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c/s case study

  • 성인간호학 부정맥 case study

    목차

    Ⅰ. 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
    3. 병태생리
    4. 증상 및 징후
    5. 진단검사
    6. 치료

    Ⅱ. 사례보고서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

    [1] 부정맥이란?
    심장은 자기 주먹 정도의 크기의 장기이며 두 개의 심방과 심실로 구성되어 있다. 심장박동은 동방결절이란 조직에서 형성된 전기적 신호가 전달되어 일어나는데, 부정맥은 이러한 심박동이 불규칙하게 되는 것을 말한다. 부정맥의 유무는 심장이 빠르게 또는 불규칙하게 뛸 때 스스로 손목의 맥을 짚어 짐작할 수는 있으나 검사를 통한 정확한 진단이 필요하다. 안정시 심장박동 수는 분당 60회에서 100회 정도이다.

    <중 략>

    1. 현병력
    1) 발병 시부터 병원에 오기까지의 상황:
    내원 전 트럭에 동료와 앉아 있다가 의식이 없어서 119 신고함. 직장동료가 차에서 CPR 하였음.

    2) 병원 도착 시 대상자의 상태 및 입원 전까지의 경과:
    현장 도착 당시 VF 보여 shock 후 ROSC되어 본원 내원함.

    3) 입실 후 현재까지의 경과:
    내원 당시엔 sinus tachycardia inf. lead T inv. stupor m/s

    <중 략>

    D. 기타 간호계획
    ※ 대상자의 현재 상태에 대한 간호문제 요약

    4월 21일 내원전 트럭에 동료와 앉아 있다가 의식이 없어서 119에 신고 후, 직장동료가 차에서 CPR을 함.
    현장 도착 시 VF(심실세동) 보여 shock 후 ROSC되어 본원 내원함.
    내원 당시엔 sinus tachycardia / inf. lead T inv. / stupor m/s

    출처 : 해피캠퍼스

  • 간호학과 췌장암 case study (A+받았습니다)

    목차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문헌고찰

    Ⅱ. 본 론
    1. 간호사정
    2. 대상자 질환과 관련된 자료수집
    3. 임상병리검사, x-ray 등 결과
    4. 약물요법
    5. 간호과정

    Ⅲ. 참고 문헌

    본문내용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시대가 발달함으로써 이제 100세 시대가 되었습니다. 연령의 증가와 함께 45세 이상의 연령 사람들이 많이 발생하는 질병이 되었습니다. 그 중에서도 65~80세에 최고의 발생률을 보이며, 우리나라 전체 암발생 중 췌장암은 8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췌장암의 가장 대표적인 증상은 복통과 체중감소, 황달이 있습니다. 췌장암은 한번 걸리게 되면 완치가 어렵고, 조기 발견이 어려운 만큼 예후도 다른 암에 비해서 많이 좋지않습니다. 수술 후 재발 가능성도 있고 생존확률도 매우 적기 때문에 대상자들에게 적합한 간호를 제공하고 도와줄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위해서 이 연구를 시작하였습니다.

    2) 문헌고찰

    출처 : 해피캠퍼스

  • [성인간호학실습 A+] 뇌경색 대상자 간호과정 case study

    목차

    Ⅰ. 서론
    1. 주증상을 포함한 간호력
    2. 사례 선정의 의의
    3. 문헌고찰
    1) 질병 정의 및 병태생리
    2) 종류
    3) 원인
    4) 임상증상
    5) 진단검사
    6) 치료
    7) 간호

    Ⅱ. 본론
    1) 간호정보조사지
    2) 간호 사정
    3) 진단 검사
    4) 약물치료
    5) 간호 문제
    6) 간호 과정

    Ⅲ. 결론
    1) 환자 상태 및 추후 계획
    2) 느낀점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주증상을 포함한 간호력
    대상자는 HTN, HL(Hyperlipidemia), dementia 있으며 내원 2일 전 외출 후 연락이 두절되었고 가족들이 실종신고를 한 결과 경찰서에서 발견 당시 길을 잃어 집을 못찾고 있었으며 넘어져서 얼굴이 피범벅이었음. 지나가는 행인의 신고로 경찰로 이송되었으며 오른쪽의 팔과 다리의 감각이 왼쪽에 비해 떨어지는 느낌이 있어 응급실 경유하여 s-car를 타고 응급병동으로 입원하였음.

    2. 사례 선정의 의의
    허혈성 뇌 혈관 질환은 혈전이나 색전으로 인한 뇌경색(Cerebral infarction) 으로 뇌 조직의 국소 부위에 혈관폐색으로 인하여 혈류 공급이 차단되었을 때 발생 한다. 그 동맥에서 혈액의 공급을 받고 있던 뇌의 부분이 산소가 부족하여 괴사 되고, 기능이 저하되거나 상실되기도 하며, 뇌경색에는 뇌혈전과 뇌전색이 있다.
    최근 서구적인 패턴의 식생활 변화와 더불어 동맥경화증에 의한 질환이 증가하는 추세이며, 이에 따라 뇌경색의 발생 빈도도 점차 증가하고 있다. 또한, 뇌경색은 한번 발생하면 심각하게 생명을 위협하거나 평생 관리를 받아야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문헌고찰과 사례연구를 통해 뇌경색에 대한 자세한 이론을 알고 실제 환자에게 간호중재를 적용해 주기 위해 뇌경색 환자를 case study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3. 문헌고찰
    1) 질병 정의 및 병태생리
    뇌조직은 평상시에도 많은 양의 혈류를 공급받고 있다. 그런데 다양한 원인으로 인하여 뇌혈관에 폐색(혈관 등을 이루는 관이 막히는 경우)이 발생하여 뇌에 공급되는 혈액량이 감소하면 뇌조직이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하게 된다. 뇌혈류 감소가 일정 시간 이상 지속되면 뇌조직의 괴사(조직이나 세포의 일부가 죽는 것)가 시작된다. 뇌조직이 괴사되어 회복 불가능한 상태에 이르렀을 때 이를 뇌경색(cerebral infarction)이라고 한다. 반면 뇌혈류 감소에 의해 뇌기능에 이상이 생겼지만, 적절한 치료를 통해 충분한 뇌혈류가 다시 공급되어 뇌조직의 괴사 없이 뇌기능이 회복되었을 때를 일과성 허혈성 발작(transient ischemic attack)이라고 부른다. 허혈성 뇌졸중은 뇌경색과 일과성 허혈성 발작을 모두 통틀어서 일컫는 용어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성인간호 골절 케이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3. 문헌고찰

    Ⅱ. 본론
    1. 자료수집
    2. 간호진단
    3. 간호과정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

    (1) 골절(fracture) 정의
    뼈나 골단판 또는 관절면의 연속성이 완전 혹은 불완전하게 소실된 상태를 말하며, 대개의 경우 외부의 힘에 의하여 발생한다. 뼈의 주변에 있는 연부 조직이나 장기들의 손상도 흔히 동반되며, 발생하는 위치에 따라 크게 사지골절, 척추골절, 늑골, 두개골, 안와 등과 같은 기타 골절로 나눌 수 있다. 골절편의 수에 따라 단순골절, 분쇄골절로 나눌 수 있으며, 단순골절은 한 개의 골절서네 의해 두 개의 골절편이 생기는 경우이며 분쇄골절은 두 개 이상의 골절선에 의해 세 개 이상의 골절편이 발생하는 것이다.
    보통 뼈를 3등분하면 중간부에 잘 발생하며 직접적이거나 간접적인 외상에 의해 발생한다. 직접적인 외상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에는 수평골절, 경사고절이 많은데 골절단의 전위가 있을 수도 있으며 분쇄골절이 동반되기도 한다. 직접적인 외상이 회전력을 줘 나선상 골절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는데 이 경우 수평골절 때 보다 치유가 더 빨리 진행된다. 고정기간 동안의 치료는 어깨의 운동 허용여부와 고정의 형태에 따라 달라진다. 손가락운동과 고정된 관절부를 지나는 근육의 정적인 수축을 지속적을 시행해야하며, 처음에는 도움을 받아가면서 능동운동을 시행하고 근력이 어느 정도 강해지고 운동시 통증이 없으면 점차 자유로운 능동운동으로 바꾸어 간다. 고정물을 제거한 후의 치료는 골절부가 굳게 붙으면 환자의 상태를 다시 평가하여 어깨부위의 관절이나 어깨의 관절 및 주관절의 완전한 운동범위를 되찾기 위해 치료를 시작해야하며 이때 처음부터 골절부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는 운동을 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2) 골절 원인
    대개의 경우 뼈에 강한 외력이 가해지는 외상 후에 발생하게 된다. 직접적인 외상과 간접적인 외상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로 구분되는데 직접적인 외상에 의한 골절은 작용한 외력의 크기나 외력이 작용된 뼈의 범위에 따라 조금씩 다르며 교통사고, 타박, 총상등이 원인이 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성인실습A+ ER, 뇌경색MI, 대상자 사정, 결과해석, 간호진단, 간호과정, 이론적근거+

    목차

    1) 전반적인 건강상태를 사정
    2) 구체적 간호사정
    3) 진단적 검사
    4) 약물치료 현황
    5) 응급대상자의 처치 현황
    6) 간호진단목록
    7) 간호과정

    본문내용

    간호진단
    1. 심근의 손상과 관련된 급성통증
    2.심기능 저하와 관련된 심박출량 감소의 위험
    3.통증과 관련된 비효과적 호흡양상
    4.질병과 관련된 불안정한 혈당 수치의 위험

    <중 략>

    7) 간호과정

    간호진단 #1 심근의 손상과 관련된 급성통증 ( )

    ● 범주: 영역 12. 안위(Comfort), 과 1. 신체적 안위
    ● 정의: 실제적이거나 잠재적인 조직손상과 관련되거나 이런 손상을 기술하는 불쾌한 감각과 감정적 경험으로(국제통증연구회,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Pain), 경한 수준에서 심한 강도까지 급성 또는 천천히 발생하며, 끝이 예상되거나 예견되는데 기간이 3개월 미만인 것
    ● 관련요인: 생물학적 손상 요인(감염, 허혈, 종양) 신체적 손상 요인(절단, 절상, 수술, 외상 등)
    Subjective Data
    “ 가슴이 아파”
    “ (헉헉) 숨쉬기가 힘들어요 ”
    Objective Data
    ● 통증 사정 결과 NRS(Numeric Rating Scale): 8점, 양상: 날카로운 통증, 부위: 가슴, 빈도: 지속적)
    ● Dx. Acute myocardial infarction
    ● 얼굴을 찡그리며 가슴 통증을 호소하는 모습 관찰함
    ● BP 160/110 / PR 110 / RR 24회
    ● EKG STEMI 소견 확인함
    ● 심장초음파상 좌심실 RWMA ( Regional wall motion abnormality, 국소 벽 운동이상 ) 확인함
    ● 관상동맥 조영술 (Coronary Angiography, CAG) 좌전 하행 관상동맥 말단부위가 90%, 우관상동맥 75% 막힘을 확인함
    ● 마약성 진통제 Morphine 처방남

    출처 : 해피캠퍼스

  • 성인실습A+ 응급실, 뇌경색,MI 문헌고찰

    목차

    (1) 원인
    (2) 병태생리
    (3) 증상과 징후
    (4) 진단적 검사
    (5) 치료
    (6) 간호중재
    (7) 합병증
    (8) 참고문헌

    본문내용

    1) 문헌고찰
    심장은 온몸에 혈액을 보내 산소와 영양소를 전달하는 펌프로, 평생 단 한 순간도 쉬지 않고 일한다. 이렇게 쉬지 않고 일을 하려면 심장근육(myocardium)도 혈액을 통해 산소와 영양소를 공급받아야 한다. 심근에 혈액을 공급하는 것은 심장의 표면에 위치하는 관상동맥(Coronary artery)이다.

    출처_질병관리청

    ● 급성심근경색증(acute myocardial infarction, AMI)은 관상동맥(Coronary artery)의 갑작스러운 폐색으로 혈액이 통하지 않아 손상부위 심근에 비가역적인 괴사를 일으키는 급성관상동맥증후군(acute coronary syndrome) 중의 하나이다.
    ● 심장에 혈액이 공급되지 않아 심장 근육이 손상되면 심한 가슴통증
    (pectoralgia), 호흡곤란(dyspnea) 등의 증상이 생기게 된다.
    ● 급성 심근경색증(acute myocardial infarction)은 돌연사의 흔한 원인으로 초기 사망률이 약 30%에 달하며, 병원에 도착하여 적극 적인 치료를 해도 병원 내 사망률이 5~10%에 이를 정도로 위험한 질환이다.

    (1) 원인
    ● 급성심근경색증(acute myocardial infarction, AMI)은 관상동맥(Coronary artery)의 죽상경화증(arteriosclerosis)이 진행되는 과정 중에 갑자기 발병된다. 관상동맥의 갑작스런 폐색은 죽상판(atheromatous plague)이 파열되거나 균열이 생기면서 형성되는 혈전(thrombus)에 의해 관상동맥의 혈류(hematocele)가 차단됨으로써 발생되는 것이 대부분.

    출처 : 해피캠퍼스

  • [진단검사와 간호] 급성심근경색(AMI) 임상사례 분석 보고서/급성심근경색 케이스/심근경색 케이스/CK-MB/심근효소/심장효소

    목차

    1. 위의 결과를 토대로 대상자에게 의심할 수 있는 병명과 그 이유를 기술하시오.
    2. 위의 검사결과를 토대로 대상자를 주의깊게 사정해야 하는 것은 무엇인지 자세하게 기술하시오.
    3. 위 대상자의 의심되는 질환을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위해 필요한 검사들을 목록으로 작성하시오.
    4. 3번 목록 중에서 학습하고 싶은 검사를 정해서 검사 전, 중 후 간호에 대해 기술하시오.
    5. 4번에서 선택한 검사의 전, 중, 후 간호를 본인의 가족에게 교육을 실시하게 될 시, 가장 이해하기 쉽게 기술해 보시오.
    6. 참고문헌

    본문내용

    [임상사례]
    <입원경로>
    Known HTN 환자로 금일 오전 8시부터 왼쪽 팔과 등으로 방사되는 가슴 통증을 주 호소로 본원 ER로 입원함. (술: 2-3병/1day, 담배: 1갑/1day)
    ** 응급실에서 시행한 검사 결과는 아래와 같다.
    < 임상병리검사 >
    -(중략)-
    1. 위의 결과를 토대로 대상자에게 의심할 수 있는 병명과 그 이유를 기술하시오.
    대상자에게 의심할 수 있는 주요 병명: 급성심근경색(AMI)
    그 이유:
    <관상동맥 위험요인>
    또 대상자의 고혈압은 관상동맥에 죽상경화증을 유발시키는 위험인자이다. 관상동맥질환의 주원인은 관상동맥의 죽상경화증으로, 고혈압은 혈관의 수축과 이완 능력에 영향을 미치고 동맥벽의 내피세포에 손상을 주어 이곳에 혈액 내 지질침전물의 생성이 증가되어 죽상경화증이 촉진된다.
    알코올은 하루 1~2잔 정도 권장하는데, 대상자는 이보다 훨씬 많은 양을 섭취하고 있다.
    흡연은 동맥경화증의 진행 과정을 촉진하여 관상동맥질환의 발생을 증가시킨다. 니코틴은 교감신경계를 흥분시켜 혈압과 맥박을 상승시키고, 심근의 산소요구량 증가로 심장의 부담을 가중시켜 관상동맥질환을 악화시킨다.
    <증상과 징후: 흉통>
    흉통의 부위와 양상, 방사부위 등은 안정형협심증과 비슷하나, 급성심근경색 시 흉통이 흔히 이른 아침 시간에 발생한다. 대상자의 경우 오전 8시에 응급실에 내원하였으므로, 급성심근경색을 의심할 수 있다.

    2. 위의 검사결과를 토대로 대상자를 주의깊게 사정해야 하는 것은 무엇인지 자세하게 기술하시오.

    CRP는 급성 염증 과정 동안 간에서 생성되는 비정상적인 단백질 중 하나이다.
    성인 정상 수치는 <0.5로 이 수치가 증가하면 감염증, 악성종양, 심근경색을 의심할 수 있다. CRP는 급성심근경색 발병 1~3일 후 최고 수치로 나타나고, 심장조직의 지속적인 손상이 있는 경우 정상으로 회복되지 않는다. 또한 협심증인 경우는 상승하지 않으므로, 심근경색을 의심할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페색전증(PTE, pulmonary thromboembolism) case study/vsim-Vernon Watkins 케이스/간호진단5개/간호과정2개/가스교환장애/폐색전증 케이스

    목차

    Ⅰ. 서론
    1. 간호사례 선정 이유

    Ⅱ. 문헌고찰
    1. 원인
    2. 병태생리
    3. 증상과 징후
    4. 진단
    5. 협동적 관리
    6. 간호

    Ⅲ. 건강사정
    1. 인적 사항
    2. 출처(source)
    3. 진단명(Medical Diagnosis)
    4. 수술명
    5. 주호소(C.C) / 입원 정보, 입원 동기
    6. 현병력(HPI)
    7. 과거력(PMH)
    8. 가족력(Family Hx)
    9. 사회심리적 문제(psychosocial)
    10. Review of system (문진을 통한 주관적 자료수집)
    11. Physical exam (신체검진을 통한 객관적 자료수집)
    12. 환자 기본 상태 사정

    Ⅳ. 약물

    Ⅴ. 진단검사
    1. 정맥 혈액 분석
    2. 동맥 혈액 분석
    3. 방사선 검사

    Ⅵ. 치료 경과 및 계획
    1. 진단명
    2. 현재 치료내용(order 내용)
    3. 향후 치료계획

    Ⅶ. 간호과정

    Ⅷ.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 간호사례 선정 이유
    ‘사다리 타기’라는 방법을 이용하여 제시된 사례들을 조원들과 나눈 결과, 선정되었다.

    Ⅱ. 문헌고찰
    폐색전증(pulmonary embolism)은 색전에 의하여 폐혈관의 일부가 갑자기 막힌 상태이다. 폐색전증이 초래된 혈관의 크기에 따라 치명적인 상태가 될 수 있다.

    A. 원인
    대부분 하지의 심부정맥(깊은 정맥)에서 생긴 혈전이 혈류로 운반되어 발생한다. 혈전 외에 종양, 공기, 지방, 골수, 양수, 심내막염에서 생긴 판막의 증식물로도 발생한다.

    B. 병태생리
    폐로 이동한 색전물은 폐혈관에 머무르는데, 색전의 크기와 숫자에 따라 위치가 결정된다. 색전이 머무는 부위의 혈류가 막히면 그 혈관이 공급하는 폐 부위의 관류가 감소한다. 환자는 계속 환기하지만 조직 관류가 없어 환기-관류 비율이 맞지 않아 저산소혈증이 발생한다.
    색전이 큰 폐혈관을 막으면 무기폐가 유발되고 심박출량이 감소한다. 색전이 작은 혈관을 막으면 심한 증상은 나타나지 않으나 관류는 변화한다. 이 과정에서 히스타민, 세로토닌, 카테콜아민, 프로스타글란딘의 분비가 동반되어 혈소판이 탈과립되고 혈전을 형성하며, 세동맥이 수축한다. 또한 이 화학물질들은 기관지와 폐동맥을 수축시키는데 이러한 혈관수축이 폐색전증에서 발생하는 혈행 문제의 주원인이라고 생각한다. 혈전으로 막히게 되면 그 혈관은 허탈되어 폐혈관 압력이 증가한다. 폐혈관 압력이 증가하면 우심장에 부하가 증가되어 심부전이 발생한다. 심한 경우, 관류 부족으로 저산소혈증과 산독증으로 심폐계가 허탈된다.

    C. 증상과 징후
    흔한 증상은 빈맥, 호흡곤란, 흉통이다. 이 증상들은 심근경색 증상과 유사하여 감별진단하여야 한다. 폐색전증에서의 흉통은 폐실질의 염증반응, 폐경색 혹은 허혈, 작은 폐혈관의 폐색으로 초래된다. 색전물이 큰 혈관이나 폐의 주요 부분을 폐색시켰을 때 호흡곤란이 더 심해진다. 불안, 기침, 발한, 기절, 객혈 등도 발생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감염관리학] 코로나19(covid 19) 환자 case study/간호진단2개/간호과정2개/비효과적호흡양상,고체온/코로나19 케이스

    목차

    1. 환자 소개
    A. 일반적 사항
    B. 건강력
    C. 신체검진
    D. Physical Examination (추가적인 내용)

    2. V/S, SpO2

    3. 진단검사
    A. 전해질 검사
    B. 일반화학검사
    C. 일반혈액검사(CBC)
    D. WBC diff. count

    4. 기타 검사
    A. ABGA – 호흡성 산증
    B. 핵산 증폭 검사 (NAAT), PCR(rRT-PCR) 결과
    C. Chest 검사

    5. 약물

    6. 간호과정

    본문내용

    입원동기
    체온이 38.8°C로 최고조에 달하였으며 기침, 객담, 호흡곤란과 5일 전에 시작된 전반적인 쇠약 있어 내원함. 병원에 오기 2일 전에 가벼운 설사(대변:3~4회/일)가 있었음. 그녀의 증상과 최근 COVID-19 양성 환자인 딸과의 긴밀한 접촉을 감안하여 내원함.

    진단명 (Medical Diagnosis)
    Pneumonia, COVID-19 양성

    주호소(C.C)
    고열, 기침, 객담, 호흡곤란, 전반적인 쇠약

    주관적 자료
    – “숨 쉬는게 힘들어 죽겠어요.”
    – “기침을 해도 뭐가 나오질 않으니 너무 답답해. 목에 가래 좀 빼줘요”
    – “열이 나서 머리가 아파요..”
    – “어지러워… 숨이 차서 간호사실까지도 도저히 못가겠어.”
    – “계속 기침하니깐 힘들어요.”
    – “하루종일 힘이 없어요.”
    – “병원에 오기 3~4일 전에 설사했어요.”

    B. 건강력
    현병력
    : 2020년 2월 11일, 73세의 여성의 체온이 38.8°C로 최고조에 달하였으며 기침, 객담, 호흡곤란과 5일 전에 시작된 전반적인 쇠약 있어 내원함. 병원에 오기 2일 전에 가벼운 설사(대변:3~4회/일)가 있었음. 그녀의 증상과 최근 COVID-19 양성 환자인 딸과의 긴밀한 접촉을 감안하여 내원함.

    과거력 : 간경변, 제2형 당뇨병

    가족력 : 없음.

    C. 신체검진
    ∙ 기형 ■없음 □있음

    ∙ 동통(통증) □없음 ■있음 입원 당시 NRS 4점
    (결리는, 퍼짐, 쑤심, ■예리함, 묵직함, 기타)

    ∙ 식욕 □좋음 □보통 ■나쁨 (기침과 비효율적인 호흡 양상 때문에)
    ∙ 체중변화 ■없음 □있음

    ∙ 수면상태 수면시간 6 시간/1일 수면장애 있음(기침 때문에)

    ∙ 대변 횟수 3~4회/1일 색깔 dark brown ■설사 □변비 □동통 □기타

    출처 : 해피캠퍼스

  • 노인간호학 간호사례 보고서

    목차

    1. 대상자 기초정보 자료
    2. 입원일부터 현재까지 경과요약
    3. 간호 관찰/수행 일지

    본문내용

    1. 대상자 기초정보 수집 참고자료

    일반적 정보
    ● 이름: 박○○
    ● 성별: 여자
    ● 나이: 00세
    내원 관련
    ● 입원일:
    ● 입원목적
    – 22년 ○○병원에서 sarcoma 진단받아 섬유육종 excision 수술, 항암, 방사선 치료를 받았으나 재발 및 폐, 흉벽 등 전이가 상당히 진행되고 병변의 크기가 급격히 증가하여 23년 9월 말기 진단을 받았음. 이후 근치적 치료, 연명 치료 모두 중단하고 호스피스 권유받고 호흡곤란, 통증 조절을 위해 외래를 통해 입원
    ● 입원 당일 주 증상: 전신 쇠약
    ● 주 진단명: Sarcoma of lung (폐 육종)
    기타
    1. 영양 상태
    ● 식습관
    – 종양이 식도까지 전이되어 음식을 삼키기 어려워함.
    – 환자 2주 전부터 식사량 감소하여 밥 1/3공기 식사
    ● 연하곤란: 유
    – 꼬리뼈(coccyx) 쪽 5*5cm 욕창(Grade 1) 있음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