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I. 서론
II. 본론
(1) 난민의 현황
(2) 난민수용의 효과
(3) 난민수용에 대한 견해
III. 결론
IV. 참고문헌
본문내용
유엔난민기구(UNHCR)는 세계 난민 현황을 다룬 2022 글로벌 동향(Global Trends 2022) 보고서를 공개했는데, 보고서에 의하면 지난해 연말 기준으로 강제로 살던 곳을 떠난 사람들의 수가 전 세계에서 약 1억840만 명에 달한다고 한다. 즉, 지난해 11월을 기준으로 전 세계 인구는 80억 명을 돌파했는데, 결국 지구상에 사는 사람 100명 중에서 2명은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살던 터전을 떠나야 했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이 중에서 난민(refugees)은 약 3천530만 명으로 국내실향민(Internally Displaced Person:IDP)은 약 6천 250만 명에 이른다. 또한, 현재 난민 지위를 모색하고 있는 망명신청자(asylum seekers)는 약 540만 명이며, 이 밖에도 국제적 보호를 필요로 사람들이 약 520만 명 정도 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잇다.
난민은 일반적으로 전쟁 또는 박해, 폭력, 극도의 빈곤, 기근, 자연재해 등을 피해서 살던 곳을 떠난 사람들을 지칭한다. 이에 유엔은 1951년에 채택한 난민협약에서 난민(refugees)을 인종, 종교, 국적, 특정 사회집단 소속, 또는 정치적 견해 등에 따른 박해의 공포로 인해서 고국 또는 출신지로 돌아갈 수 없거나 돌아가기를 바라지 않는 사람으로 정의하고 있다. 또한, 국내실향민(IDP)은 앞서 제시한 상기한 이유 등으로 살던 곳은 떠나야 했으나 국경을 넘지 않은 사람들이며, 망명신청자(asylum seekers)는 현재 난민 지위를 모색하고 있지만, 이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지지 못하여 법적으로는 아직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사람들을 가리킨다.
이렇게 유엔난민기구는 난민을 자의가 아닌 타의로 살던 터전을 떠나야만 하는 사람들로 간주하여 현재 이들의 동향을 파악하고 지원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한편, 난민과는 다른 범주로 이주민(migrant)는 살던 터전을 떠나 다른 곳에 살면서..
<중 략>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