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

  • 아동간호학 실습 케이스스터디 / PDA case study

    목차

    1. 질병에 대한 이론적 고찰

    2. 검사결과
    ① Hematology
    ② Blood Chemistry
    ③ ABGA
    ➃ 영상검사 Infantography
    ➄ 진단초음파검사

    3. 약물

    4. 총괄적 소견

    5. 간호계획기록지
    ➀ 우선순위 선정 이유
    1) #1. 폐혈류 증가와 관련된 비효과적 호흡양상
    2) #2. 환아 간호와 관련된 피부통합성 장애
    3) #3. 중심정맥관 삽입과 관련된 감염 위험성
    ➁ 간호과정

    6. 퇴원기록지

    7. 참고문헌

    본문내용

    환아는 2020년 9월 3일 23시 36분에 GA 39+2wks (primigravida)로 fatal TOF, FGR 로 NSVD Induction 으로 본원에서 출생하였다. 해당 환아는 여아이며, 출생시 체중 2690gm, 신장 49cm, 두위 21cm이다. 출생 당시 Apgar score 6점, 8점으로 ectopic anuse, Fetal heart anomaly, cleft palate 수술을 위해 NICU에 바로 입원(23시 40분)하였다.

    9월 3일 항문주위에 피부손상과 vaginal에서 항문까지 점막이 노출되어있음을 확인하고 ectopic anus를 진단 받았다. 9월 11일 13시 51분 cut back anoplasty 수술을 실시하였다. (wt: 2800gm 혈당: 81, 체온: 36.3) 수술 끝난 후 16시에 V/S 59/37-125-35-36.7, SpO2 71%로 SMIV의 ventilator setting을 FiO2: 30%에서 50%로 올렸다. 19시 2분 수술 상처 부위(anus) 관찰 했을 때 박티그라스(반창고)가 빠져있어 NS에게 연락하였다. 또한 9월 18일 2시에 anus에 소량의 stool이 끼여 있었으며 NS에 irrigation하여 관찰 하고 있다. 수술 상처 부위는 기저귀 교환 시 마다 NS 20cc로 세척하고 있다.

    9월 5일 초음파 결과 still no gradient large PDA + 결과가 나왔다. 9시 43분 PICC 17cm 삽입을 시행하였다. 9월 5일 1시 35분 무호흡(20초, 심박동수 42, 산소측정 안됨)이 발생해 강한 자극을 주어 회복하였으며 2시 30분 penbrex 140mg IV, 2시 58분 gentamicin 11mg mix nsicc 4.2cc hr IV를 투약하였다. 7시 구토(7cc milky + 20cc air)를 했다(심박동수 54). 8시 10분 투약을 중지 하였다. 9월 7일 수면시 빠른호흡 (70-90회)가 있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간호관리학 – 마케팅 믹스 아이디어

    목차

    1. 제품전략
    2. 가격전략
    3. 유통전략
    4. 촉진전략

    본문내용

    1. 제품전략
    병원에서 수술을 하면 수술 부위 절개로 인한 상처, 즉 흉터가 발생한다. 절개 부위의 크기가 작으면 흉터가 작게 나지만 수술 범위가 클수록 흉터의 크기도 커진다. 환자는 수술로 자신의 질병을 고칠 수 있어 안도하지만 수술 후 남을 흉터를 걱정한다. 흉터를 없애는 방법은 없지만 우리는 평생 남는 흉터를 최대한 희미하게 만들기 위해 흉터 연고를 통해서 흉터 관리를 한다. 대부분, 사람들은 흉터가 있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 흉터로 인해 짧은 옷을 입기 꺼려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고, 자신의 몸에 흉터가 있어 그 흉터 자체를 보는 것을 싫어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특히 몸을 보여주는 직업을 가진 사람들은 더더욱 흉터를 보여주기 싫어하고 불편해하고 스트레스를 받을 것이다. 이를 보안하기 위해 영*대학교병원에서는 흉터를 가리기 위해 타투를 해준다. 현재 우리나라에선 문신을 의료행위로 보기 때문에, 의료인이 아닌 사람이 문신(타투) 시술을 불법으로 간주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인공지능 기반 효소 예측 기술 DeepEC 발표ppt

    목차

    1. 탐구 목적
    2. AI 합성곱 신경망
    3. 효소 예측 기술 ‘DeepEC’
    4. 의의 및 발전 가능성

    본문내용

    효소 예측 기술 ‘DeepEC’
    효소
    세포의 생화학반응을 촉진하는 단백질 촉매
    효소는 질병연구 및 생명공학연구에 밀접한 관련이 있기에 효소의 이해 및 예측은 유전정보 분석에서 매우 중요

    .산화 환원 효소 – 수소나 산소의 원자 또는 전자를 다른 분자에 전달하는 산화 환원 반응에 관여
    .전이 효소 – 특정 기질에서 다른 기질로 아미노기, 메틸기와 같은 작용기를 옮겨줌
    .가수 분해 효소 – 물 분자를 첨가시켜 고분자 기질을 저분자로 분해
    .분해 · 부가 효소 – 카복시기, 알데하이드기 등의 원자단을 기질 분자에 첨가하거나 기질 분자에서 제거
    .이성질화 효소 – 기질의 분자 내에서 원자의 위치만 바꿔 분자식은 변화시키지 않고 분자 구조를 변형
    .합성(연결) 효소 – 에너지를 사용하여 두 분자를 연결

    C6H12O6+6O2 → 6CO2+6H2O – 발열반응
    6CO2+6H2O → C6H12O6+6O2 – 흡열반응

    효소는 활성화 에너지만 감소시키고 반응물과 생성물의 에너지 차이가 변하지 않기 때문에 반응 엔탈피를 유발하지 않는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인공지능 기반 효소 예측 기술 DeepEC

    목차

    0. 요약

    Ⅰ. 서론

    Ⅱ. 본론
    1. 이론적 배경
    2. DeepEC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몇 년 전부터 이어져 온 기후변화, 연료 고갈 등의 환경 이슈와 더불어 최근의 코로나19와 같은 전염병 이슈까지 세계적인 문제로 떠오르면서 바이오 산업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그중에서도 화이트바이오는 생산 과정에서 탄소 배출량이 비교적 적고, 원료인 식물 등이 이산화탄소를 흡수한다는 장점을 가져 빠른 성장을 이룰 것이라는 전망과 함께 최근 주목을 받고 있다. 미생물, 효소 등을 활용하는 바이오 기반의 산업으로 효소에 대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탐구는 열화학 반응 및 연료에 따른 열효율 탐구 실험을 진행하며 생체 속 열화학 반응에 호기심을 갖게 되어 자료를 조사하던 중 효소가 생체 속 열화학 반응에 관여함을 알게되어 효소의 기능에 궁금점을 갖게 되었다.
    세포 안에는 효소라 불리는 단백질이 존재하는데, 이들은 생화학 반응의 기질에 결합해 생체 촉매로서 생화학 반응의 활성화에너지를 낮춘다. 따라서 이들 생화학 반응을 효율적이며 유기적으로 일으키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효소들이 어떠한 생화학 반응에 관여하는지 정확히 밝혀내는 것은 대사 생화학 연구에서 매우 중요한 연구 주제로 떠오르고 있다.

    <중 략>

    2. DeepEC
    가. DeepEC의 개요
    DeepEC는 카이스트 초세대 협업연구실 시스템을 바탕으로 개발되어 4개의 EC번호와 138만8,606개의 단백질 서열 빅데이터를 학습한 딥러닝 기술이다. EC번호를 예측하기 위해 3개의 합성곱 신경망(Convolutional neural network)을 주요 예측기술로 사용한다. 또 합성곱 신경망으로 EC 번호를 예측하지 못했을 경우 서열정렬(sequence alignment)을 통해서 EC 번호를 예측한다. 단백질 서열의 도메인(domain)과 기질 결합 부위 잔기(binding site residue)에 변이를 인위적으로 주었을 때 DeepEC가 가장 민감하게 해당 변이의 영향을 감지하는 것을 확인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자료] 성인간호학 실습 간경화증(Liver Cirrhosis) Case Study (간호진단2개)(간호과정2개)

    목차

    Ⅰ. 서론
    A. 연구의 필요성
    B. 연구대상 및 방법

    Ⅱ. 본론
    A. 문헌고찰
    1. 병태생리
    2. 위험 및 요인
    3. 임상증상
    4. 진단검사
    5. 치료 및 간호
    6. 합병증

    B. 간호과정
    1. 간호사정
    2. 간호진단
    3. 간호계획
    4. 간호수행
    5. 간호평가

    Ⅲ. 결론 및 제언

    Ⅳ. 참고문헌 및 사이트

    본문내용

    연구의 필요성 : 간은 ‘제 2의 심장’이라 할 만큼 우리 몸에서 각종 대사 작용을 담당하고, 혈액량의 변화에 따라 스펀지처럼 쿠션 역할을 하기도 하며, 또한 중요한 면역기능도 담당하고 있다. 이러한 역할을 하는 간의 질환은 여러 가지 많은 합병증을 가져오게 된다. 이번 case study를 통해서 간경화에 대한 병태생리와 원인 ,종류, 진단적 방법, 치료와 간호에 대하여 학습하고 대상자에게 보다 더 효율적이고 적극적인 간호를 제공하고자 한다.

    <중 략>

    A. 문헌고찰

    1. 병태생리
    간경화란 여러 가지 만성 간질환의 말기 병변으로 염증과 섬유화가 초래되어 결국 간의 기본 구조가 변화되고 간 기능이 상실되는 것을 뜻한다. 간경화의 기본적인 변화는 간세포가 파괴되고 정상조직이 세포의 재생과 반흔 조직으로 대치되는 것이다. 이로 인해 정상 간 실질은 섬유조직에 둘러싸여 결절화 된다. 이러한 변화는 간 구조의 변형과 기능을 상실시켜 간 혈류를 차단시킨다. 그래서 결국 간의 기본 구조가 변화되고 약물과 알코올의 해독, 빌리루빈 대사, 비타민 흡수, 위장관 기능, 호르몬대사 등의 간 기능이 상실된다.
    세계 보건기구는 간경화를 첫째.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간 실질의 손상, 둘째. 섬유조직의 증식, 셋째. 간세포 재생에 의한 결절 형성으로 정의하고 있다.
    ▲정상간 ▲간경변이 일어난 간

    우리나라에서 만성 간질환, 간경변증으로 인한 사망률은 인구 10만명당 22명으로, 일본 13.2, 미국 9.5, 캐나다 6.8명에 비해 매우 높은 수준이다.

    2. 원인 및 위험요인
    간경화는 여러 가지 요인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발생하는데, 간의 이상으로 인해 이차적으로 발생되거나 간외성 담즙정체(cholestasis), 바이러스성 간염, 기타 간독성 물질(약물, 화학물질)에 의해 발생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수돗물과 여러 위생용품 간의 세균 제거 효과 비교

    목차

    0. 요약

    Ⅰ. 서론
    1. 동기
    2. 문제 제기
    3. 예상 결과

    Ⅱ. 본론
    1. 이론적 배경
    2. 해결과정
    3. 결과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요약

    최근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가 급격하게 확산됨에 따라 감염병 예방을 위한 손 청결 유지의 중요성이 다시 한 번 강조되고 있다. 부적절한 손 위생은 감기를 넘어선 여러 감염의 매개로 꼽힌다. 손 위생을 관리하는 것만으로도 감염병의 70%를 예방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 또한 있다. 따라서 본 탐구를 통해 수돗물, 일반 비누, 알코올 손 소독제, 위생물티슈를 이용한 손 세정 결과를 비교하여 그 세균 제거 효과의 차이를 토대로 보다 효과적인 손 세정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중 략>

    Ⅰ. 서론

    1. 동기

    최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가 급격하게 확산됨에 따라 전파 차단을 통한 감염병 예방을 위한 손 청결 유지의 중요성이 다시 한 번 강조되고 있다. 치료제와 백신이 아직 개발되지 않은 현 상황에서는 감염병 확산 예방을 위해 이러한 개인위생 습관이 더욱 중요해진다. 하지만 충분한 시간 동안 손을 씻지 않거나 손 세정에 수돗물 또는 물티슈만을 이용하고 손바닥 면만을 짧은 시간 동안 씻는 등, 국제적으로 또는 국가에서 권고하는 올바른 손 위생 관리를 잘 실천하지 않는 모습이 학교와 학원 등 주변에서 흔히 보여 의문이 들었다. 실제로 2019년 중 질병관리청에서 조사한 청소년건강행태조사 연구 결과보고서에 따르면, 식사 전 손 씻기를 실천한 청소년의 수는 남학생 55.3%, 여학생 40.5%로 전체의 절반가량밖에 되지 않았다.¹⁾ 또한 2019년 지역사회 감염병 예방 행태 실태조사에 따르면 용변을 본 후 손을 씻는지에 대해 2,000명을 관찰 조사한 결과, 대상자의 63.6%인 1,271명만이 손을 씻었으며, 그 중 62.5%가 비누를 사용하지 않았다.

    출처 : 해피캠퍼스

  • 가족 기능의 정상화에 미치는 요인들을 기술하고, 바람직한 특수아 가족의 기능에 대해 논의하세요.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사회구조 변화와 가족기능
    2. 경제적 상황과 가족안정
    3. 문화적 가치와 가족 역할
    4. 특수아 가족의 도전과 기능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가족이란 개념은 사회구조의 핵심적인 요소로 자리잡고 있으며 중요성은 개인의 웰빙을 넘어 사회전체의 안정성과 진보에까지 크게 작용합니다. 본 리포트는 가족의 기능을 정상적으로 유지하는데에 주요하게 영향을 끼치는 다양한 요소를 분석하고 특별히 특수아동을 키우는 가족이 직면하는 고유한 도전과 그들의 가족기능에 대해 심도있는 논의를 이어갈 것입니다.

    가족기능이란 개념은 가족간의 상호작용, 의사결정 과정, 감정적인 지지체계, 경제적인 지원 등, 가족구성원 간의 다양한 상호작용을 포괄합니다. 이같은 가족기능은 가족구성원의 정서적 안정감과 성장에 필수적이며 더욱이 건강한 사회구조를 유지하는데에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합니다. 그러나 현대사회에서의 빠르게 변화하는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환경은 가족기능에 다양한 도전을 던지고 있습니다.

    이같은 도전은 특수아동을 키우는 가족에게 더욱 복잡하고 어려운 문제로 다가옵니다. 특수 아동을 키우는 가족은 일반가정에 비해 추가적인 감정적, 경제적, 사회적 부담을 겪을 수 있으며 가족구성원간의 관계와 그들의 가족기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를 근거로 본 리포트는 이같은 도전을 인지하고 특수아동을 키우는 가족의 가족기능을 강화하는데 필요한 지원과 전략에 대해 심도있게 논의해 볼 것입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정신간호 과제 A+] '세상 끝의 집' 간호과정

    목차

    1. 세상 끝의 집: 마음의 언덕 1부 시청 후 작성
    2. 세상 끝의 집: 마음의 언덕 3부 시청 후 작성

    본문내용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1. 진단명 : 사회공포증, 주요우울장애
    2. 사람을 쳐다보지 못함
    3. 항상 긴장한 모습이 보임
    4. 말을 전혀 하지 못함
    5. 잠도 자지 못하는 모습이 관찰됨
    6. 주변에서 발생한 작은 소리에도 매우 민감하게 반응함

    간호진
    단 공황수준의 불안과 관련된 사회적 고립

    목표
    단기
    대상자는 일주일 내에 신뢰하는 직원과 치료적 프로그램에 참여한다.
    장기
    대상자는 3개월 내에 자발적으로 치료적 프로그램에 참여한다.

    간호계획/중재
    간호계획
    1. 짧고 빈번한 접촉을 통해 수용적 태도를 전달한다.
    2. 무조건적 긍정적 관심을 보인다.
    3. 집단치료 참여를 두려워하는 경우 직원이 함께 참여한다.
    4. 환자가 타인과 자발적인 상호작용을 했을 때 인정과 긍정적 강화를 제공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성인간호실습, SAH 케이스 스터디

    목차

    1. 서론
    –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연구기간 및 방법

    2. 본론
    – 문헌고찰(원인, 병태생리, 증상 및 징후.진단, 치료, 간호, 합병증관리)
    – 간호력, 사회적 및 병력 상태, 계통별 신체 사정, 낙상/욕창 사정, 임상관찰, 입원경과)
    – 진단적 검사(혈액검사 및 영상검사)
    – 투약
    – 간호과정 (간호진단 3개 및 간호중재)

    3.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본 연구의 대상자는 00세 여자로, 11월 19일 두통을 주호소로 응급실로 내원하였다가 SAH 진단받은 후, 코인색전술을 시행하였다. 시술 후, 환자는 지속적으로 심한 두통을 호소하고 있으며 뇌압이 점점 상승함에 따라 여러 후유증의 위험이 있으며, 억제대와 말초혈관 손상으로 인한 피부통합성장애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이 환자를 사례연구 대상자로 선정하여 지주막하출혈과 그 환자에 대한 간호과정을 적용하고자 한다.

    2. 연구기간 및 방법
    – 본 연구는 ~동안 SICU에 입원하여 Subarachnoid hemorrhage 진단 받은 61세 여자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실습 도중 사정한 자료들을 바탕으로 하여 성인간호학, 약리학, 기본간호학과 같은 전공서적들을 함께 참고하여 대상자에게 필요한 간호과정에 대해 탐구해보았다.

    Ⅱ. 본론
    √ subarachnoid hemorrhage
    1. 문헌고찰
    1) 원인
    – 두 개 내 동맥류는 선천성, 외상성, 동맥경화성 변화로 발생하며, 두 개 내 동맥류의 파열이나 균열로 일어나며 윌리스 환에 생긴 동맥류의 파열이 가장 큰 원인

    ① 고혈압
    뇌출혈의 약 75%가 고혈압에 의해 약한 뇌혈관의 부분이 터지면서 발생. 장기간 고혈압에 노출되면 혈관에 변화가 생기고 긴장, 과로 등으로 혈압이 상승하게 되면 혈관이 견디지 못하고 터짐
    ② 뇌동맥류
    동맥경화, 양성종양, 선천성 뇌혈관 벽 이상 등에 의해 혈관이 막히는 색전, 외상, 균사체에 의한 혈관염 등으로 발생
    ③ 뇌동정맥기형
    선천적 발달이상으로 동맥이 모세혈관을 거치지 않고 바로 정맥으로 연결되는 기형. 뇌에 주로 발생하여 간질 발작이나 뇌출혈과 같은 문제를 일으킴

    출처 : 해피캠퍼스

  • 아동간호실습 케이스 스터디(RDS_신생아호흡곤란증후군)

    목차

    1. 서론
    –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대상자 선정 동기

    2. 본론
    – 사례아동과 정상 신생아 비교
    – 정의, 병태생리, 진단, 증상, 치료 및 간호
    – 간호사정 (일반적 정보 및 간호력, Apgar score, New ballard score, 신체 계측, I&O, 신체 사정, 임상관찰, 입원경과)
    – 진단검사
    – 투약
    – 간호진단 2개에 따른 진단적,교육적,치료적 중재
    (미성숙한 폐기능과 관련된 비호율적 호흡양상,모아 분리와 관련된 애착장애 위험성)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NICU를 가니, 그동안 갔던 성인실습과는 다르다고 느껴졌다. 가장 크게 차이점을 느낀 부분은, 아기는 신체적, 정신적 고통을 호소할 수 없기 때문에 빠르게 문제를 사정하여 중재해야 한다는 점이었다. 또한 대부분은 미숙아가 많기 때문에 정상적으로 발달하여 성장하도록 도와야 한다는 것이었다. 그래서 이번 아동실습에서는 아동이 입원생활을 실제로 보고 느끼고, 만나보면서 그들이 직면한 문제점이 무엇인지 피부로 느끼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이 사례 연구의 환아는 신생아호흡곤란증후군을 진단 받았으며 산소투여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호흡곤란을 호소하고 있다. 신생아 호흡곤란증후군은 상대적으로 폐의 기능적 분화가 미약한 신생아들에게서 많이 나타나는 질환이다. 호흡곤란증후군에서 호소하는 지표들을 사정하여 문제를 파악하고 신생아가 겪는 애착문제를 간호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호흡 곤란 증후군을 갖고 있는 이 환아가 갖는 위험요인은 무엇인지,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간호과정에 적용하여 적절한 간호중재를 제공하고자 한다.

    2. 대상자 선정 동기
    : 본 사례연구의 환아는 제태 36주에 C/S로 태어난 신생아로, 출생 후 2L/min O2 hood 적용 중에도 tachypnea, chest retraction 가 호전되지 않았다. 약물과 인공호흡기 치료를 통해 적절한 산소화와 환기를 시켜주어야 한다. 동시에, 치료 중 발생할 수 있는 기흉이나 폐기종을 면밀히 관찰하며 합병증을 예방하며 아기가 정상적으로 발달하며 자랄 수 있도록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신생아기에 이뤄져야 하는 부모와의 애착이 부족하므로 이를 충족시키는 과정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환아가 직면한 신체적인 건강문제를 완화할 뿐 아니라 퇴원 후에도 정상발달 하도록 하는 교육이 중요할 것이라고 파악하였다. 따라서 합병증을 예방하면서 호흡곤란증후군을 완화하면서 아기의 심리적인 문제까지 간호과정에 어떻게 적용시킬 수 있을까 라는 질문을 시작으로 대상자를 선정하게 되었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