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Result
1.1 이산화탄소의 분자량 측정 실험
1.2 액체 이산화탄소 관찰
2. Discussion
2.1 이산화탄소의 분자량 측정 실험
2.2 액체 이산화탄소 관찰 실험
3. Assignment
3.1 과제1
3.2 과제 2
본문내용
위 결과에 의해 드라이아이스가 승화하며 생긴 이산화탄소가 충분히 유리판을 들고 공기중으로 분출되었다고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드라이아이스가 승화하면서 질량이 감소했던 것이며 승화가 끝나자 질량변화도 멈춘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2.1.1.2 이산화탄소의 확산 경향 분석
그림 4, 5, 6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분자량은 점차 감소하며 공기의 분자량 근처에서 수렴하는 경향을 보인다. 250mL플라스크, 100mL 플라스크, 50mL 플라스크 속 혼합기체의 10분 후 분자량은 각각 38.424, 29.029, 28.837이다. 250mL 플라스크는 이산화탄소가 아직 전부 확산되지 않았지만 100mL와 50mL 플라스크는 모두 확산하여 공기의 분자량에 해당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250mL 플라스크에 남아있는 이산화탄소의 부피 퍼센트는 다음과 같다.
<중 략>
또한 그림 1, 2, 3을 보면 공통적으로 0~20초에서 질량이 크게 감소한 사실을 관측할 수 있으며 점차 갈수록 기울기가 완만해지는 경향을 보인다. 이는 확산 혹은 분출의 개념으로 해석해 볼 수 있다. 확산과 분출의 대표적인 차이는 기체상의 이동 방향 차이인데, 분출은 여러 기체 분자들 중 특정 기체 분자만이 방향성을 가지는 상황이고, 확산은 여러 기체 분자가 방향성을 가지는 상황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