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

  • 교육의 목적의 쟁점 _ 화이트헤드의 사상을 중심으로

    목차

    Ⅰ. 들어가며
    Ⅱ. 화이트헤드의 “리듬”
    Ⅲ. 화이트헤드의 “교육의 목적”
    Ⅳ. 나가며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신득렬(2003)은 ‘목적’, ‘목표’의 의미를 영어 표기에서 찾았다. 그 단어로 ‘aim’, ‘purpose’, ‘goal’, ‘objective’, ‘end’, ‘motive’, ‘intention’ 등이 사용된다. 이 중에서도 ‘aim’가 가장 많이 쓰이는데, 이것이 교육의 내재적 목적을 가장 잘 나타내기 때문이라고 기술하고 있다. 피터스(Peters, R.S.)는 ‘aim’이라는 단어의 특징들이 특수한 사회 기능을 알려준다고 말했으며, 그것은 ①가까이 있지 않거나 획득하기 어려운 목표를 암시하는 것과 ②문제의 행동이나 활동이 그러한 목표에 관련되어 명백히 구성되어 있지 않음을 암시하는 것이라고 기술하고 있다. 또한 듀이(J. Dewey)는 「민주주의와 교육」에서 교육목적을 논의하는 파트의 제목을 ‘Aims in Education’으로 표기하였는데, Aims of와 달리 Aims in으로 표기함으로써 교육의 내재적 목적이 중요하다는 것 또는 교육은 내재적 목적만을 갖는 다는 것을 강하게 시사했다(신득렬, 2003에서 재인용).
    그렇다면 다시 ‘교육의 목적’이라는 어구를 풀이해보고자 한다면, “학습자가 교육을 받는, 혹은 교육을 이수하는 목적”과 “교육이 지향해야하는 목적”으로 구분해 볼 수 있겠다. 이를 신득렬(2003)은 ‘교육의 목적이 무엇인가’와 ‘교육의 목적이 무엇이어야 하는가’라고 기술하기도 했으며, 다시 교육의 목적을 내재적 목적과 외재적 목적으로 구분하였다.

    출처 : 해피캠퍼스

  • 통계학과 지원 맞춤형 진로활동, 자율활동, 동아리 활동 특기사항 기재 예시

    목차

    진로활동 특기사항 기재 예시 1
    진로활동 특기사항 기재 예시 2
    진로활동 특기사항 기재 예시 3
    진로활동 특기사항 기재 예시 4

    자율활동 특기사항 기재 예시 1
    자율활동 특기사항 기재 예시 2
    자율활동 특기사항 기재 예시 3

    신문토론반 동아리 활동 특기사항 기재 예시 1
    컴퓨터공학 동아리 활동 특기사항 기재 예시 1
    프로그래밍 동아리 활동 특기사항 기재 예시 1

    본문내용

    청소년들이 수학을 좋아하는지, 싫어하는지, 그 이유는 무엇인지 설문 조사를 하여 통계를 내고, 통계를 낸 자료를 바탕으로 청소년들이 수학을 더 좋아할 수 있게 만드는 방안을 통계학에 관심 있는 학생들과 의논함. 그 과정에서 수학 자체가 싫다는 아이들의 인식을 어떻게 해결하면 좋을지에 대해 고민함. 그 후 사회조사방법론을 주제로 공부한 후 우리 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연구 활동을 함. 비록 표본이 작아 청소년들이 수학을 좋아하는 방안을 정확히 알 수 없었지만, 연구 과정에서 표본오차, 유의 수준 등의 용어를 정확히 이해할 수 있는 계기가 됨. 2학년에 진급하면 ‘SPSS’ 또는 ‘R 프로그램’ 등을 좀 더 자세히 배워 좀 더 신뢰할 수 있는 분석을 하겠다고 함. ‘직업인 인터뷰’ 활동(2023.11.01.)에서 통계 관련 정부 기관을 견학한 후 그곳에서 일하는 연구원을 찾아가서 직접 인터뷰함.

    출처 : 해피캠퍼스

  • 1주 2차시에서 사회복지행정과 일반행정의 차이점과 사회복지행정이 필요성에 대해 학습했습니다. 사회복지행정이 일반행정과 다른점을 기술하고, 사회복지행정이 필요한 이유를 제시해 봅시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사회복지행정이란?
    2. 사회복지행정과 일반행정의 차이점은?
    3. 사회복지행정이 필요한 이유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언론매체들을 접하다 보면 다양한 사회문제들이 얼마나 많이 일어나고 있으며 그러한 사회문제만큼 사회복지서비스 즉, 사회복지행정의 필요성과 인식도 높아짐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문제에 효과적인 대처를 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사회복지조직의 행정에 대한 정확한 지식과 기술을 이해하는 것이 우선이다. 사회복지행정은 사회복지와 행정이 합쳐진 것으로 먼저 사회복지행정과 일반행정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사회복지행정과 일반행정은 각각 매우 다른 분야이며, 이 둘의 차이점을 이해하는 것은 사회복지행정의 필요성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하에서는 사회복지행정과 일반행정의 차이점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사회복지행정이 필요한 이유를 논해보고자 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사회복지사로서 자신의 의사소통 유형을 분석하는 것은 중요합니다. 자신의 의사소통 유형을 분석하고 발전방안에 대해 요약 제출하시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의사소통의 개념
    2. 의사소통의 유형
    3. 효과적인 의사소통
    4. 나의 의사소통 유형(회유형)
    5. 발전방향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인간관계의 모든 시작점은 의사소통이 기본이 된다. 그러나 개인 간의 의사소통 유형은 각자 다르기 때문에 상대방과의 의사소통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와의 상호작용에서 상대방의 입장을 고려하고 동감할 수 있는 의사소통 기술이 필요하다. 이러한 의소소통을 통해 클라이언트와의 신뢰관계를 형성할 수 있고, 더 나은 결과를 도출할 수 있다. 따라서 자신의 의사소통 유형을 파악하고 개선하는 것은 사회복지사로서 필수적인 능력이라고 볼 수 있다. 사회복지사는 봉사정신과 인간관계의 중요성을 의식하고 추구함으로서 클라이언트와 서로간의 유대관계를 존중하고 상호작용에서의 의사소통이 가장 중요한 요소로서 작용한다. 미래의 사회복지사로서 사회복지 이념에 따른 복지 실천을 추구하고 자신의 올바른 가치관과 의사소통의 유형은 클라이언트와의 상호발전관계에서 커다란 영향을 줄 것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 통계학과 지원 맞춤형 세부 능력과 특기사항 기재 예문

    목차

    수학 세부 능력 및 특기사항 기재 예시
    수학 I 세부 능력 및 특기사항 기재 예시
    수학 II 세부 능력 및 특기사항 기재 예시
    확률과 통계 세부 능력 및 특기사항 기재 예시
    미적분 I 세부 능력 및 특기사항 기재 예시
    기하 세부 능력 및 특기사항 기재 예시
    AP 미적분학 세부 능력 및 특기사항 기재 예시

    본문내용

    점, 직선, 원, 도형의 이동 등에 대한 개념과 성질을 기하적으로 설명하고 도형의 방정식과 도형 사이의 관계를 대수적으로 능숙하게 다룸. 도형 문제에 문자를 사용하여 다항식의 인수분해로 해결하는 등 대수와 기하의 관점에서 해결 전략을 찾는 사고가 유연함. 프랙털 구조 표현 모둠 학습에서 육각형과 삼각형을 이용하여 피라미드, 계단을 표현하고 프랙털이 되는 이유인 닮음비를 이용한 자기 유사성을 칠판에 적으며 명료하게 설명함. 모둠 활동 시 창의적 아이디어를 내고 친구들의 의견을 존중하는 모습을 보여 친구들이 항상 같은 모둠이 되길 원함. n개의 합집합의 원소 개수를 구할 때, 중복되는 것을 빼고 빠지는 부분을 더하는 포함과 배제의 원리를 설명하여 친구들의 호응을 얻음. 함수, 유리함수, 무리함수와 관련된 수학적 개념과 성질을 설명하고 그래프의 성질을 이용하여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이 뛰어남.

    출처 : 해피캠퍼스

  • 우수 독후감 모읍집으로 <하찮으나 존엄한 조선의 9급 관원들(김인호 지음)> <박재원의 부모 효과(박재원 지음)> <받아들임 지금, 이 순간 있는 그대로(타라 브랙 지음)> 이렇게 세 편이 실려 있습니다.

    목차

    1. 하찮으나 존엄한 조선의 9급 관원들(김인호 지음)
    2. 박재원의 부모 효과(박재원 지음)
    3. 받아들임: 지금, 이 순간 있는 그대로(타라 브랙 지음)

    본문내용

    도서관 서가에 꽂힌 책들을 둘러보다 ‘하찮으나 존엄한 조선의 9급 관원들’이란 책의 제목에 이끌려 보게 되었다.
    지금 시대에 공무원으로 살고 있는 나로서는 호기심이 강하게 생긴다. 텔레비전 역사극이나 출판물로 나온 역사책들은 주로 왕의 시해 사건이나, 권력투쟁 싸움의 배후를 밝히는 책들이 많이 차지하는데, 이 책은 역사서에는 보기 힘든 조선시대 평범한 사람들의 직업에 따른 사건·사고를 다룬 흥미 있는 책이다.
    요즘 텔레비전 역사드라마나 역사소설은 역사적 사실로 글을 쓰기보다는 흥행이나 시청률을 목적으로 이야기를 만드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이 책은 작가의 허구나 상상력으로 쓴 글이 아니라 조선왕조실록과 많은 문집에 있는 작은 흔적들을 모은 근거 있는 자료를 바탕으로 쓴 책이라 더 신뢰할 만하다.
    이 책은 총 4부로 구성되어 있다.
    제1부 ‘조선 관료제의 손과 발’ 편에서는 다른 나라 사람들과 일본어, 중국어, 여진어 같은 외국어를 교육받아 국가 간 의사소통 전문 관리인으로 일했던 통사(通事), 사헌부 등 사법기관에서 수색이나 범인 체포 같은 실무를 맡았던 소유(所有), 나라에 소속된 사내종이 일종의 수행원인 구사(丘史), 조선시대에 필수 교통수단이었던 말을 치료하는 수의사인 마의(馬醫), 그리고 땅을 측정하거나 회계 일을 했던 산원(算員) 등 관청의 하급 실무자들의 다양한 삶의 모습들을 다루었다. 높은 신분의 관리들이 몸을 움직여 일할 수는 없었기에 실무를 맡아 처리하거나 관리의 시중을 들었던 이들은 양반과 일반 백성들 사이에서 때로는 천시당하고 때로는 권력자와 가깝다는 위치를 이용하기도 했다.
    제2부 ‘궁궐의 가장자리에 선 사람들’ 편에서는 최고 신분층인 국왕과 왕실 사람들을 보살피고 궁궐을 유지하기 위해 일했던 사람들과 관리들의 삶을 다루고 있다. 국왕의 앞에 서 길을 인도했던 가장 젊은 나이인 16세에 은퇴하는 자리인 중금(中禁), 궁궐 안의 요리를 맡았던 숙수(熟手)..

    <중 략>

    출처 : 해피캠퍼스

  • [간호학과] NCU 신경계중환자실 실습 A-SDH, 급성 경막하 출혈 케이스

    목차

    없음

    본문내용

    대상자 이름
    강OO
    성별/나이
    M/82
    C.C
    slip down, Rt hip pain, Rt femur fracutre > THR OD
    의식저하 -> NS 전과 이후 NCU
    PHx
    ● HTN/DM/Tb/Hepatitis = (+/+/-/-)
    ● HL(고지혈증) = (+)
    ● Afib(lixiana) (심방세동) = (+)
    진단명(imp)
    진단명: A-SDH, Lt FTP / Traumatic subdural hemorrhage

    정의
    (급성 경막하 출혈, 좌측 전두엽, 측두엽, 두정엽) 외상성 경막하 출혈

    원인
    대부분 머리에 대한 직접적인 충격으로 뇌와 경막 사이의 혈관이 파열되어 발생

    ● 외부의 충격 중 가장 흔한 원인

    젊은 사람
    교통사고, 무리한 운동, 폭행 등
    노인
    낙상
    영유아
    학대, 폭행
    일부 환자(항응고제, 항혈소판제제를 복용 중인 환자)는 강한 충격이 아닌 가벼운 생활 충격(문에 머리를 부딪힘)에 의해서 발생

    증상

    가장 흔한 증상 두통, 한쪽의 위약감, 경련, 시야 장애, 언어 장애

    출혈 초기
    인지 기능이 저하되고, 의사소통이 잘되지 않으며, 자꾸 잠을 자려는 모습
    출혈이 계속되어 뇌압 상승
    의식 장애가 악화되면서 반신 마비, 동공 확대, 호흡 곤란, 혼수상태 등의 증상
    출혈이 가벼워 뇌압 상승 없음
    의식 장애 없이 두통만 호소

    진단
    ● 혈압과 맥박 측정
    ● 시야와 안구의 빛 반응 관찰
    ● 반사 기능과 균형 감각, 언어 기능과 기억력 등을 확인

    ◀ CT: 출혈은 두개골 내면을 따라 초승달 모양의 고밀도 음영 병소를 보이며, 혈종에 의해 뇌조직의 압박 소견이 보임
    이를 통해 경막하 출혈이 의심되면 컴퓨터 단층촬영(CT)을 통해 뇌와 두개골의 출혈량과 해부학적 위치를 확인

    출처 : 해피캠퍼스

  • 테즈니아 데빌

    목차

    없음

    본문내용

    오스트레일리아의 태즈메이니아섬의 고유종이다. 주머니고양이과에 속해 있는 육식포유류동물이다. 공격성이 높고 죽은 고기를 찾아다니는 사나운 성격 때문에 데빌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새끼를 기르기 위한 주머니를 배에 가지고 있는 유대류이며, 먹이를 두고 동료와 싸울 정도로 성격이 사납다. 산림이나 바위가 많은 곳에 살면서 사냥보단 주로 동물의 사체를 찾아 먹기에 숲의 청소부라는 별명도 가지고 있다. 외형은 작은곰과 비슷하며 가슴에 반달가슴곰같은 흰 줄무늬가 있다. 비슷한 크기의 포유류 중에 치악력이 가장 강하다 턱을 80도까지 벌릴 수 있고 뼈를 으스러뜨릴 만큼 강력한 힘으로 씹을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간호학과] NCU 신경계중환자실 Intracerebral hemorrhage 고혈압성 뇌출혈 실습 케이스

    목차

    없음

    본문내용

    대상자 이름
    김OO
    성별/나이
    F/88
    C.C
    두통, 복통, nausea
    PHx
    HTN/DM/Tb/Hepatitis = (+/-/-/-)
    갑상선기능장애
    DVT
    Dementia
    진단명(imp)
    Intracerebral hemorrhage 고혈압성 뇌출혈

    정의
    ● 고혈압으로 인해서 오랜 기간 뇌 모세혈관이 손상을 받아오다가 이러한 작은 혈관이 압력을 견디지 못하고 파열됨으로 뇌 속에 출혈을 일으키는 질환

    ● 자발성 뇌내출혈 중 알려진 다른 원인을 찾을 수 없고 고혈압이 그 원인일 때
    원인
    ● 고혈압에 의한 혈관 질환은 큰 직경의 혈관에서 바로 나뉘게 되어 직각 상태에서 뇌로 들어가는 미세한 관통 동맥들에 영향을 미치고, 이런 혈관들은 직접적으로 혈압의 변동에 민감함

    ● 이 작은 동맥들의 혈관 벽에 지질과 단백질성 물질들이 축적(지방초자증)되고 혈관벽이 파괴되어 반흔(초자증)을 일으키고, 국소 괴사와 좁쌀 모양의 미세동맥류를 일으키기도 함
    증상
    ● 대표적인 4대 증상: 피각출혈, 시상출혈, 다리뇌출혈, 소뇌출혈

    ● 고혈압성 뇌출혈 환자의 임상적 양상은 가벼운 신경학적 증상부터 혼수 또는 급사까지 다양
    ● 신경학적 발현 증상의 형태는 혈종의 크기, 위치, 혈종과 관련된 근원적인 병태 생리학 등에 의해 결정
    ● 전형적인 증상: 두통을 동반한 국소 신경학적 결손이 갑자기 시작되고 의식 수준의 변화

    ● 뇌출혈 부위별 증상

    피각
    반신 마비, 지각소실, 시야결손
    대뇌우성 반구
    언어장애
    시상

    출처 : 해피캠퍼스

  • [간호학과]ICU 중환자실 pneumonia 폐렴 실습 케이스 보고서

    목차

    Ⅰ.인적사항

    Ⅱ. 대상자 사정

    Ⅲ. 관련검사
    1. 진단검사 자료
    2. 치료적 자료

    Ⅳ. 질병스터디

    Ⅴ. 간호과정 기록지

    Ⅵ. 출처

    본문내용

    Ⅰ. 인적사항
    진단명 : Heart failure, Pneumonia(주진단), Artrial fibrillation,Angina pectoris
    정보제공자 : 배우자

    Ⅱ. 대상자 사정
    영역 1. 건강증진(Health promotion)
    내원 이유/주호소(C/C) : dyspnea, sputum (호흡곤란, 가래)
    과거력 : 입원 및 수술경험 : 5년 전 Lung cancer 수술, 2년 전 재발 CRRT PCI 올해 폐렴 치료를 위해 입원, 퇴원 무렵 RT Hip FX 발견하여 수술 이후 심장약 복용
    기타 질병, 건강문제 : MRAB, 고혈압
    현재의 질병에 대한 자기관리 : 무
    간호, 치료에 대한 기대 : 긍정적
    전반적 대상자 상태 : 양호 불량 √ 만성적인 문제 √
    질병과 관련된 정서 상태 : 안정적
    흡연 : 알 수 없음
    음주 : 알 수 없음
    알레르기 : 예 내용 아니오 √
    건강관리 방법 : 약물 복용

    약명

    횟수
    이유
    릭시아나정
    30mg
    1회
    심재성 정맥혈전증 및 폐색전증의 치료
    플래리스정
    75mg
    1회
    허혈뇌졸중, 심근경색 또는 말초동맥성질환이 있는 성인 환자에서 죽상동맥경화성 증상의 개선
    네비스톨정
    2.5mg
    1회
    1. 본태성 고혈압
    2. 만성 심부전 (경증~중등증의 만성 안정형 심부전이 있는 70세 이상 노인 환자에서 표준치료시 보조치료)
    복용 약물(입원 전) : 폐암 med, IP 및 IC med

    영역 2. 영양 (Nutrition)
    신장 : 167 cm 체중 : 75kg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