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신호로서의 의사소통
1) 의사소통의 의미
2) 의사소통의 보편성
2. 의사소통의 특성
1) 상호의존성
2) 복잡성
3) 모호성
4) 연속성
5) 불완전성
3. 의사소통의 모형
1) Shannon-Weaver의 선형 모형
2) Schramm의 순환 모형
3) Dance의 나선 모형
4) 개인차 모형
4. 비대면 의사소통
1) 비대면 의사소통의 특징
2) 비대면 의사소통의 결과
5. 결론 및 피드백
본문내용
1. 신호로서의 의사소통
의사소통은 우리의 삶에 가장 필요한 과정이며, 서로에 대한 감정이나 생각을 공유하고 일을 하는 데 필요한 기술과 전략을 소통한다. 우리가 다른 사람과 겪는 갈등이나 문제의 상당 부분이 오해나 부적합한 표현과 같이 원만하지 못한 의사소통 때문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소통을 잘한다는 것이 쉽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장에서는 신호로서의 의사소통, 의사소통의 특성과 모형, 비대면 의사소통을 알아보도록 하겠다.
1) 의사소통의 의미
의사소통을 의미하는 Communication은 공유라는 의미의 라틴어 Communis에서 온 말로, 인간을 포함한 생물체가 다른 생물체와 지식, 정보, 의견, 의도, 감정, 느낌 등을 공유하는 행동을 의미한다(차배근, 1987). 자신의 필요와 욕구를 충족하기 위해서는 다른 유기체와 상호작용을 해야 하는데, 거기에 필수적인 요소가 의사소통이다.
① 사인 – 기호, 징후, 기미, 다른 대상이나 상태, 사건과 같은 것을 대신해서 나타내는 어떤 것이며, 특정 실체의 존재를 보여 주거나 형태와 의미 사이의 관계를 보여준다 (Burgoon et al., 2010).
예) 연기 : 불의 존재와 연기라는 형태와 불이 났다는 의미.
열이 나는 것은 아프다는 것.
때론 울음과 웃음 같은 비언어적 정서의 표현도 내적으로 느끼는 슬픔과 기쁨과 같은 감정의 외적 표현이다(Buck, 1994).
② 아이콘 – 지시 대상을 물리적으로 닮거나 대표하는 사인을 말한다.
예) 조각상 : 그것을 가리키는 사람과 매우 유사하게 형상화하기 때문에 그 사람의 아이콘 이다.
사진이나 그림도 특정인의 아이콘이지만, 컴퓨터에서 어떤 기능이나 사물, 내용을 표시하기 위해 사용하는 작은 그림도 아이콘이다. 또한 나이팅게일이나 테레사 수녀의 특정 직업이나 역할의 아이콘이 될 수 있고, 정의의 아이콘, 질투의 아이콘, 사랑의 아이콘처럼 추상적인 개념을 나타낼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