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1. 플라스틱
1.1 개념
1.2 문제점 및 해결점
2. 플라스틱 종류와 특성
2.1.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2.2.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
2.3. 폴리스티렌(Polystyrene, PS)
2.4. 나일론(Nylon)
2.5.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2.6. Polyvinyl chloride (PVC)
3. 플라스틱 분해 미생물
3.1. Ideonella sakaiensis
3.2. Pseudomonas
3.3. 조류
3.4. 방선균(Actinomyces)
3.5. 곰팡이
3.6. 반추 미생물
4.연구 동향
5. 결론
6. 참고문헌
본문내용
◆ 1. 플라스틱(plastic)
1.1. 개념
플라스틱(plastic)은 가소성(plasticity) 물질 또는 플라스틱스라고도 하며, 가열 또는 가압 이 두가지에 의해서 성형이 가능한 재료를 뜻한다. 플라스틱은 가볍고 새로운 물건으로 만들기 용이하며 저렴하다는 특성이 있다. 또한 내구성이 다른 물질에 비해 뛰어난 점을 활용해서 다양한 응용 분야에 금속이나 목재 및 유리를 대체해서 사용하는 용도로 자리잡고 있다.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플라스틱 [plastic]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1.2. 문제점 및 해결점
일상 생활에서 플라스틱은 빼놓을 수 없는 물질이자, 현대 생활에 스며들어서 포장에서 의류나 미용제품 등 모든 곳에 사용된다. 그러다 보니 많은 양의 플라스틱은 버려지고 폐기되고 있다. 이렇게 유용하고 실용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플라스틱이지만, 인간의 건강과 기후, 동물에게도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사실을 사람들은 인지하지 못한다. 전 세계적으로 사용되는 플라스틱의 양은 약 3억 7천만 톤에 이른다. 하지만 여기서 재활용이 되는 플라스틱은 약 9%이고 남은 플라스틱의 폐기물은 그대로 버려진다. 플라스틱은 공기, 물, 건강에 치명적인 것으로 사실이 나타나며 생태계의 종이 오염되고 있으며 더 나아가 환경을 복구하기 위한 경제적인 비용의 피해가 클 것이라는 가능성을 제기하며 전 세계인들이 다음 세대를 위해 플라스틱을 줄이는 일에 참여하도록 요청했다. 이를 통해 일상생활 속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고 이에따라 폐기물의 양을 감축할 것이라 예상된다. 또한 경제적이면서 환경 친화적인 플라스틱 폐기물을 처리하는 방법으로 미생물을 이용한 생물학적 분해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미생물을 사용함으로써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사태를 해결하고자 한다.
◆ 2. 플라스틱 종류와 특성
폴라스틱의 종류는 다양하지만 그중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 폴리스티렌(Polystyrene, PS), 나일론(Nylon),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Polyvinyl chloride (PVC)가 대표적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