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c/s case study

  • 만성신장병(CKD)_A+ CASE STUDY(간호진단 6개/급성통증, 영양불균형, 불면증, 자기돌봄결핍, 감염위험성, 낙상위험성)

    목차

    (1) 임상자료 수집(Gathering Clinical Data)
    (2) 비정 자료 목록(abnormal data list)
    (3) 환자문제의 초안(관련 자료 묶음)
    (4) 간호진단 목록(Nursing Diagnosis list) 확정
    (5) 개념도(Concept Care Maps)
    (6) 간호문제/간호진단

    본문내용

    간호병동
    환자 성명
    장OO
    나이
    49세
    성장과 발달
    7단계 중년기
    (생산성 vs 침체감)
    성별
    F
    입원날짜
    2020.08.28

    *의학 진단명
    : Chronic kidney disease stage5

    *입원사유(History of present illness)
    : 2020.08.29. DDKT (Deceased donor kidney transplantation) 수술 위해 입원함.

    2019.03.20
    CKD-PD13yr
    (화, 목, 토)
    2019.04.25
    오후 1시 두류봉 85번지 클래식 명가 앞 도로에서 오토바이를 타고 가다가 도로 틈에 바퀴가 끼어 넘어져 오른팔 부상으로 본원 ER 내원함.
    2020.04.02
    Bipolar hemiarthroplasty, hip(right)
    2020.04.09
    Bipolar hemiarthroplasty, hip(left)
    2020.08.28
    DDKT (Deceased donor kidney transplantation) 수술 위해 입원함.
    2020.08.29
    DDKT 수술함.

    *과거력
    ● HTN
    ● CKD on HD
    ● MDD
    ● Panic disorder

    *외과력
    : 2020-04-02 Bipolar hemiarthroplasty, hip(right)
    : 2020-04-09 Bipolar hemiarthroplasty, hip(left)

    *현재 주요 호소(chief complaint)
    ● 통증(수술부위, 관절통)
    ● 불안
    ● 수면장애
    ● 전신쇠약

    ● “오늘은 더 이상 주사 안 맞아도 되는거죠…?“
    ● “또 검사 받으러 가야해요…?”
    ● “수술부위도 아프고 다리도 왜 이리 아픈건지…”
    ● “나는 몰라…언니한테 말해봐요..”
    ● “아프고 힘도 없으니까 당연히 입맛도 없지…”
    ● “피곤하다…아무것도 하기 싫어.“

    * 가족력( family tree )
    : 부 – bladder cancer
    : 모 – gastric cancer

    * 가족관계도

    출처 : 해피캠퍼스

  • 성인간호학실습 Case Study

    목차

    A. 환자 사정
    B. 환자문제의 초안(관련 자료 묶음)
    C. 간호진단 목록(Nursing Diagnosis list) 확정
    D. 개념도(Concept Care Maps)
    E. 간호계획, 수행, 평가

    본문내용

    날 짜 성 명 나이 성 별 입원 날짜
    2015. 11. 19 이◯◯ 3 M 2015. 11. 13

    A. 환자 사정

    I. 입원 사유
    a. 입원 동기
    내원 1일 전 오전 치즈를 먹고 vomiting(#1, food content) 한 차례 하였고 상기 증상 지속되어 evaluation 및 treatment 위해 본원 ER통해 PG 입원함.

    b. 의학적 진단
    Small bowel obstruction
    Acute peritonitis

    c. 증상과 징후
    통증, 구토, 허약감

    II. 현재력
    내원 12일 전 pm 3부터 abd. pain (periumbilical, 20min-30min 지속, #10, not cyclic, not colicky) develop되었고 pm 4:30부터 vomiting (#10 이상, postprandial, regurgitant, not bloody, not bilous) develop되어 내원 11일 전 ER 통해 본원 PGS. adm. 하여 small bowel wedge resection op 후 내원 2일 전 퇴원하였고 이후 변 보지 못하며 abdominal pain (dull, whole abdomen, continuous) 있고 식사를 잘 하지 못하였다고 하며 내원 1일 전 vomiting 증상 지속되어 입원함.

    III. 가족력
    (-)

    IV. 과거력
    a. 산과력
    (-)

    b. 출생력 (재태연령, 출생순위 등)
    IUP 40주, 4200gm, 자연분만으로 출생하였으며 모유수유함. 첫 째 아이임.
    c. 출생시 상태(APGA Score 등)
    만삭아로 출생 당시 good activity, crying 보임.
    d. 예방접종

    1차 2차 3차 추가
    4차 추가
    5차 추가
    6차
    BCG √
    B형간염 √ √ √ √ √
    DPT √ √ √ √
    소아마비 √ √ √
    MMR √ √
    수두 √

    출처 : 해피캠퍼스

  • 여성간호학실습 분만실 제왕절개 C/S case study 사례보고서, 문헌고찰 ~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3개 포함

    목차

    I. 문헌고찰
    1. 유형
    2. 적응증과 금기증
    3. 간호중재

    Ⅱ. 자료수집
    1. 간호력
    2. 신체검진(Physical examination)
    3. 분만과정 요약
    4. 분만관련 정서적 상태 및 요구도 사정
    5. 제왕절개분만의 산욕기 사정기록지
    6. 임상 검사
    7. 투여 약물

    III. 간호진단 목록

    IV. 간호과정

    본문내용

    ※ 제왕절개분만(cesarean section delivery)
    제왕절개술은 복강을 가르는 수술이라는 사실에 유념한다. 제왕절개분만을 위한 수술과정에 가족이 참여할 수 없어 때때로 부모역할 적응에 영향을 주게 된다. 제왕절개술은 질식분만에 비해 모성사망률이 2~4배 높고 이환율이 증가한다. 제왕절개술 후 외과적 합병증인 출혈, 마취 부작용, 골반 또는 복부장기 상해, 감염(창상부위, 자궁내막, 비뇨기) 등이 발생할 수 있다.

    1. 유형
    가. 자궁하부절개(low segment)
    가장 흔히 사용되는 절개방법이다. 이 절개는 치구 수준에서 피부를 횡으로 자궁하부를 수평으로 절개하는 방법으로 절개부위가 쉽게 치유될 뿐만 아니라 피부절개선은 차후 치모에 의해 은폐된다. 장점으로는 혈액손실이 적고 합병증도 거의 없으며, 차후 질 분만 시 자궁근무력 및 반흔으로 인한 자궁파열의 위험, 수술 후 복부팽만이 적게 생긴다는 것이다.
    나. 고전적 절개(classic type)
    피부 및 자궁체부 벽에 수직적 정중선절개가 이루어진다. 태아 만출을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는 이점 때문에 과거 수술로 인한 복부유착이 있는 경우, 태아가 횡위인 경우, 응급분만 시 적용할 수 있다. 그러나 혈액손실 및 차후 분만 시 자궁파열의 위험이 증가한다.

    2. 적응증과 금기증
    제왕절개분만의 일차적 목표는 생명을 보존하고 산부와 태아의 안녕을 도모하는 것이다.

    적응증
    – 아두골반 불균형(CPD): 가장 흔한 원인
    – 태위이상: 횡위나 둔위
    – 자궁기능부전
    – 과거 제왕절개분만
    – 과거 난산으로 연조직 손상
    – 유도분만의 실패
    – 생식기의 음부포진 감염
    – 임신합병증: 임신성 고혈압
    – 모체당뇨병
    – 모체합병증
    – 태반부전: 지연임신 시 태반의 노화
    – 기타 고위험 산과적 요소

    금기증
    – 태아사망, 미숙아 등

    3. 간호중재
    가. 수술 전 산부간호

    수술 전 교육과 지지 제공
    – 수술에 대한 산부의 사전지식 파악 및 수술 이유 설명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