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

  • 드림널스 우울증 간호과정

    목차

    1. 환자 소개
    2. Quiz 결과
    3. 대상자 MSE
    4. 디브리핑 일지

    본문내용

    (1) 아버지
    -67세, 영광출신, 고졸, 무교, 일용직
    -알코올 중독으로 술 먹으면 폭언과 폭력이 심하였고 주로 엄마와 환자에게 폭력을 많이 휘두름.
    -술로 직장생활을 잘 하지 못하고 돈이 생기면 술과 노름을 즐겨 다님.
    -환자에게는 항상 소리 지르고 술 먹으면 떄리는 모습을 보여 환자는 아버지를 두려운 존재로 인식하고 있음.
    -현재 치매 증상을 보여 요양원에 있음.

    (2) 어머니
    -62세, 고창 출신, 중졸, 무교
    -가난한 집안의 6남매의 장녀로, 집안 형편이 어려워 부모님이 현 남편에게 어린 나이에 결혼시키자 어쩔 수 없이 결혼함.
    -본인이 남편에게 폭행을 당하고 무기력하게 지내서 환자에게 심리적으로 지지해줄 수 있는 상태가 아니었으나 남동생에 대해서는 헌신적으로 공부시키는 등 의지하며 지냄.
    -현재 외손주들을 양육하는 것을 도와주고 있으나 사위에게도 얘기를 잘 못하고 위축된 모습으로 지냄.

    (3) 남동생
    -35세, 안양 출신, 대졸, 무교
    -꼼꼼하고 이기적인 성격으로 누나와 어머니의 도움으로 대학교를 졸업하여 은행에 취직해 직장생활을 하고 있음.
    -현재 결혼하여 아이가 2명인 상태로 거의 명절 떄 오거나 집에 자주 오지 않는 모습을 보임.
    -어머니와 누나에 대해서는 불ᄊᆞᆼ하다고 생각하고 있어 어머니 생활비와 아버지의 병원비는 부담하고 있으나, 그 이외에는 개입하고 싶어 하지 않음.
    -거의 환자와는 왕래가 없는 상태임.

    (4) 남편
    -47세, 수원 출신, 고졸, 무교
    -자수성가 스타일로 성격이 불같이 급하고 화를 잘 내거나 잔소리가 심한 성격으로 환자가 많이 힘들어 함.
    -성실하나 환자 상태에 대해서 답답해하고 이해하지 못하여 가끔 화내는 모습을 보임.

    (5) 딸
    -17세, 수원 출신, 고2 재학, 무교
    -엄마가 우울하고 무기력한 모습을 보며 자라 애 어른 처럼 엄마 눈치를 많이 보는 편임.

    출처 : 해피캠퍼스

  • [간호학과]간호윤리 – 간호사 태움 자료조사 파일

    목차

    없음

    본문내용

    < ‘태움’의 정의 >
    ⦁ ‘태움’은 ‘영혼이 재가 될 때까지 태운다’는 뜻에서 나온 말로, 선배 간호사가 신임 간호사를 가르치는 과정에서 괴롭힘 등으로 길들이는 규율 문화를 지칭하는 용어
    · 태움’은 주로 대형 병원의 간호사들 사이에서 쓰이는 용어로, 선배 간호사가 신임 간호사에게 교육을 명목으로 가하는 정신적ㆍ육체적 괴롭힘을 의미함.
    · ‘영혼이 재가 될 때까지 태운다’는 뜻에서 알 수 있듯이 명목은 교육이지만 실상은 과도한 인격 모독인 경우가 많아서 간호사 이직률의 주요 원인으로 꼽힘.
    → 환자의 생명을 다루는 간호사란 직업의 특성상 조금의 잘못도 용납이 되지 않기 때문에 간호사 간의 위계질서와 엄격한 교육은 필수적임. 하지만 이 과정에서 폭력이나 욕설, 인격 모독 등이 가해지면서 ‘태움 문화’라는 고질적 병폐를 낳음.

    “태움이 없는 병원은 없다”
    병원에 신규 채용된 간호사(프리셉티)는 선임(프리셉터)과 짝을 이뤄 일종의 실무교육을 받는다.
    생명을 다루는 직업인만큼 교육은 엄격할 수밖에 없다. 신규 간호사들은 현장에서 배워야할 것이 많다. 그러나 교육기간에도 프리셉티-프리셉터 모두에게 과중한 업무가 주어지는 극한의 환경에서 ‘교육’이 ‘폭력’으로 변질되 고는 한다.
    “환자들 앞에서 소리지르며 인격 모독은 일쑤” “서로 말을 안 해서 그렇지 손찌검하는 경우도 있다“
    “다른 선배들에게 내 욕을 하고, 근무가 끝났는데 집에 보내주지 않아 눈치만 보고 있었다“
    태움이 왕따로 번지는 경우도 있다. 프리셉터와 교육이 끝나고 ‘독립’을 했는데도 태움이 이어지면 아직 업무가 서툴러도 아무도 도와주지 않고, 신규 간호사는 벼랑 끝에 서게 된다. 악습의 고리를 끊지 못하는 간호사 사회에 문제가 있지만, 살인적인 근무환경 또한 태움의 원인으로 지목된다.
    → 간호사 한 명당 돌봐야 할 환자가 많고, 한 사람의 실수는 주변 간호사들의 업무 가중으로 돌아온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간호학과]간호윤리 – 간호사 태움 레포트(윤리적 물음과 관련된 이론적 고찰을 통한 자기성찰 쓰기)

    목차

    1. 태움의 정의
    2. 태움의 사례
    3. 태움의 원인
    4. 사례와 관련된 윤리적 물음
    5. 윤리적 물음과 관련된 이론적 고찰
    6. 자기성찰 정리
    7. 참고문헌

    본문내용

    1. 태움이란?
    최근 BIG 5(이)라 불리는 상급종합병원에서 환자들이 치료를 잘 받을 수 있도록 돌보는 역할을 하는 간호사들이 스스로 생을 마감하는 사건이 지속해서 발생했다. 사람들은 그 원인에 ‘태움 문화’를 꼽았다. 태움이란 ‘영혼이 재가 될 때까지 태운다’는 뜻이 담긴 일종의 은어로, 선배 간호사가 신임 간호사를 가르치는 과정에서 괴롭힘이나 따돌림 등으로 길들이는 규율 문화를 뜻한다. 명목은 교육이지만 실상은 과도한 인격 모독의 경우가 많아서 간호사 이직률의 주요 원인이다. 간호사란 직업의 특성상 환자의 생명을 다루는 직업이기 때문에 조금이 잘못도 용남이 안되어 간호사 간의 위계질서와 엄격한 교육이 필수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교육에 폭력, 욕설, 인격모독 등이 가해지면서 현재의 ‘태움 문화’가 나타났다.

    2. 태움 사례
    [사례1] 서울 의료원 ‘ㅇㅇㅇ’ 간호사 사건
    2019년으로 바뀐 지 얼마 되지 않은 지난 1월 5일, 서울의료원에서 근무했던 간호사가 자택에서 약물 과다 투여로 숨진 채 발견됐다. 경찰수사와 의료연대 측은 타살의 흔적이 일체 발견되지 않았으며 자살의 원인으로 ‘태움’ 의혹을 제기 하고 있다. 극단적 선택을 한 간호사의 유족들은 평소 그가 직장에서의 괴로움을 호소했다고 알렸다. ‘오늘 밥 한 끼도 못 먹었다’, ‘오늘 물 한 모금도 못 먹었다’, ‘커피 타다가 커피가 넘쳐서 혼났다’ 등 살아생전 가족들에게 보낸 메시지에서 괴로움을 고스란히 느낄 수 있었다. 슬리퍼 끌리는 소리조차 눈치가 보여 새 것으로 갈아 신을 정도였다.

    출처 : 해피캠퍼스

  • 10억짜리 독서법 3파트

    목차

    없음

    본문내용

    3파트는 -탁월한 독서가들의 10가지 독서 습관-이다. 탁월하다는 남보다 두드러지게 뛰어나다는 뜻이다. 독서 분야에서 탁월하게 두각을 드러낸 저자는 그렇게 하기까지 무려 7년의 독서 과정을 겪었다고 한다. 그는 -가장 많은 시간을 들인 것이 독서법에 대한 탐구-였다고 했다. 그가 바라본 탁월한 독서가는 -어떤 지침이나 매뉴얼이 아니라 책을 대하는 태도, 삶에서 꾸준히 실행하는 독서 습관, 독서에 가지고 있는 철학이 남달랐다는 것을 발견했다-고 한다. 탁월한 독서가의 10가지 독서 습관을 나열하지 않고 느낌대로 썼다. 줄거리다. 습관은 반복된 행동으로 일관된 정신 태도가 있어야 한다. 일관된 정신은 반복적이고 행동을 주동하는 원동력이 된다. 습관적으로 책을 읽으려면 먼저 책을 잘 골라야 한다. 고를 때 우리 영을 성장시켜줄 책보다 나를 즐겁게 해 주는 책이 낫다.

    출처 : 해피캠퍼스

  • [간호학과] 인간심리 – 호손실험 보고서

    목차

    없음

    본문내용

    호손 윅스는 1905년에 웨스턴일렉트릭사에서 지은 대규모 공장이다. 호손윅스는 물리적 환경이 작업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생산성을 측정하고 근로자들을 실험 집단(실험연구에서 실험처치를 받는 집단)과 통제집단(실험처치를 받지 않고 비교대상이 되는 집단)으로 나누었다. 이는 다양한 조건(급여, 조명, 습도, 휴식 등)들을 조작하여 노동자의 생산성을 연구하기위한 것이다. 그중에서 가장 유명한 조명실험에 대해서 알아보면 연구자들은 실험 집단의 근무 장소에 신중하게 조명의 밝기를 높였다. 그러자 두 집단의 생산성이 모두 증가하였다. 놀랍게도 각각의 변화는 궁극적으로는 원래 조건대로 돌아온 것을 포함하여 생산성의 향상을 가져왔다.
    이 실험에 흥미를 느낀 연구진은 여러 환경을 바꾸어 보았다. 그중 계전기실험이 있다. 여직원 두 명을 선발 한 후 각각 좋아하는 동료 두 명을 골라 팀을 이루게 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만 4세 1학기 (3-9월) 유아관찰기록 17명 / 2023 4월 평가인증통과 / 총평(영유아발달평가)포함

    목차

    없음

    본문내용

    이름
    △△
    성별

    생년월일

    구분
    놀이 / 일상
    관찰내용
    3월
    놀이
    [3/15]
    △△이가 미술영역에 있는 물감을 들여다보고 있다. ★★이가 다가가서 ʻʻ△△아 뭐해?ʼʼ하자 △△이는 ʻʻ이 물감 우리 집에도 있는 건데, 물 위에다가 그리는 물감이야.ʼʼ라고 말한다. ★★이가가 ʻʻ이 물감 해봤어? 해보고 싶다.ʼʼ라고 말하자 △△이는 ʻʻ우리 선생님한테 물어보자.ʼʼ라고 말하며 교사에게 온다. ʻʻ선생님, 우리 이거 써도 돼요?ʼʼ라고 묻고 교사가 ʻʻ당연하지.ʼʼ라고 한다.
    4월
    일상
    [4/4]
    △△이가 교사에게 다가와 이야기한다. “선생님 저 어제 말랑이 샀어요”. 교사가 △△이에게 “좋았겠구나, 어떤 말랑이 샀니?” 하고 묻는다. △△이는 웃으며 “거기 문구점에 있는 말랑이 중에 작은 걸로 샀어요. 근데 삼촌이 터뜨렸어요.”하며 웃는다.
    5월
    놀이
    [5/17]
    △△이가 목공놀이 바구니에서 놀이용 드라이버를 꺼내 바닥에 앉는다. 바닥에 앉아서 나사를 놀잇감 구멍에 끼우고 드라이버를 나사 위에 맞춘다. 드라이버를 돌린다. 어깨와 몸이 함께 움직이며 드라이버가 조금씩 돌아간다. 나사가 기울어지며 놀잇감 구멍 밖으로 빠져나온다. △△이는 다시 나사를 들어 구멍에 끼우고 드라이버를 든다.
    6월
    일상
    [6/23]
    △△이가 마우스를 움직여 화면의 버튼을 클릭한다. 화면이 움직이며 동영상이 나오자 마우스에서 손을 떼고 의자에 앉은 자세로 동영상을 본다. “여기 가면 잔디밭이 있데요.” △△이가 동영상을 보다가 옆에 앉아있는 교사에게 말한다. “그런가 봐요. 넓은 잔디밭이 있나 봐요.”
    7월
    놀이

    출처 : 해피캠퍼스

  • 간호관리 질 향상 프로젝트(투약 오류 감소 프로젝트)

    목차

    Ⅰ. 서론
    1. 프로젝트명
    2. 주제선정 배경
    3. 현황파악
    4. 문헌고찰

    Ⅱ. 본론
    1. 원인분석
    2. 활동 목표와 내용

    Ⅲ. 결론
    1. 기대되는 결과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1. 프로젝트명
    “한 번보고 두 번보고 자꾸만 보고 싶네“ (투약 오류 감소 프로젝트)

    2. 주제 선정 배경
    환자안전은 의료기관의 핵심 가치이며 의료 전달 과정에서 우연한 또는 예방 가능한 손상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다. 낙상, 투약, 감염 등과 같은 위해 사건은 환자 안전의 중요한 지표이며, 이중 투약 오류는 가장 많이 발생하고 모니터링이 용이하여 예방이 가장 효과적이다.
    병원에서 환자의 안정을 보장하기 위해서 시행하는 다양한 점검과 확인 절차 중에서 환자를 정확하게 확인하는 것은 가장 기본적인 업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병원에서 의료서비스 제공자가 채혈, 투약, 수혈 등 모든 치료과정에서 환자 확인 팔찌를 환인하고, 환자의 이름을 부르고, 환자확인 팔찌의 정보와 검사 자료 등을 대조하도록 하는 표준화된 환자확인 절차가 필요하다.
    우리나라 간호사들은 평균 1.98회 투약오류를 경험하였으며, 투약오류 중 간호사의 오류가 38%를 차지하고 그 원인의 대부분은 의료인과 환자 사이의 의사소통 문제라고 보고되었다. 간호사와 환자 간의 관련한 대화는 인사 – 환자 확인 – 투약 – 종료 순서로 진행되는데 간호사가 환자를 잘 알고 있는 경우 환자의 이름을 부르는 등 명시적인 환자확인 행동을 생략하는 경우가 자주 있다고 보고되었다. 부정확한 환자 확인은 투약 오류 외에도 다른 검사 실시, 다른 부위 수술 등 다양한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며 최근 여러 명의 의료진이 팀을 이루어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팀 간호 서비스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더욱 심각한 문제로 여겨지고 있다, 따라서 정확한 환자 확인 절차를 구체화하여 병원 진료업무의 기본이자 환자를 보호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안전장치를 만들고, 투약 오류로 인한 의료사고를 예방할 필요가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 폐암 성인간호학케이스 간호진단 3개 간호과정 1개

    목차

    Ⅰ. 서론
    1. 건강문제와 관련된 자료수집
    2. 대상자의 건강양상 사정
    3. 대상자의 신체검진
    4. 진단적 검사
    5. 치료적 검사

    Ⅱ. 본론
    1. 간호과정 적용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

    1) 현병력(Present illness): 입원해서 현재 사정 일까지의 병력
    ① 발병 시부터 병원에 오기까지의 상황
    – 2020.10.19.~2020.11.24. lung squamous cell carcinoma Dx. Def RT (at. PMC)
    – 2021.08. recur 되어 laser cauterization (at. SMC)
    – 2023.03 2nd recur 되어 bronchial stent (at. SMC)
    – 2023.04.24. W/U후, 항암화학요법을 위해 입원함.

    ② 병원 도착 시 대상자의 상태 및 병실 입실 전까지의 경과
    – 담당간호사를 소개하고 병실 안내함.
    – 입원생활에 대해 설명함.
    – 지침약 복용 안내문을 이용하여 지침약을 복용하지 말고 집으로 가져가도록 교육함.
    – 지속적인 기침을 호소하여 따뜻한 물을 마시도록 격려함.
    – dyspnea 및 불편감 호소함.
    – 왼쪽 갈비뼈에 통증을 호소함.

    ③ 병실 입실부터 현재까지의 경과
    – C-CT, AD-CT, BR-MRI 등 검사 실시함.
    – 항암화학치료 실시함.
    – O2 3L/min via nasal prong 적용중이며 SPO2 92% checked
    – 호흡곤란 호소함, dyspnea 호소함.

    ④ 현시점에서의 주 호소(Chief Complaint, C.C.)
    – 전일(05.04)부터 L-tube 제거 후 식이 진행중으로 물 마실 시 사례 들리는 양상은 없으나 이후 grunting 관찰됨.
    – 왼쪽 갈비뼈에 통증을 호소함.

    <중략>

    ⑦ 영상 검사(Imaging Studies)
    – CT 복부 및 골반강
    – 검사일: 2023.04.24
    – 결과일: 2023.04.27
    [FINDING]
    – 복강 내 metastasis(전이)를 시사하는 소견 발견되지 않음.
    – GB 내에 9mm 크기의 stone이 있음.

    출처 : 해피캠퍼스

  • 단편 sf 소설 달탐사

    목차

    없음

    본문내용

    Title: “Taegeuk Expedition: Journey to the Tranquil Seas of the Moon”

    In the not-so-distant future, South Korea emerges as a pioneer in space exploration, launching three manned spacecraft named Taegeukho to the moon, marking Asia’s first lunar mission. The trio of intrepid astronauts embarks on a mission to explore the untouched lunar landscapes and uncover the mysteries hidden within the moon’s serene seas.

    출처 : 해피캠퍼스

  • 한국의 가족관련 법, 가족의 소득지원정책, 건강지원정책에 대해 기술하고 가족관련 제도의 개선책에 대해 논하시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한국의 가족관련 법
    2. 가족의 소득지원정책
    3. 한국의 건강지원정책
    4. 가족관련 제도의 개선책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한국 가족정책은 통합적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탈가족화로부터 출발한 가족정책은 돌봄, 노동을 내용으로 한다. 즉 돌봄, 노동의 탈가족화는 아동보육을 통해 현실화 된다. 그러나 개인 돌봄 책임의 탈가족화는 개인의 상품화의 충분조건이라고 할 수는 없다.

    <중 략>

    Ⅱ 본론
    1. 한국의 가족관련 법
    한국의 가족관련 법 중 일반법으로 치면 민법을 들 수 있다. 그 외 가족법을 보충하는 특별법들이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가족제도와 관련된 법이다.
    첫째, 건강가정기본법이다. 건강가정기본법은 가족해체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목적에서 제정된 것으로 이혼, 아동의 양육, 가족의 부양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다. 이 법은 가족실태조사에 대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 있으며 이러한 조사를 바탕으로 가족단위의 복지를 증진하기 위한 각종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제22조에서는 자녀양육지원을 강화할 것을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에 요구하고 있으며 제25조에서는 가족간의 부양에 대한 부담을 완화하기 위한 정책을 실시할 것도 요구하고 있다. 또한 제31조에서는 이혼을 예방하기 위한 조치와 함께 이혼 후 문제되는 자녀의 양육비에 대한 집행력을 강화하도록 하고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