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

  • 일반물리학실험 A+ 레포트 포사체운동실험

    목차

    없음

    본문내용

    실험제목: 포사체 운동 실험

    실험목적
    : 포사체의 포물선 운동을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의 운동으로 나누어 분석해 보고, 이를 통하여 위치에너지와 운동에너지의 역학적 에너지 보존을 확인한다.

    관련 이론
    그림 15.1과 같이 바닥면과 일정한 각을 가지고 초기속도로 쏘아 올려진 질량 m인 물체의 운동을 생각해 보자. 방향으로 는 받는 힘이 없으므로 속도의 변화가 없다. 하지만 -의 방향으로는 중력을 받게 된다. 따라서 뉴턴의 제 2법칙을 이용하여 다음을 구할 수 있다.

    실험기구
    I-CA system
    스크린
    버니어캘리퍼스
    발사장치 및 형광구
    기준자
    발장장치 고정용 클램프

    실험방법
    1. 스크린과 포사체 실험장치를 준비하고, I-CA시스템을 설치한다. 카메라는 구면수차를 감안하여 2~3m 뒤에 설치하고 줌을 조절하여 실험하기 좋은 화면으로 맞춘다. 실험면과 카메라는 직각이 되어야 하고, 특히 X-Y 2차원 실험으로 평면 자체가 기울면 실험에 오차를 줄 수 있으므로 카메라가 수직면에 정확하게 일치하게 설치한다. 이는 카메라 위에 수평계를 올려놓고 수평을 맞추는 것이 확실하고, 수평계가 없을 시 형광구를 떨어뜨려 보아 그 모습을 보고 맞출 수 있다.
    2. 단계를 조절하며 발사해보고 적당한 단계로 실험한다. 대부분 2단계로 한다.
    3. 카메라 세팅이 끝나면, 기준자를 운동면에 놓고 화면을 캡쳐한 후 스케일 및 좌표계를 설정한다. 그림과 같이 기준자를 기준자 꽂이에 위치시키고 파일을 저장한 후 이를 치우고 실험하면 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일반물리학실험 A+레포트 자유낙하 예비 결과

    목차

    없음

    본문내용

    실험제목: 자유낙하 운동 실험

    실험목적
    자유낙하 하는 물체와 수평 방향의 초기속도를 가지고 떨어지는 물체에 대하여 각각의 경우 중력가속도를 측정하고 그 차이가 없음을 확인 한다.

    관련 이론
    공기저항을 무시할 때 자유낙하 하는 물체에 작용하는 힘은 중력으로 일정하게 작용한다. 따라서 일정한 가속도를 가지고 지구 중심을 향하는 일차원 운동을 할 것이다. 처음 정지 상태에서 출발하고 물체의 운동 방향을 +y로 정하면 t초 후 물체의 낙하 거리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 마찬가지로 +x방향으로 초기속도 를 가지고 떨어지는 물체의 경우, 이 운동은 서로 무관한 x방향의 운동과 y방향의 운동으로 나누어 분석할 수 있다. x방향은 작용하는 힘이 없고 따라서 초기속도 의 등속도 운동을, y방향은 자유낙하 하는 물체와 같은 운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 =가 되고 두 성분을 합하면 다음의 2차원 포물선 운동을하게 된다.
    본 실험에서는 자유낙하하는 물체와 포물선 운동을 하는 물체의 각각의 경우 중력가속도를 측정하고 그 값의 차이를 확인한다.

    실험기구
    자유낙하운동 실험장치
    다양한 수직추

    실험방법
    1. 실험장치를 구성한다. main control unit과 holding장치, photogate timer system을 연결하고, main control unit 과 photogate timer system의 전원을 연결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일반물리학실험 A+레포트 음파와 맥놀이

    목차

    1. 예비보고서
    2. 결과보고서

    본문내용

    실험제목: 음파와 맥놀이

    실험목적
    – 소리굽쇠로부터 나오는 음파의 주기와 진동수를 측정한다.
    – 소리굽쇠로부터 나오는 음파의 진폭을 측정한다.
    – 두 개의 소리굽쇠 소리 사이의 맥놀이를 관찰한다.

    실험기구
    버니어 데이터 수집 인터페이스, 버니어 마이크로폰 센서, 로거프로 3 한글 프로그램, 소리굽쇠 1세트(알루미늄, 철, 구리, 황동이고 온도변화에 대한 금속의 팽창 정도를 측정한다.) 온도계, 열순환노트, 시료길이를 측정하는 자

    실험방법
    3.1 SoundWave 프로그램을 이용한 실험 과정
    1. SoundWave 프로그램의 실행 탭
    가. 소리파형 탭의 기능
    나. 소리 스펙트럼 탭의 기능
    다. 소리 발생 탭의 기능
    2. 프로그램의 실행과 기능은 담당 선생님의 지도를 받는다.
    3. 소리굽쇠의 음파를 마이크로폰으로 입력하여 SoundWave 프로그램의 [소리파형], [소리 스펙트럼] 탭의 사용법을 익히고, 음 높이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다.
    4. SoundWave 프로그램의 [소리발생] 탭을 이용한 맥놀이 관측
    주파수 차가 작은 음들을 이용할 때 관측되는 맥놀이와 진동수 차가 큰 경우의 맥놀이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5. 맥놀이가 일어날 때와 일어나지 않는 경우의 파형을 관측하고 비교한다.
    맥놀이가 생기는 경우, 맥놀이가 생기는 진동수를 구해보도록 한다.
    6. FFT분석을 통해 맥놀이를 일으키는 두 진동수 과 를 구하고 1) 과정에서 구한 맥놀이 진동수와 비교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일반물리학실험 벡터의 합성 예비 결과 레포트 A+ 자료

    목차

    1. 예비보고서
    2. 결과보고서

    본문내용

    실험제목: 포사체 운동 실험

    실험목적
    : 포사체의 포물선 운동을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의 운동으로 나누어 분석해 보고, 이를 통하여 위치에너지와 운동에너지의 역학적 에너지 보존을 확인한다.

    실험기구
    I-CA system
    스크린
    버니어캘리퍼스
    발사장치 및 형광구
    기준자
    발장장치 고정용 클램프

    실험방법
    1. 스크린과 포사체 실험장치를 준비하고, I-CA시스템을 설치한다. 카메라는 구면수차를 감안하여 2~3m 뒤에 설치하고 줌을 조절하여 실험하기 좋은 화면으로 맞춘다. 실험면과 카메라는 직각이 되어야 하고, 특히 X-Y 2차원 실험으로 평면 자체가 기울면 실험에 오차를 줄 수 있으므로 카메라가 수직면에 정확하게 일치하게 설치한다. 이는 카메라 위에 수평계를 올려놓고 수평을 맞추는 것이 확실하고, 수평계가 없을 시 형광구를 떨어뜨려 보아 그 모습을 보고 맞출 수 있다.
    2. 단계를 조절하며 발사해보고 적당한 단계로 실험한다. 대부분 2단계로 한다.
    3. 카메라 세팅이 끝나면, 기준자를 운동면에 놓고 화면을 캡쳐한 후 스케일 및 좌표계를 설정한다. 그림과 같이 기준자를 기준자 꽂이에 위치시키고 파일을 저장한 후 이를 치우고 실험하면 된다. 기준자가 실험면에서 조금 벗어나도 수 %의 오차를 줄 수 있으므로 반드시 실험면에 위치시켜야 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보건교육) 건강증진 모형이론을 적용한 논문 요약 보고서

    목차

    1. 연구의 필요성
    2. 국외와 국내의 호중구감소증 관리지침 현황
    3. Pender의 건강증진모델 이론을 적용하여 간호사 행위 설명
    4. 연구목적
    5. 연구대상
    6. 연구도구
    7. 연구결과
    8. 추후 연구방향과 본 연구의 제한점
    9. 결론 및 제언

    본문내용

    항암화학요법은 암 치료를 위해 세포독성 약물을 사용하는 치료법으로 암 진단을 받은 환자의 절반 이상이 항암화학요법 치료를 받게 된다. 그런데 항암화학요법의 가장 흔한 부작용 중 하나는 골수기능 억제이며, 골수기능 억제는 약물의 용량과 관련되어 나타난다. 고용량 항암화학요법이 1주일 이상 지속되면 심한 호중구감소증을 일으킬 수 있으며, 호중구감소증이 발생하면 감염발생 위험이 매우 높다. 호중구감소증은 절대호중구 수(Absolute Neutrophil Count, ANC)가 500 cells/µL 미만이거나, 1,000 cells/µL 미만이면서 2~3일 이내에 500 cells/µL 미만으로 감소될 것으로 예측되는 경우를 의미한다. 호중구감소증의 심각성에 따라 감염률에 차이가 있는데, 호중구수가 101~500/μL 일 때 감염은 약 20%, 100μL 미만일 때 감염은 약 40%가 발생한다. 따라서 골수기능 장애로 유발되는 호중구감소증은 감염의 선행요인이 되어 암 환자의 임상 결과와 삶의 질에 영향을 줌은 물론 사망에 이르게 할 수 있는 가장 위험한 용량 제한적 독성이다. 이처럼 항암화학요법 관련 호중구감소증을 제대로 관리하지 못하였을 때 환자에 미치는 폐해가 심각하므로 간호사는 감염의 시작을 나타내는 징후와 증상을 관찰하여 적절한 조치를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일반물리학실험 구심력 실험 A+ 레포트

    목차

    1. 예비보고서
    2. 결과보고서

    본문내용

    실험제목: 구심력 실험

    실험목적: 등속 원운동하는 물체에 작용하는 구심력을 측정한다.

    관련 이론
    입자가 일정한 속력으로 원주상을 운동하는 것을 등속 원운동이라고 한다. 이 경우 속도 벡터의 방향은 연속적으로 변화하나 그 크기는 변화하지 않는다. 즉, 질량 인 물체가 반경 인 원주상을 속력 (각속도 )로 등속 원운동을 하려면 회전 지름 상에 있고 중심 쪽으로 향하는 힘이 필요하며 이 힘을 구심력이라 하며 뉴턴의 제 2법칙에 의해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이 힘은 추가 원래의 경로를 유지하려는 가상적인 힘인 원심력의 크기와 정확히 크기가 같으며 방향은 반대이다.

    실험기구
    I-CA system
    구심력 측정장치 세트
    직류전원공급장치

    실험방법
    1. 평평한 바닥에 구심력 실험장치와 카메라를 고정한다.
    2. 카메라가 회전축 중앙에, 구심력 측정장치가 화면에 최대로 들어오게 한 상태로 세팅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 OR실습 ORIF 수술과정 케이스

    목차

    1. 수술 전 대상자 준비상황
    2. 대상자 수술의 문헌고찰
    3. 기구 및 장비
    4. 절차 및 간호
    5. 대상자의 수술 중 간호활동
    6. 대상자의 마취 회복상태 관찰
    7. 참고문헌

    본문내용

    ▶ 대퇴 경부 골절 정의
    – 고관절은 대퇴 골두 및 비구로 이루어진 볼-소켓 모양의 관절로서 체중 부하와 체중 전달의 기능을 가지며 튼튼하고 치밀한 관절막과 비구 순으로 이루어진 안정성이 높은 관절
    – 해부학적 구조로 인하여 대퇴 골두 골절은 후방 탈구 없이 단독으로 발생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고, 대부분 고관절 후방 탈구와 동반하여 발생하는 데 후방 탈구의 5-10%에서 발생
    – 골절은 대부분 고에너지 손상으로서 손상 기전은 교통사고가 가장 잦으며,
    – 레크레이션 활동이 증가함에 따라 이와 관련한 낙상이나 스포츠 손상이 증가하면 그 빈도가 증가
    – 고관절에 심한 손상을 야기하며 예후가 좋지 않은 골절 중 하나
    – 관절낭 내 골절(intracapsular fracture)과 관절낭 외 골절(extracapsular fracture) 구분
    – 관절낭 내 골절: 대퇴 경부 골절
    – 관절낭 외 골절: 전자 간 골절(intertrochanteric fracture)과 전자 하 골절(subtrochanteric fracture)로 구분

    ▶ 원인
    대퇴 경부 골절은 60세 이상의 노년층에서 잘 발생하며, 여자에게서 호발(70-80%)
    손상기전은
    ① 넘어져서 대전자 부위에 직접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
    ② 하지의 외회전에 의한 것
    → 대퇴골두는 앞쪽 관절막과 장대퇴 인대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대퇴 경부가 뒤쪽으로 회전하게 되며 뒤쪽 피질골이 비구에 부딪치게 되어 경부가 부러지며 경부 뒤쪽의 분쇄가 심함.
    ③ 순환적 부하(cyclic loading)에 의한 미세 골절(microfracture)이나 육안적 골절(macrofracture)
    ④ 정상 뼈에서는 문제가 없을 정도의 경미한 염전 손상torsional injury)으로도 골소송증이 있는 뼈에서는 골절을 일으킬 수 있으며 일종의 피로 골절

    젊은 사람의 경우
    ① 심한 외상에 의한 것으로서, 대개 대퇴골간의 축을 따라 직접 힘이 가해져서 발생

    출처 : 해피캠퍼스

  • 일반물리학실험 강체운동 예비 결과 보고서

    목차

    없음

    본문내용

    실험제목: 강체의 공간운동

    실험목적
    1. 경사면과 원주 궤도를 따라 구를 굴려서 구의 회전 운동 에너지를 포함하는 역학적 에너지의 보존을 측정한다.
    2. 포토게이트 센서를 사용하여 구의 최종 속도를 측정한다.
    3. 원주 운동을 하기 위한 최소 출발 고도를 예측한다.

    실험기구
    버너이 데이터 수집 인터페이스, 강체의 공간 운동 실험장치, 로거프로 3 한글 프로그램, 금속 구 = 19mm, 100cm자

    실험방법
    역학적 에너지 보존
    1. 삼각대의 높이를 조절하여 강체의 공간운동 실험장치를 구성한다.
    2. 랩퀘스트 2 인터페이스의 전원을 켜고 포토게이트 센서를 인터페이스의 디지털 채널에 연결한다.
    3. 구슬이 포토게이트가 설치된 위치를 지날 때의 높이를 측정한다. 4. 시작에서의 높이를 측정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 현대생활과 인터넷 U-Healthcare, 시공간제약 없어진 의료IT산업 보고서 과제

    목차

    1. 서비스개요
    2. 핵심기술
    3. 서비스사례
    4. 서비스 현황 및 전망

    본문내용

    최근 인구 고령화, 질병의 조기진단 치료, 예방의학발전 등 패러다임의 급속한 변화에 따른 인간의 기대 수명연장으로 의료서비스 수요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한국 또한 2025년에는 65세 이상의 연령층이차지하는 비율이 25% 이상이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세계 각국의 소득수준 및 생활수준 향상과 의료비 지출이 증가하고 있어서, 이에 따른 고급 의료서비스 수요가 지속적으로 창출되고 있습니다. 특히 의료 서비스의 트랜드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데, 기존 치료 중심에서 건강관리의 개념으로 확대된 신규 시장이 창출되고 있으며, IT관련 기술혁신 및 인프라 확충으로 이를 이용한 U-Health(원격건강 관리) 산업의 대두와 U-Health 의료기기에 대한 수요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이처럼 U-Health는 Ubiquitous Health의 약자로서, IT와 보건의료를 연결하여 언제 어디서나 예방, 진단, 치료, 사후 관리의 보건의료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서비스 시스템 혹은 환경을 의미하는 것으로 의료 서비스가 IT와 결합되어 제공됨으로써 안전성, 효율성, 이용자 중심성, 적시성, 효과성, 균형성 등의 달성을 가능하게 합니다. U-Health 서비스는 활용 영역에 따라 보건의료 기관 내부 연결, 보건의료기관과 기관의 연결, 보건의료 기관과 이용자의 연결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는 예방과 건강 증진, 진료와 사후 관리 목적을 구분하여 유형화 할 수 있습니다. 궁극적으로 활용 가능성이 높은 발전된 형태의 U-Health 서비스는 보건의료 기관과 이용자 간의 직접적 연결

    출처 : 해피캠퍼스

  • 당신이 옳다(정혜신의 적정심리학) 독후감

    목차

    없음

    본문내용

    이 책을 읽으면서 처음에는 나의 가족이나 친구의 치유를 위한 공감의 방법을 알려주는 내용이라고 생각했지만 읽을수록 나의 마음과 감정에 대해서도 돌아보게 되었다.

    저자는 내 고통에 진심으로 눈을 포개고 듣고 또 듣는 사람, 내 존재에 집중해서 묻고 또 물어주는 사람, 대답을 채근하지 않고 기다려주는 사람 한사람이 있으면 사람은 산다고 말한다.

    또한 사람을 살리는 그 한사람 자신은 자신에게도 무한 공감할 수 있어야 하며 자기보호를 잘 하는 사람이어야 하고 자신의 마음과 감정을 잘 알고 스스로를 먼저 공감할 줄 알아야 그 한사람이 될 수 있다고 이야기하고 있다.

    그리고 치유의 원리와 구조를 바탕으로 만든 개념인 ‘적정심리학’에 대해 얘기한다. 정신과 의사인 저자는 예전에는 마음이 아픈 것을 질병으로 보고 환자를 만났었지만 고통의 현장에서 마음이 아픈 사람들의 치유와 회복에 힘써 오면서 ‘공감’이 사람들의 마음을 되살리는 힘이라는 것을 확인했다고 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