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

  • 간호 전문직 단체 보고서

    목차

    없음

    본문내용

    대한 간호 협회 [ Korean Nurses Association, 大韓看護協會 ]

    1. 선정 배경
    고등학교 시절 소록도에서 한센병 환자들을 간호한 마리안느와 마가렛에 대해 조사할 당시, 대한간호협회에서 그들을 위해 노벨평화상을 추진 운동을 진행했다는 뉴스를 접했다. 이 뉴스를 접하기 전, 대한간호협회에서는 한국 간호사 관련 직무만 수행하는 줄 알았었기 때문에 이번 간호학개론 과제를 통해 대한간호협회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예비간호사이자 간호 학생으로서 간호사를 대표하는 단체에 대한 지식은 필수라 생각기에 대한간호협회를 조사하고자 한다.

    2. 설립 목적
    ’간호사인 회원의 자질향상을 도모하고 직업윤리를 준수하며 회원의 권익 옹호와 국민건강 및 사회복지 증진과 국제 교류를 통한 국가 간호 사업 발전에 이바지함‘

    3. 대한간호협회의 목표
    ⅰ. 조직체계 확립 및 대회원 서비스 전문화
    ⅱ. 선진 간호 실현을 위한 정책 및 국제활동 강화
    ⅲ. 전략적 홍보활동 강화
    ⅳ. 간호 인력 역량 강화를 통한 인력수급 개선
    ⅴ. 정보체계 차세대화
    ⅵ. 연수 교육 체계 개편 및 정립

    4. 최근 활동과 설립 목적과의 연관성
    1) COVID-19 관련 활동
    ⅰ. COVID-19 대응 간호사를 위한 안내서 배포

    출처 : 해피캠퍼스

  • 간호학과 '의학용어' – 자기주도학습과제

    목차

    1. 오늘의 학습노트
    2. 학습내용
    3. 오늘 학습한 용어 중 익히기 어려운 용어는?

    본문내용

    1주차 : 간호과학의 기본개념
    학습목표
    1. 간호의 기본개념을 인지할 수 있다.
    2. 간호의 메타패러다임을 인지할 수 있다.
    3. 간호사의 역할에 대해 인지할 수 있다.
    4. 전문직으로서 간호의 특성을 인지할 수 있다.
    5. 인간의 기본요구 개념과 단계를 인지할 수 있다.

    자기조절 학습 내용 작성
    ● 간호
    ‘nursing’은 영양을 주다, 키우다, 자라게 하다, 돌보다 등을 의미하는 희랍어 nutre에서 파생.

    ● 나이팅게일(1860) : “자연적인 치유 과정이 진행될 수 있도록 환자를 돕는 것”

    간호에 대한 ‘이론적 정의’를 발전
    간호는 돌봄, 예술, 과학, 대상자 중심, 총체적, 적응적, 도움을 주는 전문직이며, 건강증진, 건강유지, 건강회복과 관련이 있다.

    간호를 구성하고 있는 개념들이 모여 간호의 관점인 패러다임(paradigm)이 형성
    메타패러다임 -> 어떤 학문 분야에서 공통적으로 합의된 개념 틀, 메타패러다임을 기초로 간호모형과 이론이 만들어짐 인간, 환경, 건강, 간호
    1) 인간
    생물학적, 심리사회적, 영적으로 상호 연관된 통합된 총체로서 유기체의 모든 특성을 가지고 있다고 봄
    인련의 개방체계로서 환경과 상호작용
    2) 환경 : 인간을 둘러싸고 있으며 인간에게 자극을 주는 내적, 외적 자극을 모두 포함
    3) 건강 : 신체적, 정신적, 심리적, 사회적 측면을 포함하는 현상으로 인간이 일생을 통하여 다양하게 경험하는 역동적 현상으로 내, 외적 환경과 상호작용함
    4) 간호 : 인간은 자신이 처해있는 환경 속에서 최적의 건강을 유지하고 증진시키기 위해 간호가 필요

    [간호의 역할]
    ▷ 돌봄 제공자 – 간호대상자의 존엄성을 유지하면서 대상자를 신체적, 심리적으로 돕는 것
    ▷ 교육자 – 대상자가 건강을 유지, 회복하기 위해 수행하는 건강관리방법을 익히도록 도와 주는 것
    ▷ 옹호자 – 대상자를 보호하려고 행동하는 역할/인간 및 법적권리를 보호

    출처 : 해피캠퍼스

  • 만1세 1년 관찰일지 / 영유아 발달평가

    목차

    없음

    본문내용

    OOO반 OOO 관찰일지

    3월/일상생활/관찰내용
    : OO에게 화장실 변기에 가서 “쉬해보자” 했더니 엉덩이를 뒤로 빼면서 고개를 좌우로 흔들더니 밖으로 나가버린다. 변기에 대한 친근함이 아직 없어서 변기에 서서 소변을 보는 것에 대한 거부감이 있어서 친구들 화장실 갈 때 함께가서 옆에서 탐색할 수 있도록 했다.

    4월/놀이활동/관찰내용
    : 공동 놀이실에서 공을 교실로 가지고 들어와서 공던지기 놀이를 한다. 처음에는 공을 굴리기를 하다가 던지기를 하고 싶은지 교사를 쳐다본다. “OO야 공을 던져도 돼.”라고 말하자 “던져?”라고 다시 되묻는다. “응 던져도 되는데 친구에게 던지면 친구가 맞을 수 있으니까 친구가 없는곳으로 던지며 놀아도 돼.”라고 말한다. OO가 “응.”이라고 말하며 친구들이 없는 곳으로 공을 던지며 놀이한다.

    5월/놀이활동/관찰내용
    : 판화의 모양을 자신이 직접 골라 물감을 붓으로 바른다. 달팽이 달팽이 하며 파란색으로 색칠을 하고는 교사에게 자랑을 한다. 손으로 꾹꾹 누르고 모양이 나오자 OO가 아~ 하고 소리를 지른다.

    6월/일상생활/관찰내용
    : OO가 식판에 담겨있는 음식을 쳐다보더니 숟가락을 들고 밥을 국에 섞는다. 교사가 “밥과 반찬을 먹으면서 국물도 함께 먹어볼까요?”하자 OO가 고개를 끄덕인다. 교사가 취나물무침을 가리키며 “어떤 맛일까요?” 하자 고개를 옆으로 흔든다. 숟가락으로 밥을 국물에 말아서 먹는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자료, 케이스 만점짜리입니다!) 여성간호학_분만실_induction labor 자연분만 케이스_간호진단5개, 간호과정2개

    목차

    1. 서론
    1) 사례연구 필요성

    2. 본론
    1) 문헌고찰
    2) 자료수집
    3) 간호과정

    3. 결론
    1) 소감 및 느낀점

    4. 참고문헌

    본문내용

    I. 서 론
    1. 사례연구의 필요성
    실습기간동안 산모에 따라 각자 분만에 대해 느끼는 두려움과 불암, 공포 등을 다양하게 호소하는 상황을 볼 수 있었으며 자연분만 산모에게 간호학생으로서 정서적 간호를 수행할 수 있었다.
    간호사는 자연분만 전 분만과 관련된 호흡법, 기간, 방법 등을 설명해주고 산모의 불안을 완화시키는 등 대상자를 도우며 분만의 전 과정에 참여하므로 이에 대한 지식을 쌓는 것이 중요하다.
    이번 문헌고찰과 간호과정을 통해 자연분만의 간호와 지식, 필요한 교육을 학습할 수 있을 것이다.

    II. 본 론
    1. 문헌고찰
    유도분만 (Induction of labor)
    1. 정의 : 자연적인 자궁수축이 있기 전에 인위적으로 자궁수축을 유도하여 분만시키는 것
    2. 적응증
    – 태아의 위험이 의심될 때
    – 24시간 이상 치료하여도 효과가 없는 작나전증 및 자간증
    – 임신성 고혈압, 당뇨병, Rh부적합증 등의 모체 질환
    – 자궁수축 미약으로 활동기에 분만 지연이 있을 때
    – 파막 후 24시간이 지나도 분만이 시작되지 않을 때
    – 과거에 급속분만의 경험이 있고 병원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사는 다산부
    – 42~43주의 과숙임신
    3. 금기중
    – 아두골반 불균형 또는 산도기형
    – 태아 질식
    – 과거 제왕절개술 또는 자궁수술 경험
    – 다산부(4회 이상의 분만 경험)
    – 전치태반
    – 질의 헤르페스 감염
    – 질출혈
    – 비정상적 태아선진부
    4. 방법
    1) 옥시토신을 이용한 유도분만 : 자궁수축제인 옥시토신을 이용하는 방법 이용
    과도 투여시 자궁과자극으로 인한 태반기능부전으로 태아 산소결핍증, 뇌외상/ 강직성 수축으로 인한 태반조기박리, 자궁파열, 경관열상, 산후출혈 일어 날 수 있음
    ① 선행 조건 :태아는 종위, 선진부는 두위이고, 경부거상이 시작되고, 태아는 생존력이 있고, 아두 골반 불균형이 아니어야 함

    출처 : 해피캠퍼스

  • 금오공대 신소재 일반물리학실험2 커패시터 보고서

    목차

    1. 실험 목적
    2. 관련 이론
    3. 실험 기구
    4. 실험 방법
    5. 결론 및 고찰

    본문내용

    실험방법
    1. 그림 29.1과 같이 커패시터 충방전 실험장치와 S-CA 시스템을 준비한다.
    2. 극성에 맞게 콘덴서 양단이ㅡ 전압단자를 S-CA 서버의 입력단자 CH A에 연결한다.
    3. i-CA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인터페이스 분석 – 데이터로그 보기를 선택한다.
    4. 전원공급을 위해 전원스위치를 켜고, 데이터로그 보기 화면에서 시작을 클릭한다. 실험장치의 스위치를 충전에 위치시키고 입력되는 신호를 확인한다. 이때 Channel B의 체크표시를 없앤다.
    5. 그림 29.3과 같이 MAX-MIN의 값을 조정하여 충방전 과정이 한 화면에 잘 관측될 수 있도록 조정한다. 매****장 그리고 및 ***Sample/s의 값을 충방전 곡선의 관측이 용이하도록 다음과 같이 맞춘다.
    – 전압조정 ; Max : 6000 mV, Min : -1000mV
    – 샘플링 비율 ; 100 sample/s
    – 한 화면에 찍을 데이터 수 ; 매 1000장 그리기
    6. 설정을 마친 후 데이터로그 보기의 화면에서 초기화 버튼을 클릭하여 측정을 초기화 하고, 실험장치의 스위치를 방전에 위치시켜 커패시터에 쌓인 전하가 완전히 방전되도록 잠시 기다린다.
    7. 데이터로그 보기 화면에서 시작버튼을 클릭하고 실험장치의 충방전 스위치를 충전에 위치한다. 충전곡선이 더 이상 증가하지 않게 되면 다시 충방전 스위치를 방전에 위치한다.
    8. 방전이 완료되면 데이터로그 보기 화면의 정지 버튼을 클릭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아주대 물리학실험2 실험21 RLC회로 A+ 결과보고서

    목차

    1. 측정값
    2. 토의
    3.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질문에 대한 토의
    질문 1. 실험 2와 3에서 각각 측정한 와 은 같다고 할 수 있는가? 다르다면 어떤 값을 더 신뢰하겠는가?
    실험 2에서 측정된 의 값은 2.987V이고 실험 3에서 측정된 의 값은 2.986V이다. 이 두 값은 약 0.001V크기만큼 차이가 났고 거의 비슷한 값임을 알 수 있다. 이론적으로 두 전압은 신호발생기의 출력전압이기 때문에 같은 값으로 측정되어야 하는 것이 맞다. 하지만 약간의 오차가 발생했고 이는 회로를 구성하는 전선들 사이에 전자기기가 있어 실험에 영향을 주었거나, 계기오차, 우연오차 등으로 오차가 발생했을 것으로 생각했다. 두 값 중 더 신뢰할 수 있는 값은 실험 3의 전압 측정값인 인 것 같다. 두 전압값 모두 공진 주파수일 때, 측정한 전압의 최댓값이기는 하지만, 실험 3은 그래프를 통해 전압의 그래프 형태를 확인할 수 있기에 더 정밀한 전압의 최댓값을 구할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질문 2. 전류 대 주파수의 그래프는 공진주파수에 대해 대칭인가 아닌가. 그 이유를 생각해보자.
    주파수가 공진 주파수일 때, 전류는 저항 값이 최소가 되기 때문에 최대값을 가지게 된다. 실험 1에서의 공진주파수는 180Hz임을 확인했고, 실험 1 전류 대 주파수의 그래프에서 주파수가 공진주파수보다 작을 때,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전류는 증가하고, 주파수가 공진주파수를 넘었을 때는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전류가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전류 대 주파수의 그래프는 전류가 공진주파수를 기준으로 증가하다 감소하므로 공진주파수에 대해 대칭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주파수에 대한 전류의 기울기까지 완전히 대칭이라고 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아주대 물리학실험2 실험20 정류회로 A+ 결과보고서

    목차

    1. 측정값
    2. 계산 및 결과
    3. 토의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질문 4. 반파정류회로와 비교할 때 그림 20.7의 회로에서 다이오드 D2의 역할은 무엇인가?
    실험 1에서 A1-A2의 출력전압 와 A2-A3의 출력전압 을 측정했던 것을 보면 A1-A2의 경우 전압의 양, 음이 입력전압과 같은 부호를 띠지만, A2-A3의 경우 부호가 반대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실험 1에서의 두 그래프에서도 확인해볼 수 있다. 그러므로 입력전압이 양일 때 A1-A2에 양의 방향으로 전압이 걸리고 입력전압이 걸리는 반면 A2-A3에는 음의 방향으로 전압이 걸리게 될 것이다. 다이오드는 양의 전압이 걸릴 때에만 전류를 흘려주는 정류작용을 하게 된다. 그렇기에 A1-A2와 A2-A3의 경우 번갈아가면서 전류를 저항으로 보내주게 되는 것이다. 다이오드 D2는 A2-A3구간에서 전압을 걸러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렇게 정류되어진 전압의 그래프는 실험 3의 전파정류회로의 그래프와 같이 나오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변압기와 다이오드 두 개를 사용하면 각각의 다이오드가 양의 전압값과 음의 전압값을 받아들이면서 한 주기 내내 전류가 흐를 수 있게 할 수 있고 그림 20.7 회로에서의 다이오드 D2는 이 중 음의 전압값을 받아들이는 역할을 수행한다.

    질문 5. 주파수를 상승시킬 때 출력전압의 평균값은 어떻게 변화하는가?
    출력전압의 평균값은 실험 4에서 구한 최댓값과 최소값의 평균으로 구하였다. 위에서 구한 출력전압의 평균값은 60Hz일 때는 1.118V, 120Hz일 때는 1.273V, 300Hz일 때는 1.484V로 계산되었다. 평균값들을 보면 주파수가 상승함에 따라 출력전압의 평균값 또한 증가하는 경향을 볼 수 있다. 이는 필터회로로 들어가는 전압의 주기가 점점 빈번해지면서 강하되는 시간 자체가 매우 작아지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이다. 이런 현상은 실험 4의 그래프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아주대 물리학실험2 실험19 전자기유도와 Lenz의 법칙 A+ 결과보고서

    목차

    1. 측정값
    2. 계산 및 결과
    3. 토의
    4. 참고문헌

    본문내용

    [3] 토의
    1. 질문에 대한 토의
    질문 1. 실험 1에서 는 주파수가 60Hz, 120Hz일 때 어떻게 서로 다른가? 그 이유는 무엇인가?
    실험 1 60Hz에서 는 1.534A, 120Hz에서는 1.102A로 60Hz에서의 최대 전류값이 120Hz에서의 최대 전류값보다 0.432A만큼 크게 측정됨을 확인할 수 있다. 코일 1의 전류는 교류이므로 라고 할 수 있다. 이 의 값은 –1과 1 사이의 값을 가져 전류의 최대 값은 주파수와 상관없이 항상 같아야 한다. 또한 는 주파수가 아닌 저항과 전압의 값에 따라 변하므로 이론적으로 같은 값을 가져야 한다. 다른 측면으로 바라본다면 전류가 흐르는 코일1의 영향을 받아 코일 2에 기전력이 유도된다. 코일2에 유도되는 기전력은 이다. 그리고 코일1의 흐르는 전류는 교류전류이며, 시간에 따라 로 변화한다.
    이기에, 라고 할 수 있으며 이식을 로 정리할 수 있다. 실험에서 도출한 값을 보면 60Hz일 때의 최대전압 0.645V, 120Hz일 때의 최대전압은 0.996으로 120Hz일 때는 60Hz일 때의 최대전압이 약 1.54배 큰 것을 확인했다. 이는 주파수를 2배 증가시켰더니 전압이 약 1.54배 증가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두 의 값은 0.432A만큼의 차이가 발생했지만, 이는 실험에서 발생한 미세한 오차가 발생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이론적으로는 두 값이 같아야 함을 알 수 있다. 오차의 원인으로 실험 중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전자기기들이 실험기구 옆에 있어 자기장의 영향을 받았거나 전선이 잘 연결되지 않은 점 등 여러 오차로 인해 의 두 값이 달랐던 것이다.

    질문 2. 실험 1의 결과에서 와는 실험 오차 내에서 서로 같다고 할 수 있는가? 이로부터 어떤 결론을 내릴 수 있는가?
    이론값과 실험값의 상대오차를 각각 구해보면

    임을 확인할 수 있다. 60Hz일 때는 약간의 오차가 발생했다고 할 수 있지만 120Hz일 때의 오차율은 거의 오차가 없다고 할 수 있을 정도로 작은 오차율이 계산됐다. 이렇게 둘 다 약간의 오차가 있지만 과 는 실험 오차 내에서 서로 같다고 할 수 있다. Faraday의 법칙을 사용해 유도한 상호인덕턴스의 값인 와 상호인덕턴스의 정의에 의한 값인 이 서로 같고, 실험 1을통해 Faraday의 법칙이 성립한다는 결론과 Faraday의 법칙으로부터 상호인덕턴스를 유도하는 식이 옳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금오공대 신소재 일반물리학실험2 일물실2 옴의법칙 보고서

    목차

    1. 실험 목적
    2. 관련 이론
    3. 실험 기구
    4. 실험 방법
    5. 결론 및 고찰

    본문내용

    1) 실험 목적
    옴의 법칙을 공부하고 응용한다. 특히
    ○ 저항 양단의 전위차의 변화에 따른 전류의 변화
    ○ 전압이 일정할 때 저항의 변화에 따른 전류의 변화
    ○ 전류가 일정할 때 저항의 변화에 따른 전압의 변화
    등을 관찰한다.

    2) 관련 이론
    도체에 전압이 가해지면 이 도체에 흐르는 전류는 가해진 전압에 비례한다.

    3) 실험기구
    ◉ 옴의 법칙 실험장치
    ◉ 전압계(0-30V), 전류계(0-5A), 저항계
    ◉ 가변직류전원장치, 연결도선

    4) 실험 방법
    4.1 저항이 일정할 때 전압에 따른 전류의 변화
    그림26.2와 같이회로를 연결하기 위해 그림 26.1(좌)와 같은 기판을 다음과 같은 순서로 상용한다.

    1. 우선 P와 Q를 개방한 상태 – 아무것도 연결하지 않으면 개방된 상태가 됨 -로 스위치 1과 2를 모두 “ON” 시킨다. 이때 가변직류전원장치의 전압조절단추를 돌리면 회로에 공급되는 전원전압이 변한다.

    2. 기판에 붙어 있는 저항 R은 가변저항이며 임의로 돌릴 경우 저항값이 변한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와 같이 저항값을 고정시키는 조건이라면 실험 도중에 가변저항을 돌려서는 안된다.

    3. 전류계와 전압계는 기판에 표시된 부분에 양극과 음극이 바뀌지 않도록 잘 연결해준다. 만약 바뀌었다면 바늘이 반대방향으로 움직일 것이나 이는 계측기 고장의 원인이 되므로 주의한다.

    4. 가변직류전원장치의 전압조절단추를 이용하여 고정저항 양단의 전압 V의 변화에 따른 전류 I의 변화를 전압계와 전류계로 관찰하고 그 결과를 모눈종이에 그린다. 옴의 법칙에 따르면 이 그래프의 기울기의 역수가 저항 R의 저항값이 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저출산 문제와 해결방안(A+학점, 발표 우수 사례)

    목차

    1. 저출산의 정의.
    2. 저출산의 원인과 영향 요인.
    3. 저출산의 문제점.
    4. 우리나라의 실태 및 현황.
    5. 우리나라 저출산 정책사례.
    6. 선진국의 저출산 문제 해결사례.
    7. 저출산 문제의 해결방안.
    8. 글을 마치며.

    본문내용

    1.저출산의 정의
    인구학 분야에서 ‘저출산율’이라는 용어는 특정 기간 동안 특정 인구의 천명당 평균 출생아 수를 나타내는 통계적 척도를 의미합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특정 기간(보통 1년) 동안 특정 인구통계학적 또는 지리적 영역 내의 개인 1,000명당 출생아 수로 표현됩니다.
    저출산율은 특정 인구에서 관찰된 출생률을 확립된 벤치마크 또는 역사적 비율과 비교하는 상대적인 용어로 간주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낮은 출생률은 인구통계학적 변화, 노동력 역학, 경제적 고려 사항을 포함하여 사회에 다양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는 인구 추세를 이해하는 주요 지표이며 경제 상황, 사회적 규범, 의료 접근성, 개인의 생활 방식 선택과 같은 요인의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저출산 : 출산율이 2.1명 미만일 경우 / 초저출산 : 출산율이 1.3명 미만일 경우

    2.저출산의 원인과 영향 요인
    가)경제 역학 :
    경제적 요인과 출산율의 얽힘은 복잡하여 단정하기 어렵지만, 전 세계적으로 저출산율을 조사하면 흥미로운 변화와 추세가 드러납니다. 선진국에서는 교육, 직업 추구, 진화하는 사회 규범과 같은 요인의 영향을 받아 출산율 감소 문제로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습니다. 반대로, 개발도상국에서는 경제적 어려움, 의료 접근성, 문화적 영향으로 인해 출산율 변동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나)사회적 변화 :
    사회 규범의 진화는 가족 구조를 형성하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합니다. 성 역할에 대한 인식의 변화, 개인의 추구에 대한 관심 증가, 부모 역할에 대한 태도의 변화 등이 종합적으로 출산율 흐름에 영향을 미칩니다.

    다)의료 접근성 :
    양질의 의료 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은 출산율을 결정하는 근본적인 요소입니다. 선진국에서는 포괄적인 산모 관리 및 가족 계획 자원을 제공하는 고급 의료 시스템을 자랑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반면, 특정 지역에서는 의료 접근성이 제한되어 있어 가족 계획에 방해가 될 수 있습니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