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주제 선정 이유———————————–p.2
2. 용어 정의—————————————–p.2
3. 개선의 필요성————————————p.3
4. 서12 병동 손위생 수행률———————–p.5
5. 개선 전략—————————————-p.5
6. 기대 효과—————————————-p.11
7. 결론/마무리————————————-p.12
8. 참고문헌—————————————–P.14
본문내용
<올바른 손 위생>
주제선정
이유
병원감염 발생은 미생물의 직접 접촉에 의해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환자와 잦은 접촉을 하는 의료진뿐만 아니라 환자간의 교차 감염 발생이 쉽게 일어날 수 있는 조건을 형성하고 있다.
올바른 손씻기는 감염 예방의 가장 기본이 되는 수단으로 감염 전파를 차단시키는 가장 경제적인 방법이자 손으로 전파될 수 있는 의료관련 감염 등과 같은 병의 약 70%를 예방할 수 있으며, 표준주의의 핵심으로 효율적인 감염관리 방법이다.
-는 OS 병동으로 수술 환자의 평균 연령이 높은 만큼 감염 발생에 대한 예방이 더욱 중요하므로 미생물의 주된 전파원인 손을 통한 병원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손위생 수행률을 4분기별로 지표 결과를 산출하여 직원뿐 아니라 보호자, 환자에게 배포하여 준수하도록 함으로써 병원감염의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간호 실습학생의 시선을 넘어 간호관리자의 눈으로 환자들의 입원생활과 안전문제들을 고려해보고 미생물의 주된 전파원인이 되는 손을 통한 병원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환자의 안전뿐만 아니라 병원에서의 감염률을 줄이고 병원 내원객과 직원을 감염으로부터 보호하고자 한다.
용어정의
▖손위생(hand hygiene)
장갑 착용과 관계없이 혈액, 체액, 분비물, 배설물, 오염된 기구를 만지고 난 다음에 다른 환자나 환경에 미생물을 전파시키는 것을 피하기 위해 비누나 손소독제를 이용하여 손을 씻는 것을 말한다.
▖손씻기(hand washing)
손을 씻는 것을 말하며, 피부 상재균을 감소시키고 일시적 오염균을 제거한다. 일반비누나 항균비누와 물을 이용하여 손을 씻는 것을 말한다.
▖물 없이 적용하는 손소독(antiseptic hand rubbing)
물 없이 손을 문지르는 피부소독제를 적용하여 미생물을 감소시키거나 성장을 억제하는 방법이며, 물 없이 적용하는 손소독 후에 손을 씻거나 타올을 이용한 건조 등의 방법이 필요하지 않다.
▖외과적 손위생(surgical hand antisepsis 혹은 surgical hand preparation)
피부 상재균을 감소시키고 일시적 오염균을 제거하기 위하여 수술이나 시술 전 피부소독제를 이용한 손씻기나 물 없이 적용하는 손소독을 말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