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1. 실험 목적과 준비물 및 이론
(1) 실험 제목
(2) 실험 목적
(3) 준비물
(4) 실험 이론
2. 실험 과정 및 결과
(1) 휴대용 통신용 전자기파
(2) 거리에 따른 전자기파의 세기
(3) 알루미늄 박막과 전자기파
(4) [중요] 이 실험에서 특별히 인상적이었던 것이나 이 실험을 통해서 새롭게 알게 된 것, 떠오르는 의문 등을 적어보자.
3. 결과 토의
본문내용
(1) 실험 제목
전자기파의 특성
(2) 실험 목적
전자기파의 투과 및 전파 특성을 이해한다.
(3) 준비물
개인 스마트폰 2개, 알루미늄 박막, 주변의 다양한 재료들, 모눈종이
(4) 실험 이론
● 전기장과 자기장으로 이루어진 전자기파의 진행
⑴ 전자기파 : 전기장과 자기장이 시간에 따라 변하면서 공간을 퍼져나가는 파동. 1864년 맥스웰이 완성
⑵ 전자기파의 주요 특징
① 빛과 동일하며 속력이 30만 km/s이다.
② 전기장과 자기장이 수직으로 진동하는 횡파이다.
⑶ 파장과 진동수에 따른 전자기파의 구분 : 선이 가장 파장이 짧고 진동수가 크다.
● 전파의 전달 특성
– 전파는 안테나에서 방사된 후 직진, 반사,산란, 굴절, 회절하면서 전달된다. 전파의 기본 전달특성으로서 같은 성질의 매질을 통과시는 직진하면서 절달된다. 전파진행중 다른매질(건물,산악,전리층 등)에 부딪칠 경우에는 반사되어 전달된다.
● dBm의 정의
– Bm이란, mW 단위의 전력을 dB 스케일로 나타낸 단위 를 의미합니다. 상용화된 RF에서는 작은 전력을 다루는 경우가 많습니다. W단위가 아닌 보통 mW단위의 전력을 주로 다루기 때문에, 기준의 간편함을 위하여 mW를 기준으로 만든 dB 전력값을 dBm이라 부르는 것이지요.
2. 실험 과정 및 결과
1. 휴대용 통신용 전자기파
(1) 자신의 휴대폰에서 나오는 전자기파가 통과하지 못하는 물질은 무엇일까? 휴대폰을 특정한 물질로 감싸고 통신이 가능한지 실험으로 확인해보라.
– 전자기파는 물이나 금속을 통하지 못한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준비물 중 알루미늄 박막(호일)을 이용하여 핸드폰을 감싸고 전화를 걸어보았다. 수신 확인 결과 알루미늄 박막을 감쌌을 때는 연결이 되지 않다가 알루미늄 박막을 제거한 후 전화가 연결 되었다. 이를 통해 휴대폰에서 나오는 전자기파는..
<중 략>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