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

  • 수치해석 6장 초기치 문제, 7장 경계치 문제

    목차

    1. Prob. 01
    1) 풀이과정
    2) 결과
    3) 주요 프로그램 코딩
    4) 고찰
    5) Q & A

    2. Prob. 02
    1) 풀이과정
    2) 결과
    3) 주요 프로그램 코딩
    4) 고찰
    5) Q & A

    3. Prob. 03
    1) 풀이과정
    2) 결과
    3) 주요 프로그램 코딩
    4) 고찰
    5) Q & A

    4. Prob. 04
    1) 풀이과정
    2) 결과
    3) 주요 프로그램 코딩
    4) 고찰
    5) Q & A

    5. Prob. 05
    1) 풀이과정
    2) 결과
    3) 주요 프로그램 코딩
    4) 고찰
    5) Q & A

    6. Prob. 06
    1) 풀이과정
    2) 결과
    3) 주요 프로그램 코딩
    4) 고찰
    5) Q & A

    7. Prob. 07
    1) 풀이과정
    2) 결과
    3) 주요 프로그램 코딩
    4) 고찰
    5) Q & A

    8. Prob. 08
    1) 풀이과정
    2) 결과
    3) 주요 프로그램 코딩
    4) 고찰
    5) Q & A

    9. Prob. 09
    1) 풀이과정
    2) 결과
    3) 주요 프로그램 코딩
    4) 고찰
    5) Q & A

    10. Prob. 10
    1) 풀이과정
    2) 결과
    3) 주요 프로그램 코딩
    4) 고찰
    5) Q & A

    본문내용

    문제 (a) 4계 Runge-Kutta법

    #include
    #include

    double f(double a, double b);//주어진 식에 대한 함수 정의
    void main()
    {
    double y[200];//y값을 저장할 공간
    double k[100][100];// k값들을 저장할 공간
    y[0] = 20;//y의 초기값
    double t = 0;
    int i;
    double h = 0.5;//t의 구간간격

    for (i = 0;; i++)
    {
      k[1][1] = f(t, y[i]);
    k[1][2] = f(t + h / 2, y[i] + h / 2 * k[1][1]);
    k[1][3] = f(t + h / 2, y[i] + h / 2 * k[1][2]);
    k[1][4] = f(t + h, y[i] + h * k[1][3]);
    y[i + 1] = y[i] + h / 6 * (k[1][1] + 2 * (k[1][2] + k[1][3]) + k[1][4]); //4계 Runge-Kutta식
    if (y[i + 1] < y[0] / 10)//초기 밀도의 1/10이 되면 중지 { printf_s(" t = %lf , y1 = %lf\n", (i) / 2.0 , y[i]); break; } } } 
    출처 : 해피캠퍼스

  • 고등학교 통합사회 수업 학습지

    목차

    없음

    본문내용

    Ⅰ. 인간, 사회, 환경과 행복
    1. 인간, 사회 환경의 탐구
    01. 인간, 사회, 환경을 바라보는 관점
    ➀ 시간적 관점 : 사회 현상을 시대적 배경과 맥락에 초점을 두고 바라보는 것
    ➁ 공간적 관점 : 자연환경과 인간의 상호 작용, 지역에 대한 관심을 갖고 위치와 장소, 현상의 분포 패턴과 이동 등 공간적 맥락을 살펴보는 것
    ③ 사회적 관점 : 사회 제도 및 정책, 사회 구조와의 관련성 속에서 사회 현상을 이해하는 것
    ④ 윤리적 관점 : 인간의 욕구와 양심을 기준으로 도덕적 가치 판단을 하고, 어떤 규범을 적용할지 살펴보는 것

    02. 통합적 관점의 이해
    ➀ 변화하는 현대 사회 : 기술의 급속한 발전, 학문 분야의 세분화(전문화) 경향, 구성원 간의 상호 작용과 이해관계의 복잡성
    ➁ 현대 사회의 사회 현상은 여러 분야가 긴밀하게 얽혀 있어 특정 관점으로 접근했을 때 문제 해결이 어려움 ⇒ 통합적 관점으로 사회 문제를 탐구

    2. 삶의 목적으로서의 행복
    01. 시대와 지역에 따른 행복의 기준
    (1) 행복의 일반적 의미와 성격
    ➀ 의미 : 삶에서 충분한 만족감이나 기쁨을 느끼는 상태
    ➁ 행복의 성격
    보편성 강조
    – 의식주에 대한 기본적 욕구 충족, 신체적· 정신적 건강 등 행복한 삶을 영위하기 위한 기본 조건의 충족에서 얻어지는 행복을 강조
    – 주거, 소득, 고용, 수명 등과 같은 객관적 기준을 제시
    – 시대나 지역을 뛰어 넘는 인간의 공통된 행복 기준이 있다고 전제함

    상대성 강조
    – 시대적 상황이나 지역 여건에 따라 좋음에 대한 가치 판단이나 행복의 기
    준이 달라진다는 사실에 주목
    – 삶에 대한 만족도나 일상생활에서 느끼는 행복감 등 주관적 기준 제시

    (2) 행복에 대한 다양한 관점
    ➀ 동양에서의 행복 : 몸과 마음을 바르게 하는 수양을 통한 인간 본성 실현

    출처 : 해피캠퍼스

  • [금오공과대학교 일반화학실험1] 아스피린의 합성 실험보고서

    목차

    1. 실험제목
    2. 초록 (실험 목표, 이론 및 원리, 기구 및 시약, 실험과정)
    3. 수치 및 결과
    4. 결론
    5. 참고문헌

    본문내용

    – 실험 목표
    의약품인 아스피린의 합성을 통하여 산과 알코올의 에스터화 반응을 이해한다.

    -이론 및 원리

    ◆핵심 개념
    ▶ 에스터화 반응
    ▶ 아스피린의 합성
    ▶ 합성 후 수득률 계산

    아스피린-아세트살리실산(Acetyl salicylic acid)의 상품명

    합성 물질의 확인 (화합물의 물리적 성질 이용)
    : 물질의 고유한 성질로서 물질의 순도를 결정하거나 화합물의종류를 확인하는데 유용

    정제
    : 자연의 혼합물 또는 합성된 물질 속에 포함되어 있는 불순물을 제거하여 원하는 물질을 순수한 상태로 분리시키는 것.
    혼합물을 분리하는 방법
    ● 재결정 : 온도에 따라 용해도가 다른 점을 이용하는 방법
    ● 추출 : 용매에 따라 용해도가 다른 점을 이용
    ● 에틸에터 : 아스피린 녹음, 불순물 녹지 않음.
    ● 석유에터 : 에틸에터에 녹아있는 아스피린을 침전시킴. 아스피린 녹지 않음.
    ● 크로마토그래피 ; 용매에 따라 용질의 분배 및 흡착 특성
    ● 증류 : 물질의 끓는점 차이
    아스피린의 합성
    – 에스터화 반응(Eesterification)
    : 산과 알코올이 반응하여 ester(-COO-)를 형성하는 반응

    출처 : 해피캠퍼스

  • 고등학교 통합사회 8단원 수업자료(평화와 통일)

    목차

    1. 남북단일팀의 신화, <코리아> 다시 보기
    2. 통일을 주제로 한 각종 토론 모형과 활동지

    본문내용

    대 단 원
    평화와 통일의 길
    지도대상
    소 단 원
    남과 북이 맞잡은 손
    지도장소
    주 제
    남북 단일팀의 힘, 코리아
    지도교사
    학습목표
    1. 남북 여자탁구 단일팀의 감동적인 스토리를 통해서 남북 단합의 힘을 느낀다.
    2. 판문점 선언이 문화 체육계에 가져온 변화에 대해서 이해하고 공감한다. .
    학습자료
    영상, 유인물 등
    학습단계
    도입(5분)
    학습내용
    학습 동기 유발
    학습 목표 확인
    학습 과정 안내
    교 수 · 학 습 활 동
    교사 활동
    • 판문점 선언에 대해서 내용, 소감 등을 질문한다
    • 4.27 정상회담 전에 남과 북이 만난 사례를 아는지 질문한다.
    학생 활동
    ▹ 판문점 선언에 대해서 아는 내용을 답한다
    ▹ 남북의 만난 사례를 아는 대로 답한다 (정상회담, 이산가족만남, 체육 교류 등)
    자료 및 유의점
    판문점 선언 관련 영상 자료
    읽기자료 참고

    출처 : 해피캠퍼스

  • [금오공과대학교 일반화학실험1] 산화-환원 적정 실험보고서

    목차

    1. 실험제목
    2. 초록 (실험 목표, 이론 및 원리, 기구 및 시약, 실험과정)
    3. 수치 및 결과
    4. 결론
    5. 참고문헌

    본문내용

    – 실험 목표
    KMnO4용액과 H2O2수용액의 산화-환원 반응을 이용하여 H2O2용액의 농도를 확인한다.
    -이론 및 원리
    핵심 개념
    산화-환원 적정 : 산화제 또는 환원제의 표준용액을 써서 시료 물질을 완전히 산화, 환원시
    키는데 소모된 양을 측정하여 시료 물질을 정량하는 부피 분석법이다.
    -산화-환원 적정법에서 종말점 결정 방법
    • 지시약 사용 (요오드 지시약)
    • 전기적인 방법 (전위차 적정법)
    • 산화-환원 시약 (과망간산 적정법)
    – 적정에 의해 화합물이 산화되거나 환원되어 색이 변하는 경우에는 지시약을 따로 사
    용하지 않고 용액의 색 변화로 종말점을 알아낼 수 있다.

    일차 표준물질 (primary standard)
    – 순도가 높고 용액을 만들었을 시 무게 오차가 적어 예상한 농도와 거의 동일한 농도의 용액을 만들 수 있는 물질이다.
    – 일차 표준물질이 되기 위한 조건
    1. 정제가 용이한 물질
    2. 흡수, 풍화, 공기 산화 성질이 없고 변질이 없는 물질
    3. 정량적인 반응
    4. 당량, 중량이 커서 측정오차가 감소 가능한 물질
     과망간산법
    산성용액에서 (MnO4-)이 (Mn2+)으로 환원 되면서 다른 물질을 산화 시키는 반응을 이용한다.
    MnO4-(적자색)+8H++5e- → Mn2+(무색)+4H2O
    NV=N’V’ (nMV=n’M’V’)
    • n : 산, 염기(내어 놓는 H+, OH-수)
    산화, 환원(받거나 내놓을 수 있는 전자수, 수소수)
    • M : 몰농도
    • V : 부피

    출처 : 해피캠퍼스

  • [금오공과대학교 일반화학실험1] 산-염기 적정 실험보고서

    목차

    1. 실험제목
    2. 초록 (실험 목표, 이론 및 원리, 기구 및 시약, 실험과정)
    3. 수치 및 결과
    4. 결론
    5. 참고문헌

    본문내용

    – 실험 목표
    산-염기 적정 방법을 이용하여 식초 및 식용 소다 중의 산과 염기 농도를 확인한다.

    -이론 및 원리

    핵심 개념
    산 : 수용액에서 수소이온(H+)의 양을 증가시키는 물질
    수소이온(양성자) H+ 주개
    전자쌍 받개
    염기 : 수용액에서 수산화 이온(OH-)의 양을 증가시키는 물질
    수소이온(양성자) H+ 받개
    전자쌍 주개
    산-염기 적정 : 산 또는 염기의 표준 용액을 사용하여 농도를 모르는 염기 또는 산의 농도를
    측정하는 분석법
    당량점 : 중화반응을 포함한 모든 적정에서 적정당하는 물질과 적정하는 물질사이에 양적인
    관계를 이론적으로 계산해서 구한 점
    종말점 : 적정이 끝나는 지점을 뜻하며, 실험자가 정량할 물질에 대하여 당량점에 도달한 양
    의 적정액이 가해졌다고 판단하고 적정을 멈추는 지점을 말한다.
    표준 용액 : 적정에 사용되는 용액으로 이미 정확한 농도를 알고 있기 때문에, 다른 미지시료
    용액 속에 있는 어떤 물질의 농도를 구할 때에 표준으로 사용되는 용액
    적정의 종말점 확인
    -지시약 사용
    자체가 약한 산이나, 약 염기인 복잡한 유기 화합물
    최소량 사용
    지시약의 종류에 따라 색이 바뀌는 pH범위가 다름
    직접 적정 : 적정시약을 반응이 완결 될 때까지 분석 물질에 첨가하여 분석 물질의 농도를 확인
    역적정 : 분석물질이 염기(산)인 경우⇒ 농도를 알고 있는 강산(염시)를 과량으로 넣어준 후, 반응하고 남은 강산(염기)를 염기(산) 표준용액으로 적정하여 분석물질의 염기(산)의 농도를 알아내는 방법.

    출처 : 해피캠퍼스

  • 생명과학 탐구보고서 (고등 세특, 수행) 아스피린 합성/잎맥 책갈피 제조 실험/구강상피세포 바나나 DNA추출실험과정

    목차

    I. 아스피린 합성실험
    1. 실험원리
    2.고찰

    II. 잎맥 책갈피 제조실험
    1. 실험방법 및 결과
    2.고찰

    III. 구강상피세포&바나나 DNA추출실험
    1. 구강상피세포 DNA 추출 실험과정
    2. 바나나 DNA 추출 실험과정

    본문내용

    아스피린은 아세트산과 살리실산의 에스테르화 반응으로 합성이 일어나는 것이다. 이 반응은 산과 알코올의 화합물에 진한 황산을 넣고 가열하면 에스테르와 물이 생성되는 것이다.
    간단한 식으로 나타내면 RCOOH + ROH ⇌ RCOOR + H2O
    알케인(CnH2n+2)에서 수소원자 하나가 떨어진 원자단응 알킬기라고 하는데 여기서 R은 알칼기이다.
    알킬기는 -R(-CnH2n+1)로 표시한다. 이러한 에스테르화 반응은 축합반응(2개의 분자가 결합하여 생성하는 반응)과 역반응으로 에스테르(아세틸살리실산)과 물을 가열하여 카복실산과 알코올을 생성하는 가수분해반응 둘 다를 포함한다. 한마디로 가역반응이라는 뜻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사회복지 관점에서 바라보는 낙태 찬성과 낙태 반대 근거와 이유

    목차

    1. 낙태란?
    ① 인공유산
    ② 자연유산

    2. 낙태 찬성 입장 이유
    ① 출산을 하는 여성의 신체ㆍ정신 건강을 위한 선택권을 존중해주어야 한다.
    ② 양육을 할 수 없는 환경 : 출산 이후 사회에서 삶을 보장해주지 않는다.
    ➃ 낙태가 비정상적인 경로를 통해 일어날 수 있다.

    3. 낙태 반대 입장 이유
    ① 생명은 누군가가 선택할 수 있는 결정이 아니다.
    ② 임신과 출산이라는 책임성 필요 : 살인이라는 범죄 행위를 법적으로 용납할 수 없다.
    ③ 사회적 문제 야기 : 아이를 쉽게 포기하는 상황이 유발될 수 있다.
    ④ ‘낙태’행위의 안전성 문제 : 여성에게 부정적인 신체ㆍ정서 영향을 미친다.

    본문내용

    – 태아가 달이 차기 전에 죽어서 나온다는 뜻으로 인공 유산과 자연 유산으로 나뉜다.

    1) 인공유산
    – 태아가 생존 능력을 갖기 이전의 임신 시기에 인공적으로 임신을 종결시키는 것으로 적응증에 따라 치료적 유산과 선택적 유산으로 나눌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유산의 정의가 완전히 확립되지 않았으나, 모자보건법시행령 제 15조를 참고해보면 ‘인공임신중절은 임신한 날로부터 24주일 이내에 있는 자에 한하여 할 수 있다’라는 규정이 있다.
    → 치료적 유산
    : 다음과 같은 의학적, 법의학적 적응증에 의한 인공 유산을 치료적 유산이라고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모자 보건법에서 인공임신중절에 대한 정의 및 허용 한계를 정의하고 있다. (모자보건법시행령 제 15조를 참고)

    출처 : 해피캠퍼스

  • 간경화/케이스스터디/간호진단/간호과정/활동지속성장애

    목차

    없음

    본문내용

    간호진단: 전신쇠약과 관련된 활동지속성 장애
    활동지속성장애 : 신체활동을 수행할 때 숨가쁨이나 피로와 같은 증상이 동반됨.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1)“복수만 심한 데 이렇게 체력이 떨어질 수 있나요?”
    2)“보조기구 없으면 멀리 못 갈거 같아요.”
    3)“몸에 힘이 안들어가고, 조금만 움직여도 숨이 너무 차요.”

    객관적 자료
    1)Dx : Alcoholic Liver cirrhosis
    2)Phx : Alcoholic Liver cirrhosis(10년전 Dx), Hypertesion(7년전 Dx), Diabetes mellitus(10년전 Dx)
    3)Chief complaint : Ascites, Dyspnea, Jaundice, General weakness
    4)3일전부터 복수, 호흡곤란, 황달, 전신 허약 심해져 OPD 통해 Adm함.
    5)Abdomen pelvis CT(N) : 1.Advanced liver cirrhosis with splenomegaly.

    출처 : 해피캠퍼스

  • [금오공과대학교 일반화학실험1] 열화학 반응 실험보고서

    목차

    1. 실험제목
    2. 초록
    3. 수치 및 결과
    4. 결론
    5. 참고문헌

    본문내용

    실험 제목
    열화학 반응

    초록
    – 실험 목표
    산과 염기의 중화반응을 이용해서 엔탈피가 상태함수임을 확인한다.

    -이론 및 원리

    핵심 개념
    열화학적 개념
    반응열 : 화학반응에 수반하여 방출 또는 흡수되는 열량으로 반응물과 생성물의 에너지 차이
    생성열 : 정한 압력일 때 각 원소의 홑원소물질로부터 한 화합물 1㏖을 만들 때 흡수 또는 발생하는 열량
    엔탈피 : 일정한 압력에서 반응(변화)이 일어날 때, 반응 전후의 온도를 같게 하기 위하여 계가 흡수하거나 방출하는 열(에너지)
    엔탈피변화량 : 일정한 압력에서 계의 엔탈피 변화는 출입한 열의 양을 나타낸다.

    <중 략>

    실험1. ∆H1의 측정 : NaOH(s) + HCl(aq) 250mL → NaCl(aq) + H2O(l)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