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1. NANDA의 Taxonomy Ⅱ 분류체계에 의한 간호사정 도구
1) 진단명: 갑상샘 항진증 & 구체적 사례
2) 일반적 사정
3) NANDA의 Taxonomy Ⅱ 사정영역
4) 신체사정 도구
5) 질병에 관한 문헌 고찰
6) 진단을 위한 검사 소견(임상 병리검사, 방사선 검사 및 특수검사, 대상자의 기타 치료)
7) 의학적 치료 및 경과(내과적 치료 약물 요법)
2. 간호과정
1) 간호진단 우선 순위
(1) 급격한 대사요구와 관련된 영양불균형 /NANDA Ⅰ 간호진단 분류체계Ⅱ(2018~2020) 영양 과1. 섭취/영양불균형: 신체 요구량보다 적음
(2) 안구돌출과 관련된 각막손상의 위험성/ NANDA Ⅰ 간호진단 분류체계Ⅱ(2018~2020) 안전.보호 과2. 신체적 손상
(3) 반복되는 설사와 관련된 피부통합성 장애의 위험/ NANDA Ⅰ 간호진단 분류체계Ⅱ(2018~2020) 안전.보호 과2. 신체적 손상
2) 간호과정 적용
3. 출처
본문내용
질병명
갑상샘 항진증
hyperthyroidism
정의
갑상선 기능 항진증은 갑상선에서 분비되는 호르몬(T3 및 T4)이 어떠한 원인에 의해서 과다하게 분비되어 갑상선 중독증을 일으키는 상태를 말한다. 갑상선 기능 항진증이 심하여 사망에 이르게 될 경우 이를 갑상선 기능 항진증의 발작 또는 급성발작이라고 한다.
병태생리
갑상샘 호르몬(T3, T4)이 과다하게 분비되어 말초 조직 대사가 항진되어 있는 상태
*Graves’ disease=Basedow’s disease
-갑상샘호르몬 분비조절능력 부족(TSH수용체 항체 존재-항체가 TSH와 비슷한 역할을 수행→T3, T4 증가
-자가면역성 질환, 스트레스, 출산 등과 관련, 심해질 경우 갑상샘 위기로 전환
증상&징후
∙전신: 피로감, 전신권태감, 심한 더위, 미열, 체중감소
∙피부: 발한증가, 과색소 침착, 머릿결 변화, 따뜻하고 축축한 피부, 손톱박리증, 백반
∙눈: 안구돌출, 이물감 눈부심, 복시, 안검부종, 결막충혈, 안검퇴축, 안검하수
∙갑상샘: 미만성 갑상샘종, 갑상샘종의 잡음 및 진동
∙호흡기계: 운동중 호흡곤란, 호흡횟수와 깊이의 증가
∙심혈관계: 심계항진, 빈맥, 맥압증가, 수축기 심잡음, 심방세동, 심부전
∙소화기계: 식욕증가, 장운동 증가, 잦은 배변, 설사, 혈중지방 감소, 구토, 위분비 증가, 간비대
∙비뇨 생식기계: 다뇨, 무월경(여성), 성욕감퇴, 발기부전(남성)
∙신경, 근골격계: 피로, 쇠약, 근력약화, 주기성 마비, 떨림, 반사항진,
∙정서: 신경과민, 황홀감, 망상, 불안, 불면, 정서 불안정
진단검사
*갑상샘 기능검사
∙혈청학적 검사
1. TRF자극검사
-정상적으로 TSH는 10분 후부터 상승하기 시작하여 45분에 최고에 달한다. 갑상샘항진증일 때 실시한다.
2. T3검사
-단백질과 결합되어 있는 T3와 유리T3의 합계를 측정하는 검사이다.
3 T4검사
-정상치:4~12mcg/dL
-과정은 T3검사와 동일하며 수치가 증가시 갑상샘 항진증을 진단할 수 잇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