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

  • 유기화학실험2 prelab_ Triphenylcarbinol-Grignard Reaction

    목차

    1. objectives
    2. principle
    3. methodes
    4. expected result
    5. table of relevant chemical properties
    6. reference

    본문내용

    Objectives: 무수조건에서 Magnesium과 Bromobenzene으로 Grignard reagent를 합성하고 이를 이용해 Benzophenone과 반응시켜 triphenylcarbinol을 합성할 수 있다.

    Principles:
    Grignard reagent는 alkyl halide와 magnesium metal과의 반응으로부터 생성된다. Alkyl halide중에서는 R-I가 가장 반응성이 좋으며, 그 다음이 R-Br이고, R-F는 거의 반응하지 않는다. R-X(halide)의 결합이 약할수록 Mg가 attack하기 쉬운데, R-I를 쓰지 않는 이유는 반응성이 너무 좋아 폭발의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항상 무수 ether 용매를 이용해야하는데, Grignard reagent와 ether가 착물을 형성하며 안정화되고 ether를 통해 Grignard reagent를 solvate시키기 위해서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유기화학실험2 prelab_ Acetanilide to p-Nitroaniline

    목차

    1. objectives
    2. principle
    3. methodes
    4. expected result
    5. table of relevant chemical properties
    6. reference

    본문내용

    Objectives: aromatic nitration 의 electrophilic aromatic substitution에서의 우세한 product와, p-Nitroacetanilide의 hydrolysis 반응을 통해 p-Nitroaniline을 합성하는 매커니즘을 이해하고, TLC로 물질의 합성을 확인할 수 있다.

    Principles:
    Scheme에서 볼 수 있는electrophilic aromatic substitution에서, aromaticity를 잃고 sigma complex를 형성하는 반응은 흡열 반응이고, rate determining step이다. 이 실험에서 Electrophile은 NO2+으로 benzene ring의 pi 결합에 있는 전자2개가 electrophile의 N과 결합하고, 그림1과 같이 양이온 intermediate가 생긴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유기화학실험2 prelab_ Hydroboration-Oxidation of 1-Hexene

    목차

    1. objectives
    2. principle
    3. methodes
    4. expected result
    5 table of relevant chemical properties
    6. reference

    본문내용

    Objectives: 합성한 borane을 이용하여 1-hexene에 hydroboration, oxidation반응을 순서대로 일으켜 1-hexanol을 합성할 수 있다.

    Principle: 첫째 단계인 hydroboration에서 그림1과 같이 borane이 1-hexene에 반복하여 addition되어 trihexylborane이 합성되는데, 이때 Boron은 electrophilic하며 steric strain이 더 적은 쪽으로 addition되는 것이 더 안정하기에 1번 탄소에 addition되므로 anti-Markovnikov 반응임을 알 수 있다. 또한, Regioselective 하며 stereoselective한 syn addition이다. 실험에서 anhydrous물질을 사용하는 이유는 borane이 물과 반응하면 B(OH)3과 H2 기체를 형성하기에 이를 막기 위함이다. 그럼에도 물과 borane이 반응할 경우를 대비해 과량으로 넣어준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유기화학실험2 prelab_ Diphenylacetylene from Stilbene

    목차

    1. objectives
    2. principle
    3. methodes
    4. expected result
    5. table of relevant chemical properties
    6. reference

    본문내용

    Objectives: (E)-stilbene 을 bromination 하여 생긴 1,2-dibromo-1,2-dipheylethane으로부터 Double hydrohalogenation 반응을 통해 Diphenylacetylene을 합성할 수 있고 TLC로 생성물질을 확인할 수 있다.

    Principles:
    alkyne은 염기 조건 하에서 1,2-dihalides의 dehydrohalogenation에 의해 쉽게 만들어진다. 실험 A에서는 brominium ion intermediate이 형성되는데, C=C가 Br2에 친핵체로 작용하여 Br2 의 결합을 끊고 Br-를 만든다. 이 과정에서 Bridged bromonium ion이 C+형태의 중간체를 만들며 안정해진다. 전체 매커니즘은 그림1과 같다. 실험 B에서는 E2 반응이 두 번 일어나는데, OH-가 strong base로 작용하여 H+를 가져오고 Br을 good leaving group으로 만들어 내보낸다.

    출처 : 해피캠퍼스

  • 병리학 소화계통 리포트

    목차

    1. 소화계의 구성
    2. 소화관 벽의 미세구조
    3. 치아
    4. 혀
    5. 구강의 구조
    6. 침샘
    7. 식도
    8. 위
    9. 소장
    10. 췌장
    11. 간
    12. 대장

    본문내용

    소화계는 우리 몸에서 가장 다양한 기관들로 구성되며, 안정 시 가장 많은 혈액을 받는다. 무게는 골격계 다음으로 무거우며, 길이는 9m 정도이다. 궁극적인 역할은 영양분을 섭취하고, 남은 노폐물을 대변으로 배설하는 것이다.

    1. 소화계의 구성 : 위장관 + 소화부속기관
    소화계는 크게 (1) 위장관 혹은 소화관, (2) 소화부속기관 등으로 나뉜다.
    순서 : 입 – 목구멍- 식도 – 위 – 십이지장 – 공장 – 회장 – 맹장 – 결장 – 직장 – 항문
    ● 결장 : 상행결장 – 횡행결장 – 하행결장 – S상결장
    소화기관을 크게 나눈다면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는데,
    (1) 입에서 위까지 – 이곳의 중요한 목표는 음식을 잘게 부수어 흡수가 잘 되도록 함.
    (2) 소장(십이지장, 공장, 회장) – 잘게 부숴진 음식이 위액과 섞여 ‘걸죽한 우유’와 같은 형태인 “미즙”이 되어, 십이지장으로 넘어온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중앙대 일반물리실험2 유도기전력 측정 (조교님께 피드백 받은 보고서입니다.)

    목차

    1. 실험값
    2. 결과 분석
    3. 오차논의 및 검토
    4. 결론

    본문내용

    [3] 오차 논의 및 검토
    (1) 함수발생기와 멀티미터의 정밀도로 인한 주파수 측정 오류함수발생기가 만들어 내고 이를 계기화면에 나타내는 주파수는 20kHz 이하에서 ± 정확도를 가지며 30분 예열 후 ±의 안정도를 갖는다. 따라서 함수발생기가 나타내는 주파수의 값이 2차 코일의 유도기전력의 주파수와 같음을 확신할 수 없다. 실제로 실험1,3,4의 과정에서 함수발생기로 500Hz의 주파수를 설정하였지만 멀티미터의 측정값은 490~510Hz의 범위 안에서 계속해서 변화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함수발생기에 나타나는 주파수의 마지막 자리의 값도 계속해서 변화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오류로 인해 500Hz로 설정해둔 주파수의 값에 오차가 발생하게 되고 이는 유도기 전력과 인가전류, 감은 수, 단면적 사이의 비례관계를 확인하고 유도기전력의 이론값을 구하는 과정에서 오차를 발생시켰을 것 이다.

    (2) 유도 리액턴스로 인한 전류 설정의 오류
    솔레노이드 형태의 1차 코일과 같은 인덕터에 교류 전류를 인가하면 주파수에 비례하는 유도 리액턴스가 발생한다. 유도 리액턴스가 커지면 저항이 커지는 셈이 되어 1차 코일에 흐르는 전류는 작아진다.
    실험에서는 인가 전류를 59.3mA의 고정된 값으로 설정하였지만 실제로는 주파수가 커짐에 따라 저항이 커져 전류가 감소하였고 설정값으로 바꾸었지만 정확히 59.3mA로 맞춰지지 않아 1~5회의 실험을 거치며(58.2 58.8 59.7 59.2 59.2mA) 의 순서로 전류값이 변화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인가 전류를 59.3mA로 두고 계산한 이론값과 각각의 원래 전류값으로 구한 이론값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2차 코일의 유도기전력의 실험값과 이론값의 오차율을 살펴보면 인가 전류가 설정값인 59.3mA일 때보다 멀티미터로 측정한 값일 때 3회 측정값을 제외한 모든 실험값들의 오차율이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중앙대 일반물리실험2 등전위선 측정 (조교님께 피드백 받은 보고서입니다.)

    목차

    1. 실험값
    2. 결과 분석
    3. 오차논의 및 검토
    4. 결론

    본문내용

    [실험 1]에서는 수조의 중앙(0,0)의 위치에서 두 전극선상의 수평선을 따라 좌우로 눈금 5씩 고정검침봉의 위치를 이동시켰다. 고정검침봉을 중심에서 멀리하여 측정할수록 등전위선의 곡률이 커졌다. 고정검침봉을 (0,0)에 놓고 측정한 등전위선은 거의 직선을 이루지만 고정검침봉을 원형 전극에 가까이 놓을수록 직선의 양 끝이 휘어지는 정도가 점점 커졌다.

    즉, 전극에 가까울수록 곡선의 곡률이 점점 강해져 결국엔 타원 형태를 등전위선까지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수조의 중앙을 중심으로 등전위선이 전반적으로 상하좌우 대칭을 이루었다. 전체적으로 등전위선이 보여주는 모양이 원형 전극 위치에 점전하를 놓았을 때 나오는 등전위선과 비슷했다.

    실험 결과를 보면 세로 기준으로 가운데에 위치할수록 등전위선이 조밀하고 y좌표의 절댓값이 클수록 등전위선의 간격이 커진다. 따라서 y좌표의 절댓값이 작은 곳의 전기력선이 더 조밀하며 전기장이 더 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이유로 자석과 가까운 가운데 부근이 전기장이 더 세다는 것을 추정할 수 있다.

    이론상으로는 가장 중심인 (0,0)을 지나는 등전위선(직선)이 존재하고 이를 중심으로 양쪽의 등전위선이 대칭적인 모양을 이룬다. 하지만 실제 실험에서는 가장 중심을 지나는 등전위선이 (2,0)을 지나는 직선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래 실제 실험 결과 사진을 참고하면 가운데 파란색 선이 (0,0)을 지나는 직선인데 전체적으로 등전위선이 파란색 선을 기준으로 오른쪽으로 치우쳐진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유기화학실험2 lab-report_Exp1. Carbocation Rearrangements – Benzopinacolone

    목차

    1. results
    2. discussion
    3. references

    본문내용

    (1) Results
    1) 생성된 benzopinacolone의 수득량 : 0.436g
    즉, 0.436g/(384.4g/mol)=0.00113mol
    2) 생성된 benzopinacolone의 수득률 : 83.4%
    3) TLC 결과 (Rf)
    Start Material = 0.175
    Product = 0.325
    4) 생성된 benzopinacolone의 m.p는 178~179℃

    (2) Discussion
    이번 실험은 r.b.f에 start material인 benzopinacol과 solvent인 acetic acid 그리고 촉매인 iodine을 넣는 것으로 시작하였다. r.b.f가 heating mantle로부터 열을 효율적으로 얻게 하기 위해 sea sand를 사용하였는데, 텅 빈 heating mantle에 r.b.f를 먼저 넣고나서 sea sand를 넣어야 더 많은 면적을 덮을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유기화학실험2 prelab_ Carbocation Rearrangements-Benzopinacolone

    목차

    1. objectives
    2. principle
    3. methodes
    4. expected result
    5. table of relevant chemical properties
    6. reference

    본문내용

    Objectives:
    Benzopinacol에서 Benzopinacolone으로 rearrange가 일어날 때, Carbocation rearrangements가 관여함을 이해하고, filtration을 거쳐 얻은 benzopinacolone을 rinse, dry 하여 수득률을 높일 수 있다.

    Principle:
    이 실험에서 다룰 반응은 carbocation rearrangement가 일어나는 반응 중 하나인 pinacol rearrangement이다. 이는 dehydration 반응으로 산 촉매 반응이다. Hydroxy oxygens 중 하나에서 protonation이 일어나고, 물분자가 떨어지면서 tertiary carbocation을 형성한다. 이 실험에서는 benzopinacol 을 사용하므로 phenyl group 이 migration 하는데, 이는 oxygen의 nonbonding electrons이 resonance를 통해 양전하

    출처 : 해피캠퍼스

  • 병리학 순환계통 리포트

    목차

    1. 심장의 겉모양과 위치
    2. 심방과 심실
    3. 심장의 외관
    4. 심장의 구조와 혈액의 흐름
    5. 심장의 판막
    6. 순환계의 구성
    7. 맥박 감지부위
    8. 혈액의 분포
    9. 체순환과 폐순환
    10. 관상동맥과 관상순환
    11. 허혈심장병 혹은 관상동맥질환
    12. 심장의 막
    13. 심장의 벽과막
    14. 심장의 박동기와 특수 전도계
    15. 심전도
    16. 심장의 주기
    17. 심장의 자율신경 분포
    18. 태아순환
    19. 혈관계의 구성
    20. 모세혈관
    21. 림프계의 필요성
    22. 림프계의 분포

    본문내용

    1. 심장의 겉모양과 위치
    정상 성인의 심장 무게는 250~350g 정도로, 어른 주먹 보다 약간 크고 위가 좁으며 아래가 넓은 서양 배를 엎어 놓은 모양으로 심장 위쪽을 심기저부, 아래쪽을 심첨부 라고 부르는데, 심기저부에는 많은 큰혈관들이 위치하며 심첨부는 왼쪽 하방을 향한다.
    위치는 척주 앞에, 흉골 뒤에, 세 번째와 일곱 번째 갈비뼈 사이에 위치한다.
    중간종격- inferior mediastinum의 중앙부, 가슴 중앙에서 약간 왼쪽으로 치우쳐 있으며, 특히 왼쪽 심장이 더 강하게 박동하므로 흉골 왼쪽에서 그 박동을 느낄 수 있다.

    2. 심방과 심실
    심장은 중격에 의해 오른심장과 왼심장으로 나뉜다. 좌우 심장은 각각 판막에 의해 판막 위쪽을 심방. 판막 아래족을 심실 이라고 한다. 이로 인해 심장은 우심방과 우심실,좌심방과 좌심실 등의 4개의 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우심방과 좌심방은 심방중격에 의해 우심실과 좌심실은 심실중격에 의해 구분된다.
    우심방과 우심실 사이의 판막을 삼첨판막, 좌심방과 좌심실 사이의 판막을 승모판막이라고 하며, 이들을 합하여 심방과 심실 사이의 판ㅂ막이라는 뜻으로 방실판막 이라고 한다.

    3. 심장의 외관
    심장에서부터 나가는 혈액을 담고 있는 혈관을 동맥. 심장으로 들어오는 혈액을 담고 있는 혈관을 정맥이라 하는데, 심장 가까이의 혈관은 매우 커서 대동맥과 대정맥 이라고 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