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c/s case study

  • A+) 성인간호학 방광암 케이스 스터디(진단 2개, 과정 2개)

    목차

    Ⅰ. 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과 위험요인
    3. 병태생리
    4. 진단검사
    5. 증상
    6. 치료
    7. 합병증
    8. 예방

    Ⅱ. 대상자 사정
    1. 사례
    2. 진단 검사 결과

    Ⅲ. 간호과정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1. 방광암의 정의
    방광암은 소변을 저장하는 장기인 방광 점막에 악성 세포가 생긴 것으로, 요로계 종양의 73%를 차지하며 비뇨기과에서 다루는 악성 질병 중에서도 가장 빈도가 높은 병이다. 60~70세에 가장 흔히 발병하며, 특히 남성에게서 많이 보이는데, 여성의 3배 이상이다. 또한 치료에 의해서 완화된 듯해도 재발이 잦은 것이 특징이다.

    2. 방광암의 원인
    다른 암과 마찬가지로 발생 원인이나 과정에 대해서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아래와 같은 인자들이 원인이라 추정되고 있지만 인과관계를 명확하게 밝혀진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 가장 큰 위험요인은 흡연
    – 직업적 요인: 염료, 고무, 가죽, 석유 화학 종사자
    – 자궁경부암으로 방사성치료를 받거나 cyclophosphamide(Cytoxan)를 투여한 여성
    – 당뇨약 중 pioglitazone(Actos) 복용 시
    – 재발되는 만성적 방광결석이 있는 경우
    – 유치도뇨관을 오래 유치하는 경우
    – 인공감미료(사카린), 진통제(phenacetin) 등
    – 연령(40세 이상, 특히 60~70세), 가족력

    3. 방광암의 병태생리
    방광종양은 동시 다발적으로 혹은 시가차를 두고 다른 부위에 잘 생기는 다원적 기원(multicentric origin)을 보이며, 흔히 요관개구부(ureteral orifices)나 방광 경부를 침범한다.
    요로계에서 가장 흔한 악성종양은 방광의 이행세포암종(transitional cell carcinoma)로 90% 이상을 차지한다. 나머지 약 5%가 편평세포암, 약 2%가 선암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 성인간호학 COPD 케이스 스터디(진단 2개, 과정 2개)

    목차

    Ⅰ. 서론

    Ⅱ. 문헌고찰
    1. 정의
    2. 원인
    3. 증상
    4. 진단검사
    5. 치료 및 간호
    6. 합병증
    7. 예후뇌졸중의 합병증

    Ⅲ. 대상자 사정
    1. 일반적 정보
    2. 검사 결과
    3. 투약기록

    Ⅳ. 간호과정

    Ⅴ. 결론 및 소감

    Ⅵ.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만성폐쇄성폐질환 (COPD)은 급성 기관지염과 기관지확장증이 동반되어 발생하는 만성적인 폐쇄성 질환으로, 전 세계적으로 높은 유병률을 보이고 있는 중요한 건강 이슈 중 하나입니다. COPD는 흡연, 환경 오염, 유전적 요인 등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며, 주로 폐 기능의 점진적인 감소와 호흡곤란을 특징으로 합니다. 이에 따라 COPD는 환자의 삶의 질을 저하시키고 사망률을 증가시키는 심각한 질병으로 인식되어 왔습니다.

    COPD의 특성과 진단, 치료 방법에 대한 이해가 증가함에 따라, 실제 환자 사례를 통해 이 질병에 대한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접근을 강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에 본 CASE STUDY에서는 실제 환자의 COPD에 대한 케이스를 살펴보고, 이 환자의 전반적인 의료 상황, 증상, 진단, 치료, 그리고 예방에 대해 다루어 보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COPD의 다양한 측면을 심도 있게 이해하고, 환자 중심의 종합적인 치료 전략에 대한 통찰을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Ⅱ. 문헌고찰
    1) 정의
    기도 내 공기유통의 폐쇄가 만성적으로 재발되는 특징적인 호흡기계 질환군이다.
    대게 만성기관지염과 폐기종의 두 가지 질환을 말한다. 대부분의 경우 만성기관지염과 폐기종이 공존하고 일부는 만성기관지염, 폐기종 및 천식이 공존할 수 있다.

    (1) 만성기관지염
    기관지의 만성염증을 말하며 감염성 자극이나 담배연기 같은 비감염성 자극에 지속적으로 노출되어 발병한다. 기관지의 염증반응에 의해 혈관확장, 울혈, 기관지 점막에 부종과 기관지 경련을 초래한다. 이로 인해서 기관지의 내경이 좁아져서 기도의 폐쇄를 가져온다. 대개 흡연과 밀접한 연관을 가지며, 호흡곤란ㆍ기침ㆍ가래(대개 색이 푸르고 점도가 높은 가래)가 주증상이다. 점막마개와 2차 감염 때문에 공기유통과 가스교환을 방해하여 저산소혈증(PaO2감소)과 호흡성산증(PaCO2증가)을 유발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 간호관리학 케이스 스터디(진단 1개, 과정 1개)

    목차

    1. 사례
    2. 참고문헌

    본문내용

    상황
    00병동은 module 팀 간호로 A, B 2팀으로 나누어져 있고, 한 Duty당 Acting 선생님은 한 명으로 한 명당 30-40명의 환자들을 담당하고 있다. 근무 시간 전후로 오버타임이 심하고 다음 Duty번과 함께 일하는 경우도 빈번하다.
    많은 양의 업무 때문에 점심시간에도 일을 계속해서 하고 있으며, 병원에서 도시락을 제공하고 있지만 그 마저도 먹을 시간이 없어 방치되어 있었다.
    갓 독립한 선생님에 대해 선배 간호사들이 직접적인 충고나 격려가 아닌 험담을 당사자가 없는 곳에서 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하지만 문제점에 대한 본인에게 직접적인 교육이나 충고는 없었다.
    진단
    과도한 업무부담, 결핍된 격려와 관련된 과도한 스트레스 수준
    자료
    주관적자료

    출처 : 해피캠퍼스

  • 갑상샘기능저하증(갑상샘저하증) CASE

    목차

    1. 문헌고찰
    1) 구조와 특성
    2) 병태생리
    3) 원인
    4) 증상
    5) 진단검사
    6) 치료
    7) 간호

    2. 사례보고서
    1) 간호 정보조사지
    2) 진단검사
    3) 갑상샘검사
    4) 임상검사
    5) 활력징후
    6) 식이량
    7) 낙상 사정 도구
    8) 체중
    9) 기력저하, 어지럼증 사정
    10) 수분섭취량
    11) 운동과 활동양상
    12) 약물

    3. 간호과정
    1) 간호문제
    2) 간호진단 목록
    #1. 식욕부진과 관련된 영양불균형
    #2. 무력감 및 어지럼증과 관련된 낙상 위험성
    #3. 섭취량 부족 및 활동저하와 관련된 변비
    3) 간호과정
    #1. 식욕부진과 관련된 영양불균형
    #2. 무력감 및 어지럼증과 관련된 낙상 위험성
    #3. 섭취량 부족 및 활동저하와 관련된 변비

    4. 참고문헌

    본문내용

    ▷ 후두 바로 아래, 기관지의 위쪽, 목의 전면 중앙의 윤상연골 바로 아래에 좌우 2개의 엽과 이를 연결
    하는 협부로 이루어져 있다.
    ▷갈색을 띄고 있으며 무게 15~20g으로, 1g에 분당 5mL의 풍부한 혈액을 공급받는 복잡한 되먹임기전
    으로 조절된다.
    ▷날개를 편 나비의 모양으로 나비의 날개에 해당되는 부분을 우엽, 좌엽이라고 하며 동체에 해당하는
    부분을 협부라고 한다.
    ▷우엽과 좌엽은 소화관의 일부인 인두의 바깥 벽까지 닿는다.
    ▷인체에서 가장 큰 내분비선이며, 정상적인 경우에는 대체로 만져지거나 눈에 띄지 않지만 이상이 생기
    면 크기가 커진다.
    ▷갑상선이 분비하는 호르몬은 티록신(Thyroxine; T4)이며 다량의 아이오딘을 함유한다.
    → 인체에 있는 아이오딘의 3/5는 갑상선에 함유되어 있다.
    ▷갑상선의 역할: 음식물을 통해 섭취한 아이오딘을 이용해 갑상선 호르몬을 생성 한 후 체내로 분비하
    여 인체 내 모든 기관의 기능을 적절하게 유지시키는 것이다.
    ▷갑상선에서 발생하는 대표적인 질환으로는 갑상선기능항진증(그레이브스병) 및 갑상선기능저하증(하시
    모토갑상선염), 갑상선결절 등이 있다.
    ▶갑상샘호르몬 수치 감소→시상하부에서 갑상샘자극호르몬 방출인자(TRF) 방출→자극에 따라 뇌하수제
    가 갑상샘자극호르몬(TSH) 분비→갑상샘호르몬(TH) 분비

    대사작용
    ▷단백질 합성과 분해를 촉진한다.
    – 소량의 갑상샘호르몬은 단백질 합성을 촉진: 다량의 갑상샘호르몬은 음성질소 균형이 될 정도로 이화작용을 촉진한다.
    탄수화물대사
    ▷내당능이 저하되어 혈당을 상승시킨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신생아실, Jaundice, study case

    목차

    1. 신생아 간호사정
    (1) 산모와 관련된 정보
    (2) 신생아와 관련된 정보
    (3) 신체사정
    (4) 검사결과
    (5) 진단을 위한 검사
    (6) 투여약물
    (7) 기타사정자료
    (8) V/S
    (9) 기타장치
    (10) 체중
    (11) Urine/Stool

    2. 주요건강문제

    3. 간호과정
    (1) 보호자의 지식부족과 관련된 부적절한 모유수유
    (2) 광선치료 및 영양부족과 관련된 체액 부족의 위험
    (3) 신생아의 재입원과 관련된 부모ㆍ영아 애착 장애 위험

    본문내용

    간호진단
    보호자의 지식부족과 관련된 부적절한 모유수유

    간호사정

    객관적 자료
    -신체사정(피부) 비정상
    (xx일 Jaundice 관찰됨)
    -체중감소
    (xx일 3.060 Kg) (xx일 2.808 Kg)
    -Tb 검사결과 수치 증가

    <중 략>

    간호진단
    신생아의 재입원과 관련된 부모ㆍ영아 애착 장애 위험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xx일‘ 보호자 : “아기가 얼굴이 노랗게 떴어요, 어떻게 해야 하나요?“

    객관적 자료
    xx일 퇴원 이후, xx일 재입원

    간호목표
    (기대결과)
    목표 : 퇴원시까지 보호자에게 애착행위, 대처행위에 대한 교육을 한다.

    간호 계획 및 수행
    1. 부모의 애착행위를 사정한다.
    (xx일 통화를 통해 긍정적 애착행위[얼굴밀착, 칭찬, 친말감 언급]에 대해 교육하였다.)
    2. 모유수유 유무를 사정/격려한다.
    (“분유와 모유 합쳐서 하루 70cc 밖에 안 먹였어요” -> 하루 150-300cc를 8번에 나뉘어서 모유, 분유를 제공하였음.)
    3. 대상자에게 애착행동을 시범 및 교육한다.
    (xx 퇴원 전 산모 퇴원교육을 통해 재교육하였다..)

    이론적 근거
    1. 긍정적 애착행위, 부정적 애착행위는 모아애착형성에 영향을 미친다.
    2. 모유수유는 엄마와 아이 모두 정서적으로 안정되고, 둘 사이에 서로만 아는 유대감이 형성된다.
    3. 긍정적 애착행위, 부정적 애착행위는 모아애착형성에 영향을 미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Mitral Valve, 승모판 기능부전, study case

    목차

    Ⅰ. 문헌고찰
    1. 질환의 정의
    2. 질환의 병태생리
    3. 질환의 원인
    4. 질환의 증상 및 징후
    5. 질환과 관련된 진단
    6. 질환과 관련된 치료
    7. 질환과 관련된 간호학적 중재

    Ⅱ. 간호사례 보고서
    1. 대상자 소개
    2. 히스토리
    3. 환자투약 및 진단 기록
    (1) 대상자가 사용하는 약물
    (2) 대상자의 진단적 검사와 결과
    (3) 대상자의 진단적 기타 특수 검사와 결과
    (4) 영상검사
    (5) V/S

    Ⅲ. 간호과정
    1. 주요 건강문제
    2. 간호과정 3가지

    본문내용

    1. 질환의 정의
    ▪ 승모판 기능부전 = 승모판막 역류증 => 승모판폐쇄부전증
    ▪ 승모판 기능부전은 정상적으로 좌심방에서 좌심실로 유입된 피의 상당수가 좌심실이 수축할 때 좌심방으로 역류하는 질환이다. 즉 순환하는 피가 좌심실이 수축할 때 좌심방으로 역류하는 질환이다. 이는 승모판막 이상에 의해 발생한다.

    2. 질환의 병태생리
    ▪ 좌심실 수축 시 좌심방으로 혈액 역류 -> 심박출량 감소 -> 확장성 좌심실 비대(보상
    작용) -> 좌심실 혈액 유입 증가 -> 좌심실 용적 과부화

    => 보상상태가 수년간 지속되다가 좌심실 수축력 감소 -> 심박출량 감소 -> 좌심방압 증가
    => 비가역적 손상이 오기전 판막치환 OR 성형

    – 급성에서는 역류 혈액량에 따라 좌심방압 증가, 전방 심박출량 감소 -> 전신 쇠약감, 폐울혈 -> 호흡곤란, 좌위호흡 호소

    3. 질환의 원인
    류마티스열에 의한 후유증이 주 원인이다. 심근경색 이후나 판막과 좌심실 벽을 연결하는 끈이 끊어지면서 승모판폐쇄부전증이 온다. 이 외에도 감염성 심내막염, 결합조직에 문제, 선천적으로 판막에 문제, 심장의 종양 등이 있다.

    4. 질환의 증상 및 징후
    경증의 승모판 역류는 어떤 증상도 유발하지 않을 수 있어, 모르고 있다가 서서히 오랜 기간에 걸쳐 증상이 나타난다. 하지만 승모판 기능부전이 갑자기 심하게 발생하면, 좌심방이 확장될 여유가 없어지면서 좌심방압이 급격하게 상승하고 폐동맥압도 상승하여 심한 호흡 곤란, 폐부종이 발생한다. 기능부전이 계속 나타나면 폐쇄부전증이 되고, 폐쇄 부전증 환자들은 전신 쇠약감, 피로감, 운동 시 호흡 곤란, 가슴 두근거림, 숨이 차거나, 폐에 물이 고이는 심부전의 증상들이 발생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Ureteric Stone, 요로결석, study case

    목차

    1. 질병에 대한 문헌고찰
    2. 간호정보
    3. 간호과정

    본문내용

    1. 질병에 대한 문헌고찰

    (1) 정의
    소변의 흐름에 장애가 초래되고 요로감염, 수신증, 요폐색, 수신증, 신부전 등이 나타나는 질환이다. 돌이 생긴 곳에 따라 신장결석, 요관결석, 요도결석 등으로 나뉜다.

    (3) 원인
    결석의 원인은 불분명하다. 하지만 주로 유전적인 요인과 환경적인 요인, 과거력 등이 있다.
    유전적인 요인으로는 남성이 여성에 비해 발생할 가능성이 2~3배 높다. 또한 20~40대의 젊은 연령층에서도 잘 발생한다. 환경적인 요인으로는 대사장애, 식이습관, 생활습관, 수분 섭취 감소가 있다. 또한 문화적인 특성, 섭취하는 음식, 온도, 습도, 계절 등의 요인들이 결석 발생에 기여하기도 한다. 또한 수분의 섭취 감소하면 소변이 방광이나 요관에 머무르는 시간이 증가됨에 따라 요석이 형성될 확률이 높아진다.

    2. 간호정보
    (1) 환자
    (2) 간호력
    (3) V/S
    (4) BST
    (5) 진단검사
    (6) 영상의학검사
    (7) 주사 및 투약

    3. 간호과정
    1. 요관의 자극과 관련된 통증
    2. 감염과 관련된 고체온
    3. 지식부족과 관련된 불안

    출처 : 해피캠퍼스

  • 대퇴 전자간 골절(폐쇄형), Fracture Intertrochanteric, femur, closed [Fx, ITC femur, Rt], study case

    목차

    I. 문헌고찰
    1. 질환 관련 해부학적 구조
    2. 질환의 병태생리
    3. 질환과 관련된 증상
    4. 질환과 관련된 진단
    5. 질환과 관련된 의학적 치료
    6. 질환과 관련된 간호학적 중재

    Ⅱ. 대상자
    1. 대상자 인적사항
    2. 대상자 간호사정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
    3. 대상자 기록

    Ⅲ. 간호과정

    본문내용

    1. 질환 관련 해부학적 구조
    ▪ 넙다리뼈 [femur]
    인체의 골조직 중 가장 크고 길어서 전체 신장의 약 1/4 가량을 차지한다. 정상 한국인들의 경우에는 대개 40cm에서 50cm 정도의 길이를 가진다. 양측 말단부에는 단단한 겉질뼈 속으로 성긴 모양을 가지는 해면골도 풍부히 존재하지만 가운데 부분인 몸통은 긴 파이프 모양이면서 안에 해면골이 거의 없다.
    따라서 양측 말단부에 골절이 생기면 비교적 수월하게 뼈가 다시 붙을 수 있지만 가운데인 몸통 부위가 골절되면 상당수에서 뼈가 잘 붙지 않는다. 골반과 엉덩관절을 통해 전달되는 체중을 지탱하면서 걷고 달리는 하지의 기본 기능에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무릎관절 쪽 하부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이 풍부한 근육들로 감싸져 있다. 대퇴전자간골절은 대퇴경부 아래 부분에서 골절이 발생하는 것이다.

    ▪ 하위 기관
    – 넙다리뼈머리 : 넙다리뼈의 상부를 형성하며 둥근 공 모양을 하고 있다. 골반과
    만나 엉덩관절을 이룬다.
    – 넙다리뼈목(대퇴경부) : 넙다리뼈머리의 바로 아래 부위로 사람으로 치면 ‘목’
    부위에 해당한다. 엉덩관절 속에 위치한다.
    – 큰돌기(대전자부) : 넙다리뼈목 바로 아래 부위를 말한다. 혈액공급이 풍부하게
    잘 되는 해면골을 가지고 있다.
    – 몸통(간부) : 둥근 단면을 가진 긴 파이프 형태이다. 매우 단단한 겉질뼈(피질골)로
    둘러싸여 있으나 내측에는 해면골이 거의 없어 빈 공간이다.
    – 관절융기 윗부분(과상부): 넙다리뼈의 하부를 형성하며 좌우로 넓은 모양을
    가진다. 해면골이 많이 존재하는 부위이다.
    – 관절연골 : 상부와 하부 끝 부분인 넙다리뼈머리와 넙다리뼈 말단부는 관절 연골로
    덮여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불특정 담낭의 질병, Disease of Gallbladder-Unspecified, study case

    목차

    문헌고찰 ······························································································ 3
    1. 질환 관련 해부학적 구조
    2. 질환의 병태생리
    3. 질환과 관련된 증상
    4. 질환과 관련된 진단
    5. 질환과 관련된 의학적 치료
    6. 질환과 관련된 간호학적 중재

    Ⅱ. 대상자 ·································································································· 11
    1. 대상자 인적사항
    2. 대상자 간호사정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
    3. 대상자 기록

    Ⅲ. 간호과정

    본문내용

    Ⅰ. 문헌고찰
    1. 담낭질환 관련 해부학적 구조

    ■ 구조
    간(liver), 담낭(biliary tract) 및 췌장(pancreas)은 모두 복강에 위치하고 있으며 소화와 신진대사 작용을 촉진시킨다.
    만성적이고 진행적인 질병은 환자에게 심각한 영향을 미치며 장기간의 치료와 간호를 필요로 한다.
    담도계는 담낭(gallbladder), 담관(bile duct) 및 담낭관(cystic duct)으로 구성되어있다.
    담낭으로부터 나온 담낭관은 간으로부터 나온 간관(hepatic duct)과 합해져
    총담관(common bile duct)을 형성한다.

    ■ 기능
    담즙은 간의 좌우 간관에서 담낭으로 이동한다. 담낭에서 농축된 담즙은 담관을 통하여 방출되어 총담관으로 흐른다.
    장내에 지방이 있을 때, 총담관이 십이지장에 개구하는 부위에 있는 오디괄약근이 열려서 담즙이 장으로 흘러가게 한다.
    장내에 지방이 없으면, 괄약근은 닫히고 담즙은 담낭에 저장된다.

    ■ 병태생리 (담석증 / 총담관 결석증)
    ⦁ 담석에 포함되는 성분에 따라 분류

    1. 콜레스테롤 담석
    콜레스테롤이 포함된 담즙은 담석을 형성하고, 담낭에 염증성 변화를 일으키게 된다. 대부분의 담석은 매끄럽고 흰빛을 띤 노란색에서부터 황갈색을 띠고 있다.

    3. 담낭질환과 관련된 증상
    ⦁복부통증
    담석증인 경우 담낭에서 담관으로 결석이 이동할 때 담관의 경련이 발생하며 이 경련은 담즙성 산통의 원인이
    된다. 담낭염인 경우 통증은 염증 때문에 지속돠고 복막의 강도가 증가하면서 통증도 심해진다.
    총담관 결석증은 통증이 경미할 수도 있고 심할 수도 있으며 담낭의 통증과 구별되지 않을 수도 있다.

    5. 담낭질환과 관련된 의학적 치료
    ■ 담낭염
    급성 담낭염이 의심되는 환자는 발견된 세균에 효과 있는 항생제를 투약한다. 엠피실린, 설파제 또는 아미노글리코사이드만성 담낭염의 관리는 저지방식이, 체중감량, 약물(미주신경차단제, 진정제, 제산제)투여 등이 있다.

    Ⅱ. 대상자
    1. 인적사항
    2. 환자기록(투여약물)
    3. 진단검사와 결과
    4. 기타진단검사
    5. V/S
    6. NSR
    7. 식이

    Ⅲ. 간호과정
    1. 급성통증
    2. 감염위험
    3. 불안정한 혈압

    출처 : 해피캠퍼스

  • 여성간호학 다발성 자궁근종 간호과정 (간호진단 5개, 간호과정 2개)

    목차

    1. 간호 정보 조사
    2. 신체사정
    3. 진단검사
    4. 투약정보
    5. 투약정보
    6. 수술 간호
    7. 간호과정

    본문내용

    5) 의학적 치료 계획
    ▸치료계획: 수술 후 경과 관찰

    ▸치료 및 수술에 대한 반응
    수술 후 통증을 심하게 느껴 진통제를 투여하는 모습을 관찰하였고, 간호사 선생님께서 수술 후 폐합병증을 위해 기침과 심호흡 교육, 금식, 갈증 예방을 위해서 입안 거즈 대주기, 통증 시 PCA 교육에 대해 설명하는 모습을 관찰하였다. 수술 이후 환자와 보호자는 적극적이고 높은 치료 과정 교육에 참여하는 모습을 관찰하였다.

    ▸치료 경과 및 예후
    ▸치료 과정: Daily V/S, Daily wound dressing, Vaginal dressing: No bleeding
    ▸치료경과: 경쾌
    ▸추후 관리
    -discharge and opd f/u
    -stitch off at opd
    -수술 후 안정 후 퇴원, 외래추적 관찰을 하고 투약조절을 한다.

    <중 략>

    간호진단 – 수술 절개 부위 (robotic myomectomy with SP)와 관련된 급성 통증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움직일 때 수술 부위가 당겨요”
    “아랫쪽 배가 너무 아파요”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