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

  • 저혈량성 쇼크 문헌고찰, 간호진단2가지포함 시나리오입니다.

    목차

    1. 팀학습 보고서
    1) Brain storming Question
    2) 간호진단 기록지
    3) 간호계획 기록지

    2. 최종 시나리오 작성

    3. 간호기록지

    본문내용

    저혈량성 쇼크 원인
    -불충분한 혈액순환으로 혈액이 조직 내로 적절히 확산되지 못하여 세포에 신진대사 부전이 초래되고 그 결과 생리적으로 비정상적인 상태가 나타남. 즉 조직세포 대사에 필요한 충분한 혈류와 산소공급이 부족한 상태를 의미한다.

    출혈이나 체액 손실이 주된 원인이다. 대량 출혈, 화상, 구토, 설사, 외상 등으로 인한 전해질과 혈액 손실로 인해 혈량이 부족해 나오는 증상이다.

    ● 절대혈량 감소 : 출혈, 구토, 설사로 인한 위장관계 수분 상실, 누출관 배액, 요붕증, 고혈당증, 이뇨작용
    ● 상대적 혈량 감소 : 패혈증으로 모세혈관 투과도 증가하여 혈관에서 간질공간으로 체액 이동, 장폐색으로 인한 복수, 화상 등으로 체액이동

    <중 략>

    1) Brain storming Question
    • 간호사로서 어떻게 대상자에게 접근하고 질문에 어떻게 답변할 것인가?
    간호사 자신을 소개하여 신뢰감을 쌓고 불안을 완화시킨 후 대상자의 질문에 대해 이론적 근거를 기반으로 하되 명료하고 이해하기 쉽게 대상자에게 설명한다.

    • 대상자에게 어떤 간호문제가 있다고 생각되는가?
    – 과다한 위장관 출혈과 관련된 체액 부족
    – 토혈과 관련된 전해질 불균형의 위험성
    – 혈액량 감소와 관련된 가스교환장애
    – 중심정맥압 감소와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 관류 저하와 관련된 비효율적 말초조직관류
    – 출혈과 관련된 심박출량 감소
    – 의식 소실과 관련된 자가간호결핍
    – 갑작스런 토혈과 관련된 불안

    출처 : 해피캠퍼스

  • 입원관리 간호학과 시나리오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등장인물
    환자1, 환자2, 의사, 간호사1, 간호사2, 간호사3
    준비물
    환의, 환자이름표, 손 소독제, 알코올 솜, 전자체온계, 고막체온계, 청진기, 손목시계, 아네로이드 혈압계, 신장 및 체중 측정계, 기록용지 및 볼펜, 간호 정보기록지, 통증사정도구, 낙상평가도구, 욕창평가도구, 입원생활안내문, 간호기록지
    역할
    -간호사 :
    ① 병실 들어가기 전 내과적 손 씻기, 자기소개, 대상자확인 & 활력징후 측정
    ② 간호정보 수집
    ③ 욕창 및 낙상예방 교육 & 입원생활 안내 및 교육
    -환자 : 22세. 여. 스트레스 성 장염
    -의사 : 입원 사실을 간호사를 통해 알게 됨.
    상황설정
    환자가 며칠 동안 계속 설사를 하고 속이 메스꺼움을 계속 느끼고 배가 너무 아파서 자차를 이용하여 외래진료를 받고 스트레스성 장염 진단을 받고 입원을 하게 되어 병동에 올라면서 상황이 이루어 짐.

    출처 : 해피캠퍼스

  • 간호학과 수혈 시나리오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등장인물
    환자, 간호사 1, 간호사 2, 의사, 보호자
    준비물
    소독솜&tray, 곡반, 일회용 장갑, 일반 의료폐기물 전용 용기, 손상성 의료폐기물 전용 용기, 손 소독제, 간호 기록지, 수혈 동의서, 수혈 sign할 기록지, 혈액 종류에 따른 수혈 세트, 혈액 제제 백, 수액 걸대, 청진기, 혈압계, 전자/고막 체온계
    역할
    -간호사 1 : 간호사 2와 함께 수혈 간호를 수행한다.
    -간호사 2 : 간호사 1과 함께 수혈 간호를 수행한다.
    -환자 : TA(Traffic accident)로 인한 과다출혈이 발생해 ES(Emergency surgery)를 앞두고 있는 상태이다.
    -의사 : 환자의 상태를 확인 후 처방을 내린다.
    상황설정
    김수혈 (남,21) TA(Traffic accident)로 인한 과다출혈이 발생해 ES(Emergency surgery)를 앞두고 혈액 검사상에서 Hgb 7.0/dl로 나타났다. 아래 처방을 확인하여, 간호사1와 간호사2가 필요한 간호를 수행한다. 등록번호는 12341234이며 병동은 2416이며 2401에서 입원 중인 상태이다. – A형

    #1. 병동스테이션
    의사: 간호사님 김수혈님 수술 전에 packed RBC 2pint IV 수혈해주시고, 수혈 전, 수혈 후 V/S check 해주세요. 과거 수혈 부작용이 있으셨던 분이니 유의해주세요.
    간호사1 : 네, 알겠습니다.

    수혈 처방을 받은 후, 수혈 동의서를 확인한다.

    간호사1 : 김수혈 분, 남, 21세, 등록번호 12341234, 농축 적혈구, 고유번호 1234, Rh + A형, irradiation 유, 교차 검사 결과 적합입니다. 유효기한은 13일까지이며, 혈액 공기 방울, 색깔 이상 없습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수술 후 환자 간호 시나리오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수술 후
    상처 배액 중류에 따른 관리법
    ● 수술 부위를 매 8시간마다 관찰하면서 발적, 열감, 부종, 압통, 배액 등이 있는지 확인한다.
    ● 염증, 감염, 환부 파열, 내장 탈출, 배액관의 막힘 등와 같은 합병증이 있는지 확인 또한 필요하다.
    ● 수술 후 며칠 이내에 혈액성 배액이 장액혈액성이나 장액성 배액으로 바뀐다.
    ● 수술 후 5일이 지나서도 장액·혈액성 배액이 계속되면 상처 열 개의 우려가 있으므로 의사에게 보고한다.
    ● 일반적으로 수술 후에 정상적으로 미열이 2~3일 동안 유지된다. 그러나 그 이후에도 열이 지속된다면 감염을 확인한다.
    ● 간호사는 배액관이 막히지 않았는지 확인하고 삼출물의 양과 색 냄새 등을 관찰한다. 또한 배액관이 당겨지거나 꼬여있지 않도록 하고, 주기적으로 비우고 점차 배출액의 양이 적어지면 배액관을 제거한다.
    ● 배액관이 삽입된 부위의 피부는 돌려가며 닦아주고. 닦은 후 Y 거즈 위에 한 층의 거즈를 더 대어 주는데 이는 삼출액을 모으는 용기가 없으므로 거즈에 직접 삼출액이 축적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산소포화도측정, 비강캐뇰라, 분무요법 시나리오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등장인물 : 환자, 간호사1, 간호사2, 학생간호사, 보호자
    상황 : 당신은 호흡기내과 병동 간호사이며, COPD로 어제 입원한 나숨차(M/68)님을 담당(2인1조)하고 있다. 5년 전 본원 호흡기내과에서 COPD로 진단받고 OPD F/U하던 중 내원 3일 전부터 URI Sx (coughing, sputum, fever)있어 URI medication 하다가 2일 전부터 dyspnea있었으며 밤사이 dyspnea 더 심해져서 본원 ER로 내원하여 치료를 받은 후 안정되어 어제 호흡기 내과 병실로 입원하였다. 나숨차님은 조금 전부터 호흡곤란을 호소하고 있다. 나숨차님의 신체적, 정신적 상태를 사정하고 적정한 간호를 수행하라.

    #산소포화도 측정

    간호사1 : 학생간호사 선생님, 지금 000호실에 계신 나숨차 환자분 활력징후랑 주호소, 산소포화도, 호흡음 사정하러 갈거니까 따라오세요.
    학생간호사, 간호사1, 간호사2가 물과 비누로 손위생을 실시한다. 필요한 물품을 준비한다.(Pulse oximeter, 손소독제, 소독솜, 환자차트)

    출처 : 해피캠퍼스

  • 분만1기 시나리오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주제
    주제 : 분만 1기 활동기 간호
    일시

    팀원명

    단계별 상태
    (시간)
    대상자 반응
    (증상, 요구, 검진결과 등)
    학습자 활동(구체적인 간호수행)
    사전준비
    혈압계, 체온계
    태아감시장치 준비
    수건과 젤 준비
    통증점수확인
    간호사 1&2: 손위생을 실시하고 “안녕하세요. 담당간호사000입니다”
    간호사1: “환자분 성함하고 생년월일 확인하겠습니다. 성함과 생년월일어떻게 되시나요?”
    대상자: “000입니다. 생년월일은 oooo-oo-oo입니다.”
    간호사1: “입원팔찌 확인하겠습니다. 네 확인되셨습니다.”
    간호사2: ‘혈압계와 체온계를 이용하여 V/S을 측정하겠습니다. 100/60-90-20-36.6 나왔습니다. 환자분 현재 통증이 있으세요? 그러면 숫자가 0에서 10이있습니다. 0은 전혀 아프지 않은 상태이고 10은 극심한 통증을 느끼는 상태입니다. 현재 느끼는 통증정도는 몇점이세요?
    대상자: (표정을 찡그리며) 7점이요. 배가 아파요.

    간호사정
    초산부 40+2wks
    나이: 35세
    새벽 6시경 4~5분 간격으로 진통이 심해져 응급실 방문.
    진통이 올때마다 얼굴을 찡그리며 아기가 괜찮은지 궁금해 함.
    Fetal monitor:
    Ut contraction 40~50 mmHg/
    2~5 min (NRS 7점)
    NST reactive
    FHR 120~130 bpm baseline
    Cervical Os 5cm
    dilatation, 75% effacement, -1 station
    혈액검사 확인
    WBC 8810/mL,
    Hb 13.7 g/dL,
    Hct 39.7%,
    Plt 254,000/mL
    산부반응:

    간호사 1: “어떻게 아프신지 자세히 말씀해주실 수 있나요? 환자분 지금 진통간격은 어느 정도인지 말씀해주실 수 있나요?”
    대상자: “2-5분 간격으로 한 번씩 진통이 와요.” (얼굴을 찡그리며) 간호사1: “다른 불편사항은 없으신가요?”
    대상자: “네~ 아기는 어떤가요? 괜찮은가요?”
    간호사 1: “지금 몇가지 검사를 통해서 태아와 산모님의 건강 상태를 알아보겠습니다. 혈압과 맥박 호흡은 저희가 30분마다 측정 을해서 산모님의 건강상태를 체크할 것입니다. 촉진을 통해서 지금 태아가 위치나 자세를 잘 잡고 있는지 살펴보고 태아의 심장박동을 알아볼 수 있는 장치를 산모님 복부에 장착해 드릴게요. 이걸 통해서 태아의 건강상태를 평가할 수 있으니 결과가 나오면 알려드리겠습니다.”
    간호사 2: “궁금하신점이나 불편하신점 있으신가요?”
    대상자: “없습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배변요구 시나리오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1. 배변요구

    등장인물
    환자( ), 간호사( ), 보호자( )
    준비물
    관장액(글리세린), 온수(37.7~40.5도), 50mL 주사기나 관장용 주사기, 방수포, 윤활제, 홑이불, 쟁반, 곡반, 검온계, 휴지, 일회용 장갑, 손소독제, 간호 기록지, 필요시 대변기
    역할
    -간호사 : 환자에게 배출 관장 시행
    -환자 : 21세, 변비로 인하여 4일째 대변을 보지 못함
    -보호자 : 환자가 관장액 주입 후 변의를 참는 것을 도움
    상황설정
    환자 ㅇㅇㅇ님은 4일째 대변을 보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간호사는 ㅇㅇㅇ님에게 글리세린을 이용한 관장을 시행하려고 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뇌전증 문헌고찰, 간호진단 2가지 포함, 시나리오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구분
    내용
    원인
    1) 발작(Seizure)
    대뇌피질로부터의 비정상적인 발작성의 전기방전
    감강, 행동, 움직임, 인식, 의식에서의 변화를 나타냄. 증상은 침범된 피질영역과 관련 원인은 매우 다양함.
    2) 간질(epilepsy)
    재발성과 상동형의 발작으로 정의, 아동과 젊은 성인에게서 흔함.
    뇌전증 발작 분류
    1) 전신발작
    ① 긴장성-간대성(대발작): 국소발작이 없는 전신발작으로 약 2-5분 지속
    ② 결신발작(소발작): 아동기에 호발, 5-10초 이내 LOC 발생, 특징적 뇌파 나타냄. cf) 비전형적인 결신발작 : 임상적 양상, 뇌파, 원인 등이 전형적인 형태와는 다름, LOC 기간이 길고 불완전하며, 전형적인 결신발작보다 더 심한 발작을 보임.
    ③ 근간대성 발작: 간대성 근경련이 갑자기 시작하거나 멈춤, 몇 초 동안 사지근육이 경직 혹은 경련
    ④ 무긴장성 발작(갑작스런 발작): 갑자기 몇 초 동안 근육 긴장이 소실되어 대상자가 넘어지거나 머리를 끄덕이거나 고개를 숙이는 무긴장성 발작
    ⑤ 긴장성 발작: 갑작스러운 발작 초기에 유지되었던 증가된 신전군의 긴장유지가 갑작스럽게 시작되는 것과 연관, 자주 넘어짐.
    ⑥ 간대성 발작: 의식 소실과 함께 시작되고 갑작스러운 근육긴장도 소실, 의식소실, 사지경련
    2) 부분발작
    ① 단순부분발작: 의식이나 지각의 소실 없음. 대부분 성인발생, 일반적으로 치료에 잘 반응하지 않음.
    ② 복합부분발작: 의식소실 수반됨. 발작 후 기억상실, 전주에 의식장애 있음. 2차성 전신화 발작 동반
    ③ 폴란드 발작: 부분발작의 한 형태로 발달 장애가 없는 3-13세 아동에게 발생하여 사춘기에 소실되어 예후가 좋음.
    진단적 검사
    1) 뇌파검사와 비디오 모니터, 병변부위, 간질의 정도, 기간 등을 규정
    2) MRI, CT 발작을 일으키는 부위 규명
    3) SPECT: 병변부위 규명을 위한 추가검사
    4) 신경심리학적 검사: 행동이상 평가
    (우측 측두엽 뇌전증 환자의 단일광자방출 단층촬영)

    출처 : 해피캠퍼스

  • 고열과 호흡곤란 및 탈수 동반 환아 간호 진단2가지 포함, 시나리오입니다.

    목차

    1. 간호진단 기록지
    2. 간호계획 기록지
    3. 시뮬레이션

    본문내용

    간호진단 기록지
    의미 있는 자료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Dx: Broncholitis, AGE
    Chief complain: vomiting(4회/일), dirrahea(5회/일), coughing, high fever (38.5℃), dyspnea
    PEx: dry lip, dry tongue, cough, sputum, lip cyanosis
    chest: coarse breathing sound(Rt: side)

    전해질 수치 : Na – 136(정상)
    K – 3.21(저하)
    Cl – 99(정상)

    ⦁체중 7일간 – 2kg
    ⦁항문주위 발적
    ⦁activity 저하
    ⦁기력없어 보임

    Chest PA: suspicious mild infiltration at right parahilar lung

    V/S

    T
    38.5℃
    R
    30회
    P
    132회
    Spo2
    92%

    출처 : 해피캠퍼스

  • 치위생학과 임상실습 완전매복치 발치 컨퍼런스

    목차

    01 환자정보
    02 완전 매복 사랑니 발치
    03 진료과정
    04 다음치료계획

    본문내용

    02. 완전 매복 사랑니 발치
    정의
    매복치발치: 매복치는 하악의 지치매복이 가장 많음, 그 밖에 정중과잉치, 상악 견치 매복, 하악견치, 상악중절치, 상악측절치 순
    소구치부에선 제2소구치 매복 많으며 18세 이전 치근 전체 1/3-2/3 형성되므로 이 시기에 매복치는 발치하는 것이 좋음

    적응증 & 금기증
    심한 치아우식증
    치료가 곤란한 급성 및 만성 치주염에 포함된 치아
    치아파절이나 치조골의 외상으로 치료가 불가능한 치아
    치수가 병적상태에 있으며 근관치료 및 치근단절제술 등으로 보존이 불가능한 치아
    매복치나 과잉치
    치아를 포함하고 있는 주위 골이 병적인 상태에 있는 치아
    방사선 조사를 받을 영역의 보존이 불가능한 치아
    만기 잔존 유치
    교정치료를 위한 발거대상치아
    심미장애 치아
    치아이식을 위한 발치대상치아
    보철치료에 장애가 되는 치아

    <국소적 >
    봉와직염을 동반한 급성감염
    급성 지치주위염 원인치아
    급성 감염성 구내염이 있는 경우
    악성종양이 증식하는 부위에 포함된 치아
    방사선 조사를 받는 부위 치아
    <전신적>
    심장, 순환계질환자
    만성 소모성 질환
    혈액질환자
    약제사용환자
    생리적 변동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