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

  • 영화 서울의 봄 감상문

    목차

    없음

    본문내용

    역사적 관점은 난 모르겠고 영화를 보고 느낀 점만 적어보겠다. 군사 쿠데타를 주제로 한 영화이다. 사실 박정희가 암살 당하고 긴급하게 벌어진 일을 다룬 실화를 바탕으로 한 영화인데 참 권력욕이 무섭구나 하는 생각도 들면서 배우들의 연기가 안정적이라서 볼 맛이 났다고 생각한다.

    이 영화를 보고 하나회라는 군사 조직을 처음 알았는데 이게 이렇게 심각한 조직인 줄은 몰랐다. 나중에 김영삼이 없앤 것으로 유명한데 아무튼 전두광이 반란을 도모한 것도 성공한 것도 전부 하나회의 덕이었다. 12.12는 역사적 사실이지만 실제 모티브인 전두환의 입장도 이해는 된다.

    박정희도 했는데 자기라고 못하랴. 그리고 박정희가 죽고 중앙정보부가 완전 마비되자 자기가 정보를 다 알게 되면서 여기서 고꾸라지면 말단 군인, 좌천이라는 것도 느꼈을 것이다. 당시 대통령은 최한규, 최규하 대통령에게 승계되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아동간호학실습 신생아 패혈증 case study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2. 문헌고찰

    Ⅱ. 본론
    1. 간호사례
    2. 간호문제 목록과 간호진단
    3. 간호과정
    4. 퇴원요약지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1.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Neonatal Sepsis(신생아 패혈증)는 전 세계적으로 신생아기 사망률의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조기 발견과 진단으로 적절한 치료를 시행하지 않으면 중증 패혈증, 패혈증 쇼크, 다발성 장기부전 및 사망으로 진행할 수 있다. 따라서 Neonatal Sepsis 환아의 증상을 사정하고, 그 증상에 따라 적절한 치료를 통해 합병증을 막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따라 사례연구를 통해 Neonatal Sepsis의 정의, 원인, 치료 등에 대해 알아보고 환아에게 적합한 간호과정을 적용하고자 한다.

    2. 문헌고찰
    1) 정의
    Neonatal Sepsis(신생아 패혈증)는 혈류의 박테리아 감염으로 전신증상을 나타내며 주요 장기에 장애를 유발하는 질병이다. 신생아는 식균작용의 손상, 화학주성 반응의 지연, IgA와 IgM의 저하 또는 부재, 보체 수치의 감소와 같은 비특이적, 특이적 면역이 저하되어 있어 감염에 취약하다. 병원체에 대한 부적절한 반응으로 감염을 조기에 인식할 수 있는 국소적인 염증반응이 없으며, 증상은 뚜렷하지 않고 비특이적이어서 진단과 치료가 지연되기 쉽다.
    패혈증으로 인한 사망률은 감소되었으나 이환율은 변하지 않고 있다. 고위험 신생아의 경우 정상 신생아보다 이환율이 4배 이상 높고, 남아의 감염 빈도가 여아보다 2배 이상 높으며 사망률도 높다. 패혈증의 빈도는 출생아 1,000명당 1~5명이다.

    2) 원인 또는 유발요인
    Neonatal Sepsis(신생아 패혈증)는 출생 전이나 출생 중에 감염된 양수를 마시거나 흡인한 경우, 모체 혈류가 태반을 통해 유입된 경우, 산도를 통과하는 동안 모체 조직에 직접 접촉되어 발생한다. 박테리아는 제대 절단면, 피부, 눈, 코, 인두, 귀의 점막, 호흡기계, 신경계, 요로계, 위장관계 등의 내부 장기로 침투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원씽 독후감

    목차

    없음

    본문내용

    솔직히 이렇게 제목부터 단편적이고 그런 내용의 책을 그다지 좋아하진 않는다. 학교 지정 도서이기도 해서 그냥 읽었다. SMART 전략은 그다지 새로운 전략은 아니다. 목표를 정하는 아주 기초적인 방법 중의 하나이다. 구체적, 측정 가능하게 이런 것들은 중요한 원칙 중 하나이다.

    일을 바쁘게 한다면 원씽 이 책에서 제시하는 계획 실천법을 한 번은 써봄직하다는 생각도 든다. 지독하게 일이 많다면 말이다. 일을 할 때는 내가 지금 하고 있는 것, 자주 반복적으로 하는 것과 중요한 것을 분리하라고 했다. 이것도 일을 함에 있어서 중요 원칙이며 새로운 내용은 아니다.

    목표는 구체적이고 어쩌고 SMART전략을 이야기했는데 저자는 목표의 크기가 커야 한다고 했다. 이건 맞다. 물론 작은 목표를 실천, 실현 시키면서 작은 쾌감을 쌓아가는 과정도 분명 쌓여야 하고 중요한 작업이나 결과적으로는 최종적인 거대한 목표 하나 정도는 있어야 계속 노력할 수가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역행자 독후감

    목차

    없음

    본문내용

    거의 종교처럼 신봉자들이 블로그나 어디나 댓글을 남기는 걸 많이 봤는데 솔직히 뻔하고 대단한 건 전혀 없다. 요즘 유행하는 나는 부자가 됐다고 먼저 홍보하고 책, 유튜브로 나중에 진짜 부자가 되는 그런 패턴의 인물 같다. 이런 류의 책의 시조가 이지성이라던지 이미 많이 있었다.

    그들의 성공을 추종한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든다. 경제적 자유라는 달콤한 말을 쓰고 무무의식 이런 말은 왜 하는 것일까. 이걸로 진짜 부자가 됐다고 떠들고 양심이 있다는 소릴 듣고 싶은 걸까. 자신의 정체성을 바꿀 수 있는 건 맞는 말이다. 하지만 그것과 경제적 자유와 어떤 관련이 있나.

    유전자 얘기까지 했으니 이지성은 가볍게 뛰어넘은 거 같다. 그 조차도 성공을 논했지 돈 가지고 얘기한 적은 없다. 요즘은 이런 식으로 책도 쓸 수 있구나 아주 기가 차다는 생각도 든다. 내가 유전자가 제대로 작동하고 있나 파악하라니 이게 무슨 소리인가. 웃기지도 않다. 재미도 없다.

    출처 : 해피캠퍼스

  • 간호관리, 윤리적 의사결정, 갈등해결, 사례연구보고서 2가지, A+, 피드백수정

    목차

    윤리적 의사결정
    ① 사례
    ② 윤리적 문제 규명
    ③ 상황 규명
    ④ 지식확인 (윤리이론과 원칙)
    ⑤ 윤리적 의사결정 및 활동
    ⑥ 참고문헌

    문제해결과정 (협력과제)
    ① 사례
    ② 간호관리 진단
    ③ 갈등의 원인
    ④ 갈등관리방안
    ⑤ 갈등해결을 위한 행위, 결과
    ⑥ 문헌고찰

    본문내용

    ① 사례

    실습 3일째 수술을 다녀온 후 회음부 쪽 통증을 호소하시는 대상자분이 계셨다. 대상자는 사고로 팔이 부러져 양쪽 팔의 뼈의 위치를 맞추고 철심을 박는 수술을 한 대상자였다. 대상자의 수술 시간이 예정보다 길어져 수술 중 유치도뇨를 실시하였는데 수술 전 수술예상시간이 짧아 유치도뇨 실시에 대한 설명은 없었다. 하지만 예상보다 수술 시간이 길어져 수술 도 중 유치도뇨를 실시하게 되었는데, 수술이 끝나고 나서 대상자가 통증을 호소하자 그때가 되어서야 대상자에게 유치도뇨를 실시한 사정을 말하였다.

    ② 윤리적 문제 규명
    – 대상자에게 사전 설명 없이 유치도뇨를 실시하였다. 유치도뇨를 함에 있어 사전 설명과 사후 설명이 없는 것이 윤리적으로 문제가 된다.

    ③ 상황 규명
    – 간호사: 대상자에게 수술 전 만일의 상황에 대해 설명해야 할 사항을 설명하지 못했으며, 수술 후에도 수술 중 실시 되었던 치료적 행위에 대해 미리 말해 주지 못하였다.

    – 대상자: 수술과 아무런 관련 없는 회음부에 통증이 있어 간호사에게 질문을 하니 자신에게 설명 되지 않은 의료적 행위가 실시 된 것을 수술 후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알게 되었다.

    ④ 지식확인 (윤리이론과 원칙)
    ▶ 윤리이론
    1) 의무론 (deontology)- 칸트
    : 행위자에게 초점을 두되 행위자가 본인의 의무를 다하고 있는가에 여부를 두어 판단.

    → 간호사는 수술 이 끝난 대상자에게 수술 중 일어난 유치도뇨에 대해 대상자에게 설명하고 대상자가 모르고 있는 사실에 대해 말해 주어야 할 의무가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정신간호학 PTSD 영화대본

    목차

    1.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2. 영화 줄거리 (폴 아웃(The fall out,2022))

    3. 치료적 의사소통으로 대화 재구성
    1)#1. 총기 사건 이후, 방에서 처음 나와 가족들이랑 대화하는 장면
    2)#2. 친구랑 같이 총격 사건 이후, 밖에서 밥 먹으면서 얘기하는 장면
    3)#3. 베이다가 처음 심리상담을 받는 장면
    4)#4. 베이다가 처음 심리상담을 받는 장면
    5)#5 마트 주차장 차 안에서 엄마, 동생과 대화하는 장면
    6)#6. 베이다가 처음 학교 갔다가 집에서 저녁 먹으면서 가족들과 대화하는 장면
    7)#7. 베이다가 말도 없이 친구 집에서 외박하고 들어와서 아침에 가족들이랑 대화하는 장면
    8)#8. 미아네 집에서 놀다가 들어와서 부엌에서 엄마랑 얘기하는 장면
    9)#9. 친구 닉이랑 얘기하는 장면
    10)#10. 동생이랑 밤에 침대에 같이 누워서 얘기하는 장면
    11)#11. 아빠랑 드라이브하다가 들판에 앉아서 얘기하는 장면
    12)#12. 상담사랑 상담하는 장면

    본문내용

    1.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는 사람이 전쟁, 고문, 자연재해, 사고 등의 심각한 사건을 경험한 후 그 사건에 공포감을 느끼고 사건 후에도 계속된 재경험을 통해 고통을 느끼며 거기서 벗어나 기 위해 에너지를 소비하게 되는 질환으로, 정상적인 사회생활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게 된 다.

    2. 영화 줄거리 (폴 아웃(The fall out,2022))
    베이다는 학교 화장실에서 미아와 대화하던 중 총격 소리를 듣고 숨어있는데, 퀸튼의 동생이 총에 맞으면서, 퀸튼의 옷에 피를 묻힌 채 화장실로 들어오고. 숨어있는 베이다와 미아와 맞 닥뜨린다.
    이 사건을 계기로 베이다는 가족과 친구, 세상과의 관계를 새롭게 바라보게 되고 학교에 가지 못한 채 미아와 인스타를 한다.
    베이다는 미아의 집을 찾아가는데, 미아의 부탁으로 불면증에 시달리는 미아가 잠이 들 때까지 함께 있어 주고, 집으로 돌아온 베이다 역시 악몽에 시달리면서 잠에서 깬다.
    악몽에 시달리는 베이다는 심리상담도 받고 학교에 가지만, 적응하지 못하고 술 마시고, 마약을 하는 등 방황을 한다.
    베이다는 미아네 집에서 잠을 자고 외박하는데, 지금까지 와는 다른 방향으로 자신의 삶을 바꿀 모험들을 한다.
    베이다는 퀸튼을 만나 조심스럽게 동생에 관해 묻는데, 퀸튼은 동생에 대한 추억을 이야기한 다. 퀸튼은 동생에 대해 이야기하고 싶어도 자신을 울까 봐 사람들이 묻지 않는다고 얘기를 하는데, 베이다는 퀸튼에게 언제든 나한테 이야기해도 된다고 말을 한다.
    베이다는 아빠와 산에 올라가 쌓인 감정을 소리 내면서 드러내고, 심리상담을 하면서 자신의 솔직한 감정을 이야기한다.
    그리고 핸드폰의 뉴스 속보에서 총기 사건에 대한 뉴스를 접하고, 다시 트라우마를 경험하는 베이다를 보여주며 영화는 끝이 난다.

    3. 치료적 의사소통으로 대화 재구성
    #1. 총기 사건 이후, 방에서 처음 나와 가족들이랑 대화하는 장면
    ∙탐지 → 관찰한 바를 말하기

    출처 : 해피캠퍼스

  • [A+ 자료] 조기진통(preterm labor) 산모 케이스스터디 (간호진단 6개, 간호과정 3개)

    목차

    Ⅰ. 임상자료 수집 (Gathering Clinical Data)
    Ⅱ. 비정상 자료 목록 (abnormal data list)
    Ⅲ. 환자문제의 초안 (관련 자료 묶음)
    Ⅳ. 간호진단 목록 (Nursing Diagnosis list) 확정
    Ⅴ. 개념도 (Concept Care Maps)
    Ⅵ. 간호계획, 수행, 평가
    Ⅶ.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임상자료 수집 (Gathering Clinical Data)
    ❏ 면담 일시 : 2023.10.09.(월)~2023.10.10.(화) 면담 장소 : 81병동 면담대상자 : OOO
    ❏ 일반적 정보
    이름: OOO 나이: 38세 입원: 2023년 9월 28일 수술: X
    결혼상태: 기혼 O 미혼 동거 이혼 교육정도: 대졸 종교: 무교 본인직업: 확인하지 못함 간호날짜
    2023.10.10.
    환자 성명
    OOO
    나이
    38세
    성장과 발달
    성인기
    성별

    입원날짜2023.09.28.
    * 의학 진단명:
    [주] Supervision of high-risk pregnancy,
    unspecified
    [부] Antenatal care for high risk pregnancy with
    elderly primigravida
    [부] Preterm labor without delivery 22~34 weeks
    pregnant
    [부]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 입원 사유
    – 입원하게 된 이유를 설명하시오
    C/C: GA 27/5wks c pain
    Known FGR, Known GDM, Known subclinical hypothyroidism, Known Elderly
    Known prev. illness 있으며
    (10/10 기준) IUP 29+3wks인 환자로
    평소 여성아이병원에서 진료 보시는 분으로 매일
    저녁 progesterone 질정제 사용하고 계시고

    출처 : 해피캠퍼스

  • [A+ 자료] 뇌출혈(지주막하출혈) 환자 케이스스터디 (간호진단 7개, 간호과정 7개)

    목차

    1. 임상자료 수집 (Gathering Clinical Data)
    2. 비정상 자료 목록 (abnormal data list)
    3. 환자문제의 초안 (관련 자료 묶음)
    4. 간호진단 목록 (Nursing Diagnosis list) 확정
    5. 개념도 (Concept Care Maps)
    6. 간호계획, 수행, 평가
    7. 참고문헌

    본문내용

    * 의학 진단명:
    [주] Subarachnoid hemorrhage, middle cerebral artery 지주막하출혈, 중대뇌동맥
    * 입원사유(History of present illness)
    1) 입원하게 된 이유: C/C: mental change
    #HTN #DM
    Known above prev. illness인 non-alcoholics, non-smoker로 2023.10.20. PM5:30부터 지인과 함께 있던 중 PM7:00 이상한 소리 내면서 이상한 모습 보여 보호자가 119에 신고함. 이후 환자가 다리쪽에 힘이 안들어간다고 호소하였으며 환자 mental 더 처지는 모습 모였다고 함. LNT (Last Normal Time)
    – PM6:30 FAT (First Abnormal Time)
    – PM7:00
    2023.10.20. image w/u상 ICH(70cc 이상), SAH d/t Rt. MCBIF an. rupture, 4th ventricle ICH 소견 보임. 응급수술로 EVD 시행 후 NSICU 입원함. 2023.11.06. 기준 HOD #18, POD #14

    출처 : 해피캠퍼스

  • 급성심부전 Acute heart failure(AHF)케이스 스터디 간호진단, 간호과정3가지(가스교환장애, 심박출량감소, 수면양상 장애)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p

    Ⅱ 문헌고찰
    1)심부전의 정의 (3p)
    2)심부전의 병태 생리(3~4p)
    3)심부전의 원인(4p)
    4)심부전의 증상 (4p)
    5)심부전의 진단방법(4~5p)
    6)심부전의 치료(5~6p)
    7)심부전의 간호(6~7p)

    Ⅲ 간호과정
    1)간호사정 (8~24p)
    2)간호진단 (25~27p)
    3)간호계획 및 간호 평가 (28~30p)

    Ⅳ 결론 및 평가 (31p)

    Ⅴ 참고문헌 (32p)

    본문내용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목적)
    심부전이란 심장의 구조적 또는 기능적 이상으로 인해 심장이 혈액을 받아들이는 이완 기능이나 짜내는 수축 기능이 감소하여 신체 조직에 필요한 혈액을 제대로 공급하지 못해 발생하는 질환이다. 심부전의 이환율과 유병율은 계속 증가하고 있는데, 이는 인구가 노령화되고 의학적 지식이나 기술은 발전함에 따라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및 관상동맥 질환 환자가 과거보다 오래 살게 되는데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심부전의 예후는 좋지 않아서 심부전 발생 후 평균 5년 생존율은 남자 35%, 여자 50%정도로 낮다. 그러므로 심부전 환자에게 적절한 간호를 제공하여 대상자의 안위를 도모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게 되었다.

    2. 문헌고찰
    1) 정의
    심부전은 인체가 휴식하거나 운동할 때 필요한 대사요구를 충족시킬 만큼 충분한 혈액을 심장이 펌프해 내지 못하는 상태를 말한다. 심장의 펌프능력부전은 혈류량이 정상인데도 심장질환이나 심장 구조이 이상이 있을 때 또는 혈류량의 급격한 증가나 감소 등으로 발생한다.

    2)병태 생리
    ①전부하의 증가
    전부하란 심실수축 직전의 심실근육섬유의 길이로 이왼기말 심실압력이나 심실혈류량을 나타낸다. 심근섬유의 길이가 증가하면 심실압력이나 심실혈류랑이 증가하여 전부하가 증가한다. 전신에서 심장으로 들어오는 정맥혈의 양이 많아지면 심근섬유는 늘어나 수축력이 증가한다. 이를 starling의 법칙이라 한다. 그러나 고무줄이 너무 당겨지면 탄력성을 잃고 늘어지는 것과 마찬가지로 심근섬유도 생리적 한계를 넘어 과도하게 늘어나면 수축력이 감소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낙상 예방 개선 활동 QI 보고서, 간호관리학실습, 낙상 예방

    목차

    1. Find-Organize 문제 선정 및 배경 & 팀 구성
    2. Clarify-Understand 문제 해결을 위한 원인 및 영향 요인 분석하기
    3. Select 목표 설정하기
    4. Plan 수행전략 수립하기
    5. Do-Check-Act를 위한 구체적 계획

    본문내용

    1. 사업의 배경

    낙상은 의료기관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사고의 하나이며 의료기관은 어느 곳이나 낙상이 빈번하게 일어날 수 있는 위험한 장소이다. 외국의 경우 의료기관의 낙상 발생률은 3.1% 등 대체로 2~10% 정도로 병원에서의 낙상 위험성 관리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60세 이상 노인에게서 낙상 발생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관련 자료에 의하면, 병원 내 낙상사고가 일어나는 곳으로 침상(61.3%)이 가장 흔하고, 그 외 병실(12.9%), 화장실(12.9%), 복도 순이었다. 환경적인 면에서는 낙상 재교육, 보조 난간 설치를 한 경우에 낙상 경험이 낮았고 낙상 경험은 연령, 낙상 과거력, 우울 상태, 의사소통 장애, 투여 약물, 만성질환, 배뇨상태와 낙상 위험 총점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해당 병동인 XX병동은 단기 병동이자 연구 병동으로 병상 회전율이 높다. 주진료과는 안과, 이비인후과, 치과, 마취통증의학과이다. 주진료과들의 특성상 안대와 귀 드레싱 등을 적용한 환자들의 수가 많았다. 또한, 수술과 검사로 인한 여러 카테터와 정맥수액요법을 적용 중인 환자들의 수도 많은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요인들은 모두 낙상의 위험을 증가시키는 요인들로 주의하지 않는다면 낙상 사고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지속적인 환자 교육과 낙상 예방 체크리스트 실행 등의 예방 활동을 통해 낙상사고 발생률을 줄이고자 한다.

    2. 문제의 개요

    낙상사고의 발생 건수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추세이고, 낙상사고로 인해 발생한 환자 피해정도가 심하다. 이에 연간 낙상사고 발생률을 전년 대비 발생률의 40% 이하로 감소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지속적인 환자 교육, 낙상 예방 체크리스트 작성, 병실 내 리플렛 배치 등의 낙상 예방 개선 활동을 시행하고, 낙상 고위험 환자를 조기 관리하여 환자 안전을 증진시키고자 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