 대상자로 선정해도 될지 고민이 앞섰다. 쉬즈메디 신생아실에는 정상신생아가 대부분이었기에 대상자를 선정하는 데에 많은 고민을 하다 문득 ‘내가 과연 신생아를 완벽히 알고 간호할 수 있는가?’라는 생각이 들었다. 나는 아직 정상인 신생아조차 완벽히 알지 못한다고 생각했기에 오히려 신생아를 더 알아갈 수 있는 기회라고 생각했다. 교수님께서 말해주셨듯이 신생아는 연약하기에 모든 질병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고, 가능성이 다양하다. 그에 따라 기저귀 발진이 있으며 정상에 가까운 신생아를 대상자로 선정하였고, 신생아 중에서도 가장 많이 관찰할 수 있었던 신생아를 대상자로 선정하고자 하였다.
    본 사례연구보고서의 대상자는 제왕절개를 통해 출생하였으며 재태기간은 38주 5일로 만삭 아이다. 출생 직후 3.16kg으로 정상 체중이었으며 출생 후 신생아실에서 재원하는 동안 기저귀 발진이 생겼으나 발진 정도가 심하지 않아 전체적으로 정상에 가까운 신생아이다. 나는 대상자의 출생 후 신체사정을 관찰하였고, 기저귀를 갈아주고 밥을 먹여주며 대상자를 가까이서 관찰할 수 있었기에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2. 통계자료
    통계청이 발표한 2022년 출생 신생아 수는 249,186명이었으며 남아 127,454명, 여아 121,732명으로 출생성비는 104.7이다. 전년대비 출생 신생아 수는 11,376이 감소하고 출생률은 4.4% 감소한 것으로 보아 출생률이 급격히 감소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최은진 한국보건 사회연구원 연구위원의 ‘미숙아 건강통계 현황과 시사점’ 보고서는 우리나라 전체 출생아는 2011년 47만1천명에서 2021년 26만1천명으로 45%가량 줄었다고 하였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