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

  • 학교사회복지 레포트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본문내용

    부적응이란 개인과 사회 안에서 상호적응에 불균형이 이루어져 개인이 환경 쪽에 잘 적응하지 못하게 된 상황이 발생한 것을 말하며 환경에 적응하는데 필요한 가치, 사고 행동을 유발하거나 유지할 수 없는 능력을 뜻하는 것을 말한다. 특히 학교에서 불균형이 이루어져 잘 적응하지 못하는 것을 학교부적응이라 말할 수 있다.
    학교에서의 부적응 사례를 보면 학교폭력, 집단따돌림(왕따), 지각, 결석, 가출, 도벽(담배)등이 있으며 이런 경우 사회복지사는 이에 대한 해결방안과 함께 학교부적응 학생이 학교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돕는 일을 한다. 본인은 학창 시절 학교부적응 친구들을 보고 ‘사회복지사가 있었다면 어땠을까?’하는 생각과 함께..

    <중 략>

    출처 : 해피캠퍼스

  • 현대 한국의 민족주의가 전통 문화 인식에 끼치는 영향

    목차

    Ⅰ. 서론
    1) 민족주의란 무엇인가
    2) 한국 민족주의 담론의 전개

    Ⅱ. 본론
    1) 발명된 전통, 단군
    2) 왜곡된 전통, 문화정책
    3) 재창조된 전통, 2002 월드컵

    Ⅲ. 결론

    본문내용

    1) 민족주의란 무엇인가

    ‘민족(nation)’은 일정한 지역에서 오랜 세월 동안 공동생활을 하면서 언어와 문화상등의 공통성에 기초하여 역사적으로 형성된 사회 집단을 말한다. 여기에서 사회 집단이 느끼는 공통성은 언어와 문화, 역사, 종교 등의 경험을 중시하는 객관주의적 접근과 구성원들의 연대감, 상호작용, 주관적 의지 등을 중요시하는 주관주의적 접근이 가능하다. 외국인 노동자 유입과 국제결혼 등의 이유로 현재는 국내 거주 외국인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지만 불과 50년 전까지만 해도 한국은 단일민족 인식이 매우 강한 국가였다. 족보를 편찬하는 등 혈통을 중요시하는 성향을 보였으며 한민족이 공동의 조상을 가지고 있다는 믿음으로 하나의 가족과 같은 유대감을 느꼈다. 과거 잦았던 외세의 침입과 일제 식민통치, 6.25 전쟁 전후 혼란스럽고 빈곤했던 시기를 함께 겪으며 우리나라 민족의 단결성은 점점 더 강해졌다. 민족의 독립과 통일을 가장 중시하는 사상인 ‘민족주의(nationalism)’는 이와 같은 시대를 간접적으로나마 접한 노년층에서 상대적으로 더 많이 나타난다. 본래 민족주의는 19세기 이래 근대 국가 형성의 기본 원리가 되었으며, 외국의 지배로부터의 해방이나 독립을 목표로 하는 형태와 분열되어 있는 민족의 정치적 통일을 목표로 하는 형태로 크게 나누어진다. 대한민국의 역사를 떠올렸을 때 일제 강점기 당시 전자의 형태, 박정희 정부 시대에 후자의 형태가 나타났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2) 한국 민족주의 담론의 전개

    윤인진(2007)에 따르면 한국의 민족주의 담론은 크게 세 시기로 구분된다. 일제 식민통치 시기의 저항적 민족주의, 권위주의 정권하의 발전론적 민족주의, 민주화와 세계화 시대의 열린 민족주의 및 보편적 세계주의가 그것이다. 먼저 저항적 민족주의 담론은 동학운동 시기부터 광복 후까지도 한국민족주의 담론을 이끌어갔다. 창시자인 신채호는 근대적 시각에서 한국의 사대주의사관을 비판하였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청소년기 정신건강문제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본문내용

    정신건강이란, 인간의 의사소통과정에서 흔히 사용하는 어휘의 내면적인 심층의 세계를 말하며 정서적 작용, 감정적 작용, 대인관계까지 포함한다. 그 중 청소년기의 정신건강을 정의한다면, 청소년기는 만 12~18세로 신체적으로 급격한 성장발달을 보이고 감성적, 정서적, 지적 작용이 다양해지는 반면에 조화로운 정신작용과 논리적 사고형태가 아직은 미흡한 상태이기 때문에 정신적 방황을 자주 경험한다. 또한 생리적 변화를 많이 겪는 시기이기 때문에 신경증, 정신적 장애, 부적응을 초래하기도 한다. 청소년기는 자아존중감, 분노, 공격성, 낙관성, 충동성, 자기조절, 창의성, 자기효능감 등도 청소년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며 낙관성, 창의성, 자기조절은 청소년의 정신건강을 유지시키는 중요한 심리 내적 요인이라 할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서울대 화학실험1 원소분석과 어는점 내림 A 결과보고서 (50/50) 영재고 출신 작성

    목차

    1. 배경지식
    2. 데이터 정리
    3. 결과 분석
    4. 실험에 대한 고찰 및 개선 방안
    5. 과제
    6. 참고문헌

    본문내용

    1. 배경지식
    1.1 원소분석기
    시료 내 탄소(C), 수소(H), 질소(N), 황(S) 및 산소(O)를 정량 분석하는 기기이다. 미지시료의 조성비를 통해 실험식을 구할 수 있다. 가열로에서 가스로 분해된 시료는 기체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칼럼을 통과시키며 특정 원소의 피크를 시간에 따라 분리하여 함량비를 구할 수 있다.

    1.2 어는점 내림
    그림1은 순수 용매에 비해 용액에서 증기압 곡선이 어떻게 변하는지에 대한 그래프이다. 과제에서 설명하겠지만 용액의 총괄성에 의해 용매의 몰분율에 따라 증기 압력이 낮아지며 용융곡선과 삼중점도 낮아진다. 이에 정상 어는점보다 용액의 어는점이 낮아지며 그 값은 다음의 식을 통해 구할 수 있다.

    1.3 과냉각 현상
    물질이 어는점을 넘었음에도 응고되지 않고 액체상태를 유지하는 현상이다. 액체 분자가 응고하기 위해서는 결정이 형성되도록 핵이 필요하기 때문에 핵이 충분하지 않은 상황에서는 어는점보다 낮은 온도에서 액체로 존재하게 된다. 이때 외부의 충격으로 인해 급격히 상변화를 하게 되면 응고열을 방출하여 온도가 약간 오르게 된다.

    1.4 시료 특징
    본 실험에서 사용한 NaCl, 포도당, 설탕의 경우 직접 실험실에 비치된 시약통에서 분자량과 화학식을 참고하였다.
    포도당과 설탕 분자는 물속에서 나뉘지 않는 비전해질 분자이며 염화나트륨은 1가 이온으로 나누어지며 100% 이온화되었다고 가정하고 실험을 진행하였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의료사회복지 실천모델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본문내용

    의료사회복지 실천모델 중 위기개입 모델은 위기에 처해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즉각적인 개입을 통해 단기간 내에 전문적인 도움을 제공하는 실천 모델이다.
    기본 개념에는 France(1990) 위기의 5가지 구성요소가 있으며 유형에는 발달적 위기, 상황적 위기, 환경적 위기, 실존적 위기가 있으며 개입과정으로는 1~7단계가 있다. 본인은 주위에 사고 후 높은 스트레스를 가진 클라이언트에게 어떠한 방식으로 위기개입 모델의 개입의 필요한지, 그 과정에서 클라이언트의 사정과 개입이 어떻게 필요하고 행동해야 하는지 의문을 갖고 서술하고자 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서울대 화학실험1 HPLC에 의한 아데닌과 카페인의 분리 A 결과보고서 (50/50) 영재고 출신 작성

    목차

    I. 초록 (Abstract)

    II. 도입-실험 배경 및 이론 (Introduction)

    III. 실험방법 (Experimental)

    IV. 결과 (Results)
    1. 아데닌과 카페인의 분리
    2. 파장대에 따른 흡광도 측정
    3. 카페인 검정 곡선 도출 후 미지의 카페인 용액 농도 추정

    V. 고찰 (Discussion)

    VI. 결론 (Conclusion)

    VII. 과제 (Assignment)

    본문내용

    I. 초록 (Abstract)
    HPLC의 원리를 알고 역상 크로마토그래피를 통해 카페인과 아데닌의 용출시간 차이를 통해 극성 차이를 비교하며, 250nm부터 280nm 까지 10nm 간격으로 카페인과 아데닌의 혼합 용액의 흡광도를 측정해보며 최대 흡광 파장을 구해본다. 카페인을 각각 500μM, 375μM, 250μM, 125μM 표준 용액을 통해 검정선을 도출하며 커피의 농도를 구한다.

    II. 도입-실험 배경 및 이론 (Introduction)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romatography)는 이동상과 고정상의 극성 차이를 통해 혼합물을 분리하고 흡광도를 통해 정량분석해 주는 첨단기기이다. 분배의 원리에 따르면..

    <중 략>

    아데닌과 카페인의 경우 분자구조 차이에 의해 아데닌의 극성이 높아 이동상이 정지상보다 극성이 높은 역상 크로마토그래피의 경우 더 빨리 검출된다.
    특정 파장대에서 흡광도는 Beer-Lambert 법칙에 의해 물질의 두께와 물질의 농도와 비례한다. 이때 검출기가 측정한 시료의 두께가 일 정하므로 검출기가 측정하여 방출된 전류를 시간에 대해 적분한 값은 농도에 선형적으로 비례하게 되어 흡광도를 통해 미지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III. 실험방법 (Experimental)
    -실험1 아데닌과 카페인의 분리
    300μM 아데닌 용액과 500μM 카페인 용액을 260nm 파장에서 70μL 주입한 뒤 흡광도와 RT값을 측정한다.
    -실험2 파장대에 따른 흡광도 측정
    300μM 아데닌 용액과 500μM 용액을 1:1의 부피비로 혼합하여 70μL를 투입한 뒤 280nm, 270nm, 260nm, 250nm 순서로 파장대에 따른 흡광도와 높이를 관찰한다.

    -실험3 미지의 카페인 용액 농도 측정
    미리 준비된 500μM 카페인 용액을 통해 1:1로 희석하여 250μM을 제작한 뒤 250μM 과 500μM를 1:1로 희석하여 375μM 용액을 제조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 받은 아동간호학 신생아실 신생아황달 Case 간호과정(점수 첨부함.)

    목차

    1. <신생아황달 신생아 고빌리루빈혈증 Neonatal hyperbilirubinemia 질병고찰>
    1) 증상
    2) 원인
    3) 치료
    4) 경과
    5) 합병증

    2. 신생아 정보 성별, 출생일시, 신생아실 도착시간, 입원경로, 출생 시 체중, 출생 직후 신체사정(두위,흉위,배둘레,신장, 재태기간, 혈액형, APGAR Score, 출생 직후 V/S

    3. 분만 특이사항(산모 정보)

    4. 신생아 처치 및 검사 – 제대간호 시행여부, 눈간호 시행여부, 투약한 약, 검사 시행여부

    5. BST 수치표

    6. Feeding 기록지(I/O Check)

    7. 환아 상태
    1) 8월 25일 (입실 1일째)
    2) 8월 26일 (입실 2일째)
    3) 8월 27일 (입실 3일째)
    4) 8월 28일 (입실 4일째)
    5) 8월 29일 (입실 5일째)

    8. 대상자에게 투약한 약

    9. 대상자에게 투약되지 않았지만 본원 신생아실에 있는 약

    10. <<★비판적 사고에 근거한 간호과정 적용(신생아실)>>
    1) 간호과정 단계
    2) 보호자문진
    3) 출생직후 신체검진 결과
    4) 검사결과
    5) 간호문제
    6) 간호진단 목록
    7) 간호과정 총 4개(피드백 후 수정내용 포함)

    11) 참고문헌

    본문내용

    증상
    빌리루빈 수치가 증가함에 따라 황달은 얼굴에서 시작하여 복부, 발까지 진행됩니다. 피부를 누른 후 떼었을 때 피부가 노란색일 경우 황달이 있다고 합니다. 얼굴에만 나타나면 5mg/dl, 복부 중앙까지 나타나면 12mg/dl, 발바닥까지 나타나면 20mg/dl로 황달 수치를 추정할 수 있습니다.

    원인
    황달은 아기의 몸에 빌리루빈이라는 색소가 많아지면서 피부가 노랗게 되는 것입니다. 빌리루빈은 피의 한 성분인 적혈구가 깨질 때 나오는 heme이라는 성분이 변환되어 만들어집니다. 이것은 원래 적혈구의 정상적인 운명입니다. 그런데 신생아의 적혈구는 성인의 적혈구에 비하여 수명이 짧아서 빌리루빈이 많이 만들어집니다. 원래 만들어진 빌리루빈은 간에서 변형을 거쳐 배설되지만, 신생아는 이를 변형시키는 효소의 기능이 떨어집니다. 그래서 신생아는 빌리루빈을 잘 제거하지 못하며, 빌리루빈을 체외로 배출하는 기능도 약하여 황달이 잘 생깁니다.
    신생아 발생요인은 (경기도에 위치한 일개 종합병원 신생아집중치료실에 고빌리루빈혈증으로 입원한 출생 30일 이하의 만삭 신생아들의 의무기록지 98개를 분석한 결과) 첫째가 62.2%로 가장 많았고, 재태기간은 평균 274일이었으며, 출생시 체중은 평균 3,365g이었다. 입원시 체중은 평균 3,260gm이었고, 입원시 체중감소율은 평균 3.0%이었다. 질식분만이 86.7%였고, 모유수유가 74.5%로 많았다. 신생아 혈액형은 A+형이 40.8%로 가장 많았다. 산모 혈액형에 있어서는 A+형이 19.8mg/dl로 B+,AB+,O+형 보다 높았고,배우자 혈액형에 있어서는 A+형과 O+형이 18.3mg/dl로 B+형, AB+형 보다 높았다. 출생시 합병증은 13.3%가 있었고, 두혈종은 11.2%가 있었다. 입원기간은 평균 4.7일이었고, 입원시 신생아 황달만 있는 경우가 49.0%로 가장 많았고, 신생아 황달과 타 진단명 1개가 함께 있는 경우가 45.9%였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서울대 화학실험1 이산화탄소의 헨리상수 A 결과보고서 (50/50) 영재고 출신 작성

    목차

    1. Result
    1.1 실험 결과

    2. Discussion
    2.1 실험결과 분석
    2.2 오차 원인 분석

    3. Assignment

    본문내용

    1. Results
    1.1 실험 결과
    1.1.1 NaOH의 표준화와 약산의 적정
    주어진 표준용액인 50mM KHP수용액 5.0mL를 NaOH 수용액으로 종말점까지 적정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때 페놀프탈레인 지시약에 의해 색이 20초 이상 유지된 시점을 종말점이라고 판단하였다.

    <중 략>

    이때 페놀프탈레인의 변색범위가 8.2~10.0의 값을 갖기 때문에 용액의 색이 무색에서 적색으로 바뀌는 지점인 종말점은 1차 이온화에서만 관찰이 가능하다. 따라서 1가산이라 고 가정한 것이다.
    표11에 따르면 1분 교반한 바이알이 가장 이상적인 헨리상수와 가장 적은 오차를 가진 다. 이는 교반하지 않았을 때의 탄산수가 불포화되었다고 볼 수 있다. 교반을 통해 불균 형한 농도로 존재하던 탄산수의 분포가 상대적으로 균등해지며 농도가 높아진다. 또한 상대적으로 교반하면서 표면적이 증가하는 효과도 있기 때문에 반응속도의 관점에서 이 득을 보게 된다.

    2.2 오차 원인 분석
    2.2.1 적정 시간에 따른 오차
    적정을 하는 시간동안 다음의 평형 반응식의 반응이 일어난 것으로 볼 수 있다

    <중 략>

    2.2.2 교반 방법 차이에 따른 오차
    이산화탄소 기체의 경우 공기의 평균 분자량인 28.9 (질소 78%, 산소 21%, 아르곤 1% 가정) 보다 무거운 44.01의 평균 분자량을 가지고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성균관대학교 정보구조설계(Information Structure Design) 중간 과제

    목차

    없음

    본문내용

    A thesis submission system called dCollection enables the submitter to register the thesis’s original text and other relevant information. It is a standardized data system that can handle and integrate data that is dispersed among different kinds of organizations. The most useful feature of the recently redesigned system is that it automatically pulls meta information when registering the thesis’s original content, reducing the amount of user data input and maximizing ease. Additionally, the user interface (UI) of the system has been enhanced, and the primary function of “submitting degree thesis” now includes a user convenience function. This system’s goals are to gather, organize, and evaluate institutional (university) researchers and their findings. It links to UREKA, a system that analyzes research performance trends of institutions, and allows search and inquiry of research outcomes generated through submitted theses.

    출처 : 해피캠퍼스

  • 분별 증류 실험

    목차

    Ⅰ. 서론
    1. 실험 목적
    2. 실험 이론

    Ⅱ. 본론
    1. 실험 준비물
    2. 실험 방법
    3. 실험 방법 및 기구, 시약 선택 이유

    Ⅲ. 결론
    1. 실험 결과
    2. 실험 고찰

    IV.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실험 목적
    – 분별 증류를 이용하여 두 종류 이상의 액체 혼합물로부터 순수한 화합물을 분리하는 원리와 과정을 이해할 수 있다.
    – 두 종류 이상의 액체 혼합물로부터 순수한 화합물을 분리할 수 있다.

    2. 실험 이론
    1) 끓는점
    – 액체가 끓기 시작하면 가열해도 온도가 더 이상 높아지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되는 구간이 존재한다. 이는 가해준 열에너지가 물질의 온도 변화에 사용되지 않고 상태 변화에 사용되기 때문인데, 이때의 온도를 끓는점이라고 한다.

    2) 증류
    – 증류는 액체 혼합물의 끓는점 차이를 이용해 분리하는 방법을 말한다. 증류를 통하여 순수한 액체 물질을 얻을 수도 있고, 액체 물질의 순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증류는 화학 조성을 변화시키지 않고 물리적 성질을 이용해 분리하는 방법이다. 증류는 증류 장치 및 가열 방법에 따라 단순 증류, 분별 증류, 감압 증류, 증기 증류 등으로 나뉜다. 단순 증류는 액체를 기화시켰다가 다시 응축시키는 것을 반복하는 것이고, 분별 증류는 서로 잘 섞여있는 액체 혼합물의 끓는점 차이를 이용하여 분리하는 방법을 말한다.

    3) 분별 증류
    – 분별 증류는 앞서 얘기했듯이, 서로 잘 섞여 있는 액체혼합물을 끓는점 차이를 이용해 분리하는 방법이다. 원유의 분리에 주로 쓰인다.
    – 물과 아세톤을 분별증류로 분리하는 경우, 순수한 물은 100℃에서 끓고 아세톤 56.05℃에서 끓는다. 물과 아세톤을 증류장치에 넣고 가열하면 아세톤이 먼저 끓어 나오고, 물은 더 가열한 후 온도가 100℃가 되었을 때 끓어 나오기 시작한다. 처음에는 온도가 점점 올라가다 56.05℃ 이상의 온도에서 기울기가 작아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때가 아세톤이 끓어 기화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구간이다. 이때 나오는 기체를 다시 액화시키고 모으면 아세톤을 얻을 수 있다. 순수한 물질의 상전이 그래프에서는 상이 바뀌는 구간에서 온도 변화가 없지만 물과 아세톤이 함께 존재하는 용액에서는 약간의 온도 변화가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