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좋은 동시’와 ‘나쁜 동시’의 차이점
2. ‘좋은 동시’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동시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동시라는 것은 “동심을 바탕으로 생각이나 느낌을 가장 적절한 언어로 가장 함축성 있게 표현한 글이다.”라고 정의할 수 있다. 또한 “마음에 깊이 느낀 바를 흥겹고 재미있게 말을 추리고 다듬어서 나타낸 노랫글로 동심을 바탕으로 한 노래이자 생활의 노래이다.”라고도 정의할 수 있다. 시는 인간의 내면 세계 즉, 사상의 세계를 다듬고 또 걸러 운율적 문장 속에 요약 및 압축하여 가장 농도 짙은 언어로서 씌여진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 중 동시는 시로서의 장르 의식을 갖고 특히 독자를 아동으로 전제해 쓴 시라고 볼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동시의 본질은 “아동다운 심리와 정서로 어른과 아동 모두가 공감 할 수 있게 성인이 쓴 시이다.”라고 정리할 수 있을 것이다.
기본적으로 동시를 구성하는 요소로는 시어와 리듬, 그리고 이미지가 있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을 잘 결합해 시를 표현한 예술적 기교로는 비유와 상징이 있다. 시는 보통 비유적 언어를 사용한다. 또한 표현 기법으로는 이미지와 비유(은유법, 직유법, 의인법), 그리고 운율 등을 사용한다. 이러한 점에 미루어 보았을 때 시는 작가의 독특한 사상 및 감정이 반영된 것으로서, 고도로 승화된 한 시인의 사상 및 감정 그리고 정서가 압축되어 율동적 언어로서 표현된 예술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동시는 그러한 부분이 더욱 뚜렷하다는 특징이 있는데, 이는 주요 독자인 아동의 발달적 특징을 반영하고, 그의 발달을 더 긍정적으로 자극하기 위함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동시라고 하여 모두 이러한 역할을 하는 것은 아니다. 나쁜 동시도 있기 때문이다. 이에 나는 본 과제를 통해 ‘좋은 동시’와 ‘나쁜 동시’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아울러 ‘좋은 동시’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동시 한편을 소개해 볼 것이다. 자세한 내용은 본론과 같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