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

  • 요양원 A++ 사회복지사 현장실습일지 160시간 노인요양원

    목차

    1. 직접 실습일지
    2. 간접 실습일지

    본문내용

    실습일지
    1. 실습생명 :

    2. 실 습 일 : 년 월 일 요일

    3. 오늘의 목표 : 실습기관의 이해, 직원인사, 교육일정 안내, 전반적인 오리엔테이션

    4. 진행내용 (시간, 내용 등을 중심으로 기록)

    <중략>

    5. 실습생 의견 (배운 점, 의문사항, 건의 등 포함)
    입소 어르신 중 다수는 치매, 뇌졸중, 만성질환을 앓고 계신 분들이시다. 생명의 존엄성과 권리를 원장님께서 강조해주셨다.
    실습기간 동안 복지 현장을 통해 노인복지에 대해 더 알아보고 싶어졌다.

    노인 장기 요양기관으로서 요양보험에 대한 지도자님의 말씀을 들으며, 요양보험이 2008년 7월에 소득수준에 관계없이 보편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시행된 복지제도에 큰 영향으로 주는 중요한 정책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어르신들이 더 이상 자식들에게 부담을 주지 않고 계획적이고 전문적인 요양서비스를 받을 수 있고, 그 보호자들은 정신적, 육체적, 경제적 부담에서 벗어날 수 있었으면 좋겠다.
    노래, 음악에 대해 다시 한번 긍정의 힘을 느꼈다. 치매나 노인성 질환이 있고 없고를 떠나 참 즐거워하시는 어르신들의 박수 소리가 사무실까지 들렸다.
    배설 관찰 기록부를 보면서 소변량, 섭취량, 배설량을 항상 체크하시는 요양 보호사님들의 업무에 대해 알아보았다.

    -기초 지식의 습득은 필수적인 과정이겠지만, 그 이상으로 현장에서 접하는 생활실 케어는 하나하나가 커다란 배움일 것이다. 그러나 코로나19로 인해 접근을 못함이 안타깝고 복지를 배우는 학생으로서 큰 아쉬움이 남는다.
    -신체활동지원프로그램 : 공던지기, 손목운동, 워커잡고 걷기 등이 있다.
    사무실 소독과 사무 행정을 익히다보니 시간이 어떻게 흘러갔는지 몰랐고, 사회복지사들의 역할을 알 수 있었다. 봉사하는 것과는 많이 다르다는 것을 느꼈고, 어르신들의 입장이 우선시되어지며, 어르신만을 위한 서비스를 자꾸 생각하게 된 하루 였다.

    출처 : 해피캠퍼스

  • TV, 드라마, 영화 등에 등장하는 자폐성 장애 아동(학생, 성인도 가능)을 관찰한 후, 등장인물인 자폐성 장애인의 사회적 상호작용 특성 및 의사소통 특성에 대해 자세히 기술하시오. 그리고 이 자폐성 장애인에게 가장 효과적이라고 생각하는 사회적 기술 및 의사소통 지원 방법에 대해 각각 구체적으로 기술하시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자폐성 장애
    2. 드라마에서 소개하는 우영우
    3.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에서 보이는 사회적 상호관계 특성 및 의사소통
    4. 효과적인 사회적 기술 및 의사소통 지원 방법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전에 자폐는 아주 낮은 인지기능을 가진 아이들의 문제라고만 생각했었다. 하지만 지금은 지능이 정상적이고 또 언어발달도 정상적인 사람 중에서도 사회적 관계 형성의 어려움이나 반복적 행동특성, 제한된 관심을 두는 사람들의 경우 자폐 스펙트럼의 진단이 가능해졌다. 자폐 스펙트럼이라는 단어에서 알 수 있듯 장애의 영역은 다양한데. 기본적으로는 사회적 관계 형성의 어려움이고,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에서 보듯이 굉장히 높은 다양한 특정 기능을 보이는 경우가 있다. 아주 예술적인 기능이 높거나, 시각적인 기능이 뛰어나거나, 기억 기능이 뛰어나는 등 특정한 영역에서의 우수성을 보이는 경우도 많다. 자폐의 원인은 유전적, 인지적, 신경학적 차원의 일반 원인이 있다고 오랫동안 인정됐다.

    출처 : 해피캠퍼스

  • 한국항공대학교 일반물리실험 탄동 진자 실험 레포트

    목차

    없음

    본문내용

    5. 실험 결과
    A. 탄동진자에 의한 초기속도 구하기
    탄동진자 각도 결과 값 v
    b진자
    1 2 3 4 5 평균
    1단 11.0° 12.0° 10.5° 11.0° 12.0° 11.3° 1.17m/s
    2단 25.5° 24.5° 24.5° 25.0° 25.5° 25.0° 3.69m/s
    3단 37.5° 38.5° 37.0° 38.0° 39.0° 38.0° 5.55m/s
    탄환의 질량 m = 66g
    진자의 질량 M = 268g
    진자의 끝에서 질량중심까지의 거리 R = 290mm (=0.29m)
    탄동진자에 의한 탄환 초기속도 v
    b진자
    =
    M + m
    m
    2gR(1 − cosθ)

    출처 : 해피캠퍼스

  • 한국항공대학교 일반물리실험 마찰계수 측정 레포트

    목차

    1) 시료 1 최대 정지 마찰계수 측정
    2) 시료 2 최대 정지 마찰계수 측정
    3) 시료 3 최대 정지 마찰계수 측정
    4) 시료 4 최대 정지 마찰계수 측정
    5) 실험 결과 분석
    오차가 생길 수 있었던 요인

    본문내용

    5) 실험 결과 분석
    결과 분석
    마찰계수가 시료에 의해 달라지는 원인을 크게 세 가지로 나눠서 생각해볼 수 있다.
    질량, 접촉 면적, 재질이다. 이 세가지 원인에 대해 비교분석하기 위해 한 가지 원인만 다르고 나
    머지 원인은 같은 경우들을 모아보았다.
    1. 질량만 다르고 접촉 면적, 재질이 같은 경우
    모든 시료가 순수하게 시료 자체만으로 측정한 경우와 100g의 추를 추가하여 측정한 결과가 있
    으므로 이 경우는 모든 시료에 대해서 분석할 수 있다.
    나무의 경우 시료 자체만으로는 0.281μS
    , 추를 추가한 경우는 0.262 μS가 나와 마찰계수가 질량이
    100g 늘자 0.019μS 줄어들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한국항공대학교 일반물리실험 힘의 평형 레포트

    목차

    1. 측정값

    본문내용

    위의 실험들에서 오차가 발생한 이유에 대해 고찰해보았다. 추의 무게를 높였을 때 각도를 고정해 놓은 C를 제외한 A와 B의 각도가 크게 벌어지게 되는데, 이때 실이 도르래의 윗면으로 삐져나오고, 실이 도르래와 맞닿는 부분에서 걸리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이는 도르래가 돌아가지 않고 고정되어 있었기 때문에 발생한 문제로, 이 때의 마찰과 평형대 중간의 고리에서 발생한 마찰이 실험값의 오차를 야기했다고 추론할 수 있다. 또한 추의 무게를 잴 때 핀셋을 이용하여 조심히 이동하고, 영점을 정확히 맞춰야 하는데 우리는 핀셋을 사용하지 않았고, 저울의 영점이 정확히 맞는지도 알 수 없었다. 따라서 추의 무게 그 자체에서 오차가 발생했을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건국대학교 물리학및실험2 9주차 자기유도, 10주차 RLC 직/병렬 회로 실험레포트

    목차

    9주차
    5. 실험 결과
    6. 토의
    10주차
    5. 실험 결과
    6. 토의

    본문내용

    5. 실험 결과
    실험 결과를 정리한 표는 아래와 같다.
    실험 결과를 토대로 구한 μ0의 값과 오차율 표는 아래와 같다.
    (단, 10^(-7))은 생략하였다)
    결과 전체의 오차율 평균은 29.37%이다.

    6. 토의
    (문제 비공개)
    먼저 저항(R)의 경우, 전류와 전압은 위상이 당연하지만 같다.
    코일(인덕터/L)의 경우 전류는 전압 보다 위상이 90도 늦게 된다.
    iL = (Vmax/wL)sin(wt-π/2)
    축전기(캐패시터/C)의 경우, 전류는 전압보다 위상이 90도 앞선다.
    iC = wCVmaxsin(wt+π/2)

    출처 : 해피캠퍼스

  • 건국대학교 물리학및실험2 8주차 코일의 자기장 측정 실험레포트

    목차

    1. 실험 목적
    2. 실험 원리
    3. 실험 기구 및 장치
    4. 실험 방법
    5. 실험 결과
    6. 토의
    7. 참고 문헌 (출처)

    본문내용

    1. 실험 목표
    헬름홀츠 코일 배치에서의 자기장의 공간적 분포상태를 디지털 가우스 미터를 사용하여 측정 한다.

    2. 실험 원리
    다음의 맥스웰 방정식으로부터
    여기서 c는 영역 s 주위의 닫힌 곡선이며, 직류전류에서는 D = 0이므로, 자기밀도 법칙은
    이것은 비오-사바르 법칙으로부터 특별한 목적으로 다음과 같이 쓰이기도 한다.
    여기서 ρ는 전도성분의 요소 dl에서 측정 점까지의 벡터이고, dH는 이들 두 벡터에 모두 수직이다.
    원형 도체의 중심축을 따라 자기장의 세기는 식 (3)으로부터 계산할 수 있다.

    <중 략>

    4. 실험 방법

    실험을 시작하기에 앞서 가우스미터와 컴퓨터를 연결하는 작업을 진행한다.
    컴퓨터에 SensorLab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Device로 Motor Driver를 선택한다.
    Graph option은 Measurement를 선택한다. 통신 포트의 전송 비트가 일치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SensorLab 메뉴에서 config/port setting 순으로 클릭하고 COM1을 선택한다.
    대부분 자동으로 연결이 되지만, 실험값이 측정되지 않을 경우에는 다른 포트를 선택한다.
    세팅이 끝난 후에는 가우스미터의 프로브가 원활한 왕복 운동을 하는지 확인한다.

    (1) 단일 코일에 의한 자기장 측정 실험
    ① 코일 1개를 받침대에 위치시킨다. 이때 가우스미터의 프로브의 팁이 코일의 중심에 위치하게끔 조정한다. 가우스미터의 Range 다이얼을 50G로 맞춰준다.
    ② SensorLab에서 connect를 눌러 자기장이 없는 공간에서 영점보정이 되는지 확인한다. 영점보정이 되지 않았을 경우, Reset Zero를 눌러 영점을 보정해준다.
    ③ 직류전원장치와 코일을 전선으로 연결한다. 전류는 1A 또는 2A로 흘려준다.
    ④ SensorLab에서 disconnect를 클릭하여 기존의 불필요한 데이터를 없애준다.

    출처 : 해피캠퍼스

  • (학은제)/인력개발과 활용/ 사회적 자본 구축을 위한 인적자원관리 방법을 정리하고, 사회적 자본구축을 위한 최근 기업의 사례와 본인의 생각을 기술하시오

    목차

    1.서론

    2.본론
    2-1. 사회적 자본이란?
    2-2. 사회적 자본 구축을 위한 인적자원관리 방법 및 미치는 영향
    2-3. 사회적 자본을 구축하기 위한 최근 기업의 사례

    3.결론

    4.참고문헌

    본문내용

    사회자본은 다양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 단어이며 여러 맥락에서 사용되어져 오고 있다. 사회자본은 일상생활과 경제적 효율성을 추구하는 시장에서 ‘신뢰’가 핵심이라는 문제의 인식에서 개념화된 표현이다. 한마디로 표현하자면 우리가 구성하는 사회의 문화 및 사회의 신뢰수준과 사회규범, 공동체에 대한 의무 등에 대한 사회의 효율성이나 성장에 미치는 여러 요소들의 총칭이라고 볼 수 있다. 우리 사회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것이 학연과 지연이다. 이는 같은 학교 출신이나 지역 출신들에게 어떤 특정한 규제나 제제 없이 호의를 베풀거나 서로 뭉치며 자신들만의 집단을 구성하는 것 또한 사회적 자본의 하나의 예로 볼 수 있다. 여기서 사회적 자본의 구성원들에게는 ‘신뢰’와 서로에 대한 ‘믿음’이 중요하게 작용된다. 이러한 신뢰와 믿음으로 집단이 안정적으로 운영되어지는 것이 사회적 자본이라 한다. 본론에서는 사회적 자본 구축을 위한 인전자원관리 방법을 정리하고, 사회적 자본을 구축하기 위한 최근 기업의 사례에 대해서 정리해보겠다.

    출처 : 해피캠퍼스

  • (학은제)/시장조사론/ 탐색조사와 기술조사에 대해 설명하고 각 조사별로 어떤 특성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하여 분석하시오. 또한 탐색조사와 기술조사가 각각 활용될 수 있는 조사 주제 예를 하나씩 제시하고 이유를 간단히 설명하시오

    목차

    1. 서론

    2. 본론
    2-1. 탐색조사
    2-2. 기술조사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1.서론
    마케팅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조사를 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조사는 올바른 정보들을 얻어야 하기 때문에 객관적이고 공식적인 방법으로 수행되어져야 한다. 그 과정에서 조사를 마케팅 조사의 유형으로 탐색조사와 기술조사가 있으며, 조사자는 각 조사들의 개념과 특징들에 대하여 정확하게 인지하고 있어야 한다. 조사자는 이 마케팅 조사의 목적, 시간, 예산 등을 고려하여 조사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지난 수업에서 배웠던 탐색조사와 기술조사에 대한 정의와 특성들을 비교 분석하고 그 예시를 본론에서 설명하고자 한다.

    2.본론
    2-1. 탐색조사
    (정의)
    탐색조사는 무엇이 문제인지 알기 위하여 시행되는 조사로서 일반적인 정보를 얻기 위한 정형화 되지 않은 조사를 의미한다. 이는 현재 상황을 명확하게 이해하고 조사의 목적을 정확하게 정의하면서 마케팅 조사의 초기 단계에서 조사에 대한 기초적인 아이디어를 얻기 위해 사용되어진다. 이는 조사의 상황이 정확하지 않은 불명확한 상황에 대해서 조사를 시행함으로 인해 기본적인 정보를 얻으려 문제를 파악하는데 목적을 둔 조사 방법이다. 즉, 조사의 초기단계에서 마케팅 문제를 야기한 것으로 판단되는 잠정적인 원인을 찾기 위해 이용되는 조사로 예비조사 방법이다. 탐색조사는 가설 설정을 위한 탐색 중심의 질적 조사이며 예비조사라고도 칭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학은제)/산업심리학/ 여러 학자들의 4차 산업혁명의 정의와 구분에 대한 내용을 찾아보십시오. 그리고 자신이 생각하기에 현재 시기를 4차 산업혁명이라고 불릴만한 이유에 대해서 생각해보고, 자신의 삶에서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기술하시오.

    목차

    1. 서론

    2. 본론
    2-1. 학자들의 4차 산업혁명의 정의와 구분
    2-2. 지금 현시점이 4차 산업혁명시대라고 생각하는 이유
    2-3. 우리 삶에 적용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부분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4차 산업혁명이라는 말은 독일의 경제학자 클라우스 슈바프가 의장으로 있는 2016년 세계 경제포럼에서 주창된 용어이다. 4차 산업혁명은 고도화된 네트워크 기술과 인공지능 (AI)이 가지고 온 기술로 4차 산업혁명은 다양한 정보기술의 발달로 시작되었다. 4차 산업혁명은 주요 산업, 경제, 사회의 변화를 의미하고 4차 산업에 대한 의미가 계속적으로 확장하여 발전되고 있다 .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은 빅데이터, 인공지능,로봇 공학, 사물인터넷 등의 기술들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이세돌 9단과 알파고의 바둑 대국으로 인해 4차 산업혁명이 각광을 받기 시작하였다. 이제 우리나라의 정부와 기업들도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게 인재를 양성하고 사업을 계획하는 상황이다. 우리의 삶에는 넓게 지게 되었지만, 학자들마다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정의와 구분에 대한 것은 분분한 상황이다. 본론에서는 4차 산업혁명의 큰 개념이 아니라 학자들마다 4차 산업혁명의 정의와 구분에 대한 내용과 내가 생각하기에 지금 시기가 4차 산업혁명이라고 불릴만한 이유와 우리의 삶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를 다뤄보도록 하겠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