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

  • 간호관리A+_질향상활동_QI활동보고서_올바른손위생

    목차

    1. 주제 선정 이유———————————–p.2
    2. 용어 정의—————————————–p.2
    3. 개선의 필요성————————————p.3
    4. 서12 병동 손위생 수행률———————–p.5
    5. 개선 전략—————————————-p.5
    6. 기대 효과—————————————-p.11
    7. 결론/마무리————————————-p.12
    8. 참고문헌—————————————–P.14

    본문내용

    <올바른 손 위생>
    주제선정
    이유
    병원감염 발생은 미생물의 직접 접촉에 의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환자와 잦은 접촉을 하는 의료진뿐만 아니라 환자간의 교차 감염 발생이 쉽게 일어날 수 있는 조건을 형성하고 있다.
    올바른 손씻기는 감염 예방의 가장 기본이 되는 수단으로 감염 전파를 차단시키는 가장 경제적인 방법이자 손으로 전파될 수 있는 의료관련 감염 등과 같은 병의 약 70%를 예방할 수 있으며, 표준주의의 핵심으로 효율적인 감염관리 방법이다.

    -는 OS 병동으로 수술 환자의 평균 연령이 높은 만큼 감염 발생에 대한 예방이 더욱 중요하므로 미생물의 주된 전파원인 손을 통한 병원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손위생 수행률을 4분기별로 지표 결과를 산출하여 직원뿐 아니라 보호자, 환자에게 배포하여 준수하도록 함으로써 병원감염의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간호 실습학생의 시선을 넘어 간호관리자의 눈으로 환자들의 입원생활과 안전문제들을 고려해보고 미생물의 주된 전파원인이 되는 손을 통한 병원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환자의 안전뿐만 아니라 병원에서의 감염률을 줄이고 병원 내원객과 직원을 감염으로부터 보호하고자 한다.
    용어정의
    ▖손위생(hand hygiene)
    장갑 착용과 관계없이 혈액, 체액, 분비물, 배설물, 오염된 기구를 만지고 난 다음에 다른 환자나 환경에 미생물을 전파시키는 것을 피하기 위해 비누나 손소독제를 이용하여 손을 씻는 것을 말한다.

    ▖손씻기(hand washing)
    손을 씻는 것을 말하며, 피부 상재균을 감소시키고 일시적 오염균을 제거한다. 일반비누나 항균비누와 물을 이용하여 손을 씻는 것을 말한다.

    ▖물 없이 적용하는 손소독(antiseptic hand rubbing)
    물 없이 손을 문지르는 피부소독제를 적용하여 미생물을 감소시키거나 성장을 억제하는 방법이며, 물 없이 적용하는 손소독 후에 손을 씻거나 타올을 이용한 건조 등의 방법이 필요하지 않다.

    ▖외과적 손위생(surgical hand antisepsis 혹은 surgical hand preparation)
    피부 상재균을 감소시키고 일시적 오염균을 제거하기 위하여 수술이나 시술 전 피부소독제를 이용한 손씻기나 물 없이 적용하는 손소독을 말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폭력위험성, 사회적 상호작용 장애 간호진단및 간호과정

    목차

    1. 부적절한 충동조절과 관련된 폭력위험성
    2. 비소통적인 태도와 관련된 사회적 상호작용 장애

    본문내용

    7. 정신 간호과정(#1)
    사정
    주관적 자료
    “선생님 나 화나면 어떻게 되는지 모릅니까? 다 죽습니다.”

    “내가 예전에는 스스로 조절이 안되서 소리도 지르고 물건도 집어던지고 그랬어요.”

    “거기 너무 시끄러우니까 조용히 하세요. 나한테 혼날래요?”

    “스트레스 받으면 가끔 혼잣말을 하고 가만히 못 있겠어요. 스스로 통제가 안될 때가 있죠.”

    객관적 자료
    1. 선생님께 주먹을 쥐며 위협을 가하는 모습 관찰됨.

    2. 스트레스 상황에서 안절부절 못하시고 표정이 점점 굳어가심.

    3. 과거에 소리를 지르시며 가족에게 폭력적인 성향을 드러내신 적이 있음.

    4. 책을 읽고 계시다가 말씀 나누고 계시는 회원님을 향해 조용히 하라고 소리치심.

    5. ADHD : 1970년, Schizophrenia : 1983년 진단받으심.

    6. 스트레스 상황에서 혼잣말 하시는 모습 관찰됨.

    간호진단
    부적절한 충동조절과 관련된 폭력위험성

    정의
    자신이나 타인에게 신체적, 정서적, 성적으로 해가 될 수 있는 행동

    기대결과
    장기목표 : 한달 이내에 타인에게 폭력적 성향을 드러내지 않는다.
    단기목표
    1. 일주일 이내에 폭력적행동 조절을 위한 대처전략을 2가지 이상 말할 수 있다.
    2. 일주일 이내에 자신의 현재 기분을 알고 3회이상 말로 표현할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중환자실 혈역학적 모니터링 과제_성인간호실습 A+

    목차

    Ⅰ. 서론 & 정의
    Ⅱ. 결론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

    ▸혈역학적 감시(hemodynamic monitoring)
    : 혈역학적 불안정성을 보이는 중증 환자에서 진단과 치료를 목적으로 혈역학 지표들을 지속적으로 확인하는 것을 말한다.
    : 혈압, 맥박수, 중심정맥압(central venous pressure, CVP), 말초산소포화도 등의 기본적인 방법부터 일회박출량변동, 맥박압변동 등 다양한 방법들이 혈역학적 감시에 이용되고 있다.
    : 외상 및 패혈증 등의 중증 환자에서 산소의 공급과 전달, 소비가 적절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치료의 궁극적인 목적이므로 이를 파악하기 위해 산소 전달의 시작점이 되는 심폐기능과 산소 전달의 매개가 되는 혈장량, 그리고 말초에서 산소의 교환이 이루어지는 관류,이 세 가지가 모두 감시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
    : 과거에는 폐동맥카테터(pulmonaryartery catheter, PAC)와 같은 침습적 방법이 심박출량 및 호흡기능을 평가하는데 주로 사용되었다면, 현재는 비침습적 방법들이 선호되고 있는데 최근 이론적 발달과 기술적 발전으로 심폐기능 뿐 아니라 혈장량 및 관류 지표에 있어서도 유용하게 평가받고 있다.

    [1] 비침습적인 혈역학적 모니터링(Noninvasive Hemodynamic Monitoring)
    1. 심전도(electrocardiogram: EKG)
    2. Non Invasive blood Pressure(NIBP)
    3. 산소포화도 측정(pulse oximetry; 맥박산소계측기)
    4. 시간당 소변 배출량(hourly urine output)

    1. 심전도(electrocardiogram: EKG)
    : 심장 내에서 형성된 전기적 충격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 심장의 근육세포는 심장이 혈액을 내보내기 위해 수축할 때마다 미량의 활동전류를 일으킨다. 심장이 수축과 확장을 할 때 일어나는 전기적 활동을 기록한 것이다.
    : 심전도(ECG, EKG)는 그래프의 횡축을 1초 동안에 25㎜, 그래프의 종축을 1㎷의 전압 발생에 대하여 10㎜가 올라가게 규정하였다. 기록된 심전도에는 P파, QRS complex, T파 등으로 차례로 이름을 붙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식물의 역사 독후감(북리뷰)

    목차

    1.서론
    2.본론
    3.결론

    본문내용

    앞서 언급한 바, 이 책은 처음에 유리와 밀러의 실험에서 재현한대로 무기물에서 유기물로 변했고, 단백질과 핵산을 보호할 막을 생성해서 내부와 외부를 구획을 나눈 최초의 세포에서 시작한다. 초기 세포는 주변환경에서 유기물을 공급받아 생존했는데 이분법으로 빠르게 번식하니 필연적으로 원시 바다의 영양이 고갈되었다. 이러한 환경에서 cyanobacteria라는 이산화탄소와 빛으로 포도당을 합성하는 최초의 autotroph가 등장해서 빠르게 번성해갔다. 광합성 반응의 부산물인 산소는 그 전까지는 대기의 미량만 차지하는 원소였지만 시아노박테리아 때문에 급격하게 증가해서 그 당시 우세했던 혐기성 박테리아를 거의 전멸시켰다. 또한 책에서는 설명하지 않았지만 이 산소로 인해서 대기에 오존층이 생성되었고, 그 전까지는 금속 상태로 지각에 존재하던 금속원소가 산화상태로 존재하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일부 혐기성박테리아는 호기성 박테리아를 내부에 받아들임으로써 (내공생, endosymbiosis)높은 산소 환경에서 살아남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aerobic respiration으로 18배의 호흡 효율(TCA cycle & electron transport chain)을 가질 수 있었다. 후에 식물세포는 chloroplast까지 추가로 흡수하여 등장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토론 A+] 사회복지실천관계의 기본원리인 개별화, 의도적 감정표현, 통제된 정서적 관여, 수용, 비심판적 태도, 클라이언트의 자기결정, 비밀보장에 대하여 예를 들어 서술하시오.

    목차

    1. 개별화Individualization
    2. 의도적 감정표현Intentional Use of Self
    3. 통제된 정서적 관여Controlled Emotional Involvement
    4. 수용Acceptance
    5. 비심판적 태도Nonjudgmental Attitude
    6. 클라이언트의 자기결정Client’s Self-Determination
    7. 비밀보장Confidentiality

    본문내용

    사회복지실천관계의 기본원리 중 하나인 개별화는 개인의 독특한 상황, 생활 환경, 그리고 필요한 서비스에 따라 맞춤형으로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원칙입니다. 이는 일반적이고 표준화된 서비스가 아닌 개인의 특별한 상황과 환경 등에 맞추어 적절한 지원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가정에서 어린 아이가 정서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을 가정해보면 이 아이는 학교에서의 사회적 문제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고 있을 것이며, 부모와의 의사소통이 원활하지 않아 가정 내에서도 지지를 받지 못할 것입니다. 전통적인 사회복지 서비스에서는 특별한 상황을 고려하지 않고 일반적인 상담이나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지만 이는 해당 아이의 개별적인 상황에 부합하지 않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2023년 6월 한달 분 주간보육계획 및 보육일지-23학년도 평가제 완료서류

    목차

    1. 23년 6월 1주 보육일지.hwp
    2. 23년 6월 1주 주안.hwp
    3. 23년 6월 2주 보육일지.hwp
    4. 23년 6월 2주 주안.hwp
    5. 23년 6월 3주 보육일지.hwp
    6. 23년 6월 3주 주안.hwp
    7. 23년 6월 4주 보육일지.hwp
    8. 23년 6월 4주 주안.hwp

    본문내용

    주 간 보 육 일 지 (만 5 세)

    주제: 우리 동네
    소주제: 궁금한 우리 동네 생활

    목표
    • 우리 동네의 다양한 생활공간을 알아본다.

    등원
    및 통합보육
    (07:30~09:00)
    • 등원하며 만난 선생님, 친구와 반갑게 인사 나누기
    • 유아의 소지품 (옷, 가방), 알림장, 투약의뢰서 확인하기
    • 유아의 기분과 건강상태 확인 및 발열체크 하기
    • 실내에서 바르게 걸어 다녀요. (기본생활습관)

    자유놀이
    (09:00~10:20)
    우리 동네 놀이터를 구성해요
    도서관에 왔어요
    우리 동네 표지판을 만들어요
    공원 표지판이 말해요
    우리 동네를 꾸며요
    시소의 무게 중심을 찾아요
    ‘아름답고 푸른 도우니강;을 감상해요

    손 씻기 및 오전 간식
    (10:20~10:40)
    • 정리 음악에 맞추어 놀잇감 정리하기
    • 화장실을 안전하게 이용하기
    • 차례대로 안전하게 손 씻고 오전 간식 맛있게 먹기
    • 바른 자세로 간식 먹고 간식 그릇 제자리에 정리하기

    출처 : 해피캠퍼스

  • 정신간호학 실습 조현병 CASE STUDY (불안, 불면증, 비효과적 대처) 간호진단3개, 간호과정2개

    목차

    [1] 간호사정
    [2] 간호과정

    본문내용

    B. 정신과 관련사항

    1) 입원 당시 증상
    ⦁ 최초 발생 시 주 증상 : 다이어트약 과다복용으로 환청, 과민한 기분, 공격적 언행을 보임
    ⦁ 발병 시기 : 22년 11월경
    ⦁ 입원 동기 : 부모님께서 구급차를 불러서 왔어요.

    2) 현재 질병상태
    ⦁ 사정일의 주 증상 및 문제 : 아들걱정에 불안하고 생각이 많아져 잠을 잘 못자는 날이 반복되고 있는 상황이다.
    ⦁ 발병일로부터 사정 일까지의 병동생활(치료에 협조적인지, 대인관계, 활동양상, 수면, 영양, 개인위생 등) : 대인관계, 영양, 활동양상은 양호하며, 계속된 걱정과 불안 때문에 수면을 취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빨래 쌓아놓고 주변 정리가 되지 않는 모습을 보였지만 치워달라고 얘기하면 정리하는 모습을 보임.
    ⦁ 질병에 대한 환자의 인식(Insight) : “망상같은건 누구나 그런 증상이 조금씩은 있잖아요”고 표현하며 조현병이라는 것을 인식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음.

    <중 략>

    [2] 간호과정
    1) 주관적 자료
    – “아들이 6월에 소년원에서 나오는데 그것 때문에 불안해서 잠도 못 자겠고 생각만 많아져요”
    – “ 그 형들이 우리 아들 다시 데려가면 어떡하죠”
    – “ 우리 아들 의사 없이 형들한테 끌려다닐 것 같아서 불안해요”
    – “ 우리 애들이 사춘기가 돼서 나한테 거짓말하고 얘기를 안하니까 나쁜 일에 휘말릴까봐 너무 불안해요”

    <중 략>

    – 객관적 자료
    – 진단명 : 편집 조현병
    – 생각이 많아 보이는 표정으로 병실 밖을 왔다갔다 걸어다니는 모습을 관찰함.
    – 침상에서 앉았다 일어났다를 자주 함.
    – 증상 및 행동 평가 척도 검사

    출처 : 해피캠퍼스

  • 골절, 치매 노인간호학 케이스(간호과정)

    목차

    1. 사정내용
    2. 사정도구
    3. 간호진단/문제목록
    4. 간호과정 기록표

    본문내용

    상품명
    (화학명)
    도페정 5mg (도네페질염산염수화물)

    주요약리작용
    알츠하이머형 치매 증상의 치료
    용법 및 용량
    성인 : 1일 1회 5 mg씩 취침전
    저체중인 85세 이상 여성 환자 : 1일 5 mg을 넘지 않아야 한다.

    <중 략>

    주관적 자료:
    “좀 잡아줘, 움직이기가 힘들어”
    “속이 답답해서 나가고 싶은데 몸이 힘드니..”

    객관적 자료:
    한국판 수정바델지수(Korean version of modified barthel index; K-MBI)

    <표 중략>

    진단명: 대퇴골전자간골절
    기능상태: 보행불가
    호출벨을 자주 누르셔서 나가고 싶다는 것을 자주 호소하심

    출처 : 해피캠퍼스

  • A+ 아동실습_Acute laryngitis 케이스(피드백 수정완)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Ⅱ. 문헌고찰
    1. Acute laryngitis(급성 후두염)

    Ⅲ. 간호과정
    1. 간호사정

    Ⅳ. 간호과정

    Ⅴ. 결론

    Ⅵ.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급성 후두염(Acute laryngitis)은 바이러스 및 세균 감염으로 후두 부위의 염증 및 부종이 일어나 증상이 발생되며, 특히 야간에 증상이 심해져 응급실로 많이 오게 되는 흔한 호흡기 질환이다. 2010년부터 2015년까지 국내 23개 병원에 급성 후두염으로 입원한 어린이 2,600명 중 호흡기 바이러스 검사를 시행한 930여명의 결과를 보면 파라인플루엔자바이러스(parainfluenza virus)가 39.7%로 가장 많았고,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espiratory syncytial virus)가 14.9%, 사람라이노바이러스(human rhinovirus)가 12.5%를 차지한다. 연령은 2세 미만이 63%로 가장 많았고, 2~4세가 23.7%였으며, 5세 이상은 8.3%였다. 남아는 61.5%로 남녀비는 약 1.6:1이다. 계절별로 보면 봄(28.5%), 여름(27.3%), 가을(26.6%), 겨울(17.6%) 순이다. 또한, 급성 후두염은 감기와 비슷해서 대수롭지 않게 여기는 경우가 많으므로 간호사가 급성 후두염 환아를 대처했을 때 그에 따른 환아의 상태를 파악하고 아동의 면역력을 높이는 노력을 기울이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이에 따른 급성 후두염의 병태생리와 원인, 진단법, 치료, 간호과정을 적용하여 질환에 대한 간호를 습득하고자 연구하게 되었다.

    2) 연구의 목적
    1) 급성 후두염(Acute laryngitis) 환자의 원인질환에 따른 상태를 파악한다.
    2) 급성 후두염(Acute laryngitis)으로 진단받은 환자들이 호소하는 통증의 양상과 표현을 파악한다.
    3) 대상자의 상태를 이해하고 전인적인 간호를 실천한다.
    4) 사례연구를 통한 지속적인 교육에 참여한다.
    5) 실무에서 학생간호사의 전문적 역량을 강화하고 실무적 간호를 배우고 능력 강화를 위함에 목적을 둔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 Rotator cuff syndrome 수술간호

    목차

    1. 일반적 사항
    2. 입원 관련 정보
    3. 진단 검사
    4. 약물요법
    5. 수술 간호
    6. 참고문헌

    본문내용

    혈액검사
    검사 전 간호 및 주의사항
    • 대상자에게 검사에 대한 설명 및 교육
    – 말초혈관을 천자할 경우 피부의 병소, 부종, 피부온도 등을 사정하여 따뜻하고 병소나 부종이 없는 부위를 선정
    • 대상자 검사에 대한 이해 여부 확인
    • 채혈 부위 및 과정 설명
    – 정맥 천자시 꼬이거나 경화가 있거나 전에 정맥염이 있던 부위는 제외
    • 검사 전 금식여부, 식이, 음료 및 약물 유무 확인
    • 천자부위 피부병소, 부종 유무와 온도 사정
    • 채혈 전 카테터 고장 유무 확인 및 소독
    – 채혈기구, 카테터가 망가지거나 막힌 곳이 있는지 관찰하고 용도에 맞게 선택

    검사 후 간호 및 주의사항
    • 천자부위 출혈이 멈출때까지 압박(지혈)
    • 지혈 후 천자 부위에 반창고 부착
    • 혈관 내 카테터 부위에 투명필름 부착 후 날짜, 시간, 카테터 크기 기입
    • 혈관 내 카테터 삽입부위의 통증, 부종, 배액 증가 유무 관찰
    – 빈맥, 저혈압 등의 shock이나 과도한 불안감 증상 사정
    – 대상자가 과도한 통증을 느끼거나 어지럽다고 할 경우 누워서 휴식하도록 함
    – 5분 내에 혈종형성이 있는지 여부 관찰
    – 면역이 약한 대상자의 경우 8시간마다 V/S, 멍, 관절의 염증 유무 등의 확인
    – 감염이나 오염에 의한 패혈증 발생 가능성 사정

    U/A
    검사 전 간호 및 주의사항
    • 소변검사 목적과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이해여부 확인
    – 가능하다면 가장 농축되어 있는 아침 첫 소변을 받도록 하기
    (처음 나오는 소변은 버리고 중간뇨 수집하도록 설명)
    – 여성환자의 경우 월경 중이라면 검사신청용지에 이를 반드시 표기!
    • 적절한 소변용기를 환자에게 제공하고 회음부를 청결하게 하도록 교육
    – 소변 중 검사용기 안쪽과 뚜껑을 만지지 않도록 설명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