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c/s case study

  • 지역사회 간호과정- 의성군 보건소

    목차

    Ⅰ. 지역사회 건강사정
    1. 지역사회 현황분석
    2. 지역의 건강수준
    3. 지역사회 현황분석 종합

    Ⅱ. 지역사회 건강진단
    1. 지역사회 건강문제 열거
    2. 지역사회 건강문제 우선순위 결정

    Ⅲ. 지역사회 간호계획
    1. 지역사회 간호목표설정
    2. 방법 및 수단선택
    3. 사업수행계획

    Ⅳ. 지역사회 간호수행

    Ⅴ. 지역사회 간호평가

    본문내용

    1. 지역사회 현황분석
    1) 지역사회의 인구현황
    2018년 4월 말 안동시의 인구는 163,311명이며, 읍면지역 총인구 수는 44,027명으로 안동시인구의 26.9%를 차지하며, 노인 인구는 17,124명(65세 이상)으로 안동시 전체 노인인구(36,489명)의 46.9%를 차지한다. 동지역 총인구는 119,284명으로 안동시 전체인구의 약 73.1%를 차지하며 노인인구는 동지역 인구의 약 16%인 19,365명을 차지하고 있다. 인구 크기별로 보면..

    <중 략>

    3. 지역사회 현황분석 종합
    1) 인구구조
     농촌지역과 도시지역의 인구편차가 심하며, 인구밀도도 농촌지역과 도시지역이 현저하게 차이났다.
     인구구성은 세대당 인구수가 농촌지역(평균 1.91명)과 도시지역(평균 2.26명)이 약 0.57 정도 차이가 있고, 학생인구(22%)이며 안동시 노인인구(65세 이상) 36,489(2018년 4월말 인구) 22.34%이며, 노인 인구 중 남자가 15,117명으로 41.4%이며, 여자는 21.372명으로 58.6%로 여성이 남성보다 6.255명으로 17.2%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 보건의료환경
     관내 병원 18개소(종합병원 3개소, 병원 5개소, 치과 2개소, 요양병원 8개소) 의원 166개소(일반의원 77개소, 치과의원 46개소)로 타 지역에 비해 의료기관이 많은 편이나, 그 분포가 도시지역에 집중되어 농촌지역 주민의 의료이용은 보건지소나 진료소를 주로 이용하고 있음(경북 응급의료센터: 안동병원)에는 경북 북부지역 응급환자 수송 응급닥터헬기 운항, 응급의료 안전망 강화 기대.
     보건소 전체 이용자의 28.83%는 진료, 71.17%는 보건사업 목적이며, 진료환자 중 건강 보험 34.2%, 의료급여 2.61%, 일반환자 61.75%, 무료환자 1.448%이고, 보건사업 목적으로 방문한 환자의 65.7%가 예방접종이며, 일반 환자의 대부분은 신체검사 등 제증명임.

    출처 : 해피캠퍼스

  • 수술 후 폐합병증과 관련된 비효과적 기도청결 간호과정

    목차

    없음

    본문내용

    1. 남자 60세 환자
    2. 진단명: 위암 및 R/O COPD
    3. 개인력: 결혼했고 주호소는 없음
    타병원에서 시행한 건강검진상 AGC 진단받아 수술위해 입원
    4. 건강력: 20년전 결핵완치, 흡연중이며 1.5갑/43년, 음주 안함
    고혈압, 당뇨, 간염, 알레르기 모두 없음
    키 174.3 체중 74.4, 체중 변화 없음
    Vital sign: BP117/61mmhg , PR 76회/분, RR 20회/분, BT 36.5도
    의식상태: 명료, 정서상태: 안정
    전신에 소양감외에 다른 신체부분은 정상임
    5. 진단검사결과
    수술후 2일째 임상검사결과에서 AST 61, ALT 115, 외에는 모두 정상범위내에 있음
    6. 수술경과
    피부과 협진으로 연고도포후 호전중에 있음
    POD#3: foley catheter 제거

    출처 : 해피캠퍼스

  • A+지역사회간호학 케이스스터디

    목차

    1. 가족사정
    1) 가족 사정
    2) 가족자료 분석 및 진단

    2. 간호진단 진술 및 우선순위 설정

    3. 간호계획, 수행 계획

    4. 참고문헌

    본문내용

    3. 간호계획, 수행 계획
    간호진단문제 관련원인
    – 간호진단: 질병에 대한 지식 부족과 관련된 부적절한 질병관리
    – 관련요인: 부적절한 질병관리, 부적절한 추후관리, 약물불이행, 부적당한 건강증진 행위, 의료 추구행위의 지연

    객관적 자료
    – 허리 X-ray 결과 L4~L5 허리디스크 병력
    – 손가락 류마티스관절염 병력
    – 주호소: 양쪽 손가락의 저림, 아침에 뻣뻣, 손가락 통증
    – 부적당한 건강행위 관리와 비지속적인 의료관리로, 치료를 안 받거나 질환 있는 부위 지속적 사용함을 관찰됨.
    – 질병이 있음을 인식하지만, 질병의 심각성에 대한 부적절한 인식으로, 치료에 대해 비협조적인 모습을 보임.
    – 건강관리 행위의 이행이 부족함을 관찰됨.
    – 관절 통증 증상이 약10년 간 있었음에도 방치함.

    주관적 자료
    – ”일을 20대 때부터 지금까지 하고 있어서 몸이 안 좋아지는 건 알지만 아파서 일 잠깐 안 하면 일 안 한다고 뭐라 해서 할 수밖에 없어“
    – ”오른쪽 팔과 손으로 계속 아픈 부위를 사용할 수밖에 없는데 치료해 봤자 또 사용할 텐데 소용없어 치료 안 받아“
    – ”에이 치료안받는다고 죽기나하겠어? 치료 안받아도 살고있자너“
    – ”치료받으면 낫어? 그때뿐이것지 계속 주기적으로 받아야 효과가 있는거지 난 그렇게는 못해 병원 나가기도 귀찮아 안해“
    – ”도수치료가 효과가 좋은데 도수치료가 비싸서 치료를 받아도 또 일할 거라 돈 아까워”
    – “아침마다 자고 일어나면 양쪽 손이 뻣뻣하고 붓고 일하면 통증시작이되”

    출처 : 해피캠퍼스

  • A+양극성 정동장애 케이스스터디

    목차

    1. 대상자 정보
    2. 성장 발달력(확인 가능한 것 만 기록)
    3. 가 족 력
    4. 정신상태사정 Mental Status Examination
    5. 약물치료(현재 투여중인 약물, 약전에 나오는 내용을 그대로 복사 금지)
    6. 치료적 기타 중재
    7. 간호중재 대상자의 간호문제 목록(5가지)

    본문내용

    대상자 정보

    성별/ 나이
    F/53

    의학적 진단(DSM-IV-TR)
    양극성 정동장애, 현존 정신병적 증상이 없는 조증
    양극성 정동장애, 현존 정신병적 증상이 있는 조증
    급성 간염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
    합병증을 동반하지 않은 2형 당뇨병

    정신과적 주호소
    (Chief complain)
    기분이 뜨고, 말이 많고, 잠 못 잠

    정신과적 과거력
    2023.06.02

    신체적인 현병력
    (예: 고혈압, 당뇨병)
    당뇨병(2형)

    정신과적 현 문제 최초발병시기
    2023.06.02

    입원치료횟수
    3회(서천사랑병원, 신동환병원, 홍성의료원 정신과 입원하여 치료)

    일상생활양상
    식습관
    식사 규칙적으로 안 함, 식사 3끼 중 1~2끼 편식이 심함

    수면 양상
    입원하기 2주 전부터 새벽에 깨어 자지 않고 활동함
    조그마한 소리에도 못 잠
    소음에 예민해서 깊은 수면 못 함

    배변양상
    이상 없이 대변 잘 봄

    개인위생상태
    계절에 맞춘 옷차림, 세수, 양치, 샴푸, 샤워 등 위생적임

    <중 략>

    치료적 기타 중재

    정신 • 심리적 치료
    (24장 참고)
    지지정신치료-안심, 지지, 환기, 재반응, 설득, 암시, 충고와 지도, 마취합성,
    지지분석치료-전이, 역전이, 저항, 자유연상 기법, 꿈의 분석
    대인관계 분석치료, 단기역동 정신치료, 수용전념치료
    실존주의 정신치료-합리적 정서적 치료, 의미치료, 현실치료, 게슈탈트치료, 내담자중심치료, 인지행동치료- 불안완화 기법(이완요법, 바이오피드백, 체계적 탈감작, 감각기관에서의 노출, 홍수법, 반응 방지), 인지의 재구조적 기법(사고와 감정의 감시, 증거탐문, 탈비극화, 재구성, 사고 중지), 새로운 행동 학습 기법(모델링, 형성법, 토큰경제, 역할극, 사회기술 훈련, 혐오요법, 행동 계약)

    활동치료
    (25장 참고)
    음악치료(가창, 음악감상, 연주), 미술치료(종이 오려 붙이기, 그림 그리기, 색칠)
    무용치료, 독서치료(교양서적인 역사, 여행, 미술, 과학 등)

    출처 : 해피캠퍼스

  • A+자연분만 케이스스터디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정의
    2. 특징
    3. 검사
    4. 치료 및 간호

    Ⅲ. 결론

    본문내용

    1. 정의
    산부가 거의 만삭에 이르고 합병증 없이 자연적으로 진통이 올 때까지 기다렸다가 진통이 시작되면 한 명의 태아를 두정위로 24시간 이내에 질을 통해서 분만이 완성되는 것

    2. 특징
    [ 정상분만요소 ]
    1) 산도 : 모체의 골반과 연조직으로 구분
    2) 태아 : 아두, 태세, 태위 등과 관련 (두정위, 둔위, 횡위)
    ⦁태세(fetal attitude) : 자궁강내에서의 태아 각부분의 상호관계
    ⦁태위(fetal lie) : 태아의 장축과 모체의 장축과의 관계를 말하며 종위와 횡위로 나뉨.
    종위는 선진부에 따라 두정위와 둔위로 나뉨
    ⦁선진부(presenting part) : 태아의 밑부분으로 분만시 제일 먼저나오는 부분.
    두부, 둔부, 어깨 등으로 태위, 태향을 결정
    ⦁태향(position) : 각 태위의 지표와 모체의 골반과의 관계를 나타낸 것
    ⦁하강도(station) : 지표는 양쪽 좌골극으로 태아의 선진부가 양쪽 좌골극을 연결한 선에 도달한 상태 하강도 “0”으로 표시. (위로 1cm 정도에 도달한 경우는 –1, 아래로 1cm만큼 내려갔으면+1)

    3) 만출력
    ⦁만출력의 요소
    -불수의적인 자궁수축
    -수의적으로 내려미는 힘
    -항문올림근의 수축

    ⦁분만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힘은 자궁수축력
    – 적절한 시기에 분만이 시작되고 자궁수축으로 경부의 소실과 개대, 태아 하강과 출산이 이루어짐
    ⦁자궁수축
    – 실제적인 분만과정은 자궁수축에 의해 일어난다. 장시간에 걸진 자궁수축은 경부의 소실과 개대, 선진부 하강을 초래하며 분만 2기에 산부가 밑으로 밀어내는 힘(아래로 힘주는 노력)과 함쳐져 쉽게 분만할 수 있다. 규칙적으로 점진적 변화의 자궁수축은 분만시작의 신호이다.
    ① 수축 : 근육세포들이 단축되고 두꺼워지면서 자궁이 단단해짐

    ② 이완 : 수축이 다 끝난 후 다시 근육세포는 길어지고 이완됨
    ③ 견축 : 자궁근육이 수축되었다가 이완될 시에 덜 이완되므로 점차 두꺼워지면서 자궁하부와 경관의 조직이 당겨져 올라감(분만이 진행되면서 자궁 저부와 상부의 근육이 점차 짧아지고 두꺼워짐)

    출처 : 해피캠퍼스

  • A+자궁경부암 케이스스터디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일반 간호정보
    2. 임상검사(Laboratory Test)
    3. 진단적 검사(초음파, 조직검사, 복강경검사, 방광경검사, 직장경검사, CT, MRI, 기타)
    4. 최종진단명
    5. 치료과정
    6. 투여약물
    7. 수술 후 경과

    Ⅲ. 결론

    본문내용

    ▶정의
    자궁경부암(cervical cancer)은 특성상 침윤전암과 침윤암으로 뚜렷이 구분되며, 발병과정도 다른 어떤 암보다 잘 규명되어 조기진단과 치료법이 잘 발달되어 있다. 국내 침윤성 자궁경부암은 40대 여성에서 가장 발생률이 높고 50대와 30대 여성에서 유사한 분포로 높다. 자궁경부암의 발생률은 최근의 조기발견율 증가로 인해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지만 상대적으로 자궁경부상피내 종양의 발생 빈도는 증가하고 있고, 발생 연령층은 낮아지고 있다.

    ▶원인
    자궁경부암은 역학적 조사에 의해 여러 가지 유발 요인이 밝혀져 있으며, 성접촉성 감염질환 모델이 가장 널라 인정되고 있다. 지금까지 밝혀진 관련 요인은 결혼과 성교, 포경 여부와 음경의 위생상태, 성매개 질환, 인유두종 바이러스 감염, 인종, 사회경제적 특성, 인간 면역 결핍 바이러스 감염 등이다.
    ① 인유두종 바이러스 감염
    HPV 감염은 자궁경부암과 경부의 전암성 병변의 주요 원인이다. 감염이 발생하면 HPV의 DNA는 숙주 세포에 통합되어 악성 형질전환을 이끌어 낸다. 이 악성 형질전환에는 HPV의 종양유전조작 단백질인 E6, E7의 발현이 필요한데, 이 단백질은 HPV에 의해 감염된 세포에서 발견된다. HPV 16이나 18의 복제를 포함하는 자궁경부암 세포주(cell line)는 E6와 E7을 분비한다. HPV DNA는 자궁경부 이상증식을 가진 대부분의 여성에서 발견할 수 있으며 HPV 감염으로 인한 상피내 이상증식은 90%에 이른다. 고등급 병변의 90% 이상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는 HPV 16, 18, 31, 33, 35, 39, 45, 51, 52, 56, 58, 59, 68이며, 이중 HPV 16이 침윤암과 CIN 2. CIN 3에서 가장 흔하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자연분만 케이스

    목차

    Ⅰ. 서론
    ■ 사례연구 필요성

    Ⅱ. 본론
    ■ 문헌고찰
    ■ 자료수집
    ■ 임상검사 ※(의미 있는 검사만 적용하였음 / 생략한 것은 모두 정상임)
    ■ 특수검사
    ■ 기타검사
    ■ 투여약물
    ■ 간호과정 적용

    Ⅲ. 결론
    ■ 소감 및 느낀점
    ■ 참고문헌 목록

    본문내용

    분만실에서 실습을 하면서 정상으로 분만을 하는 경우도 보았고, 정상적으로 분만을 하지 못하는 케이스도 보았다. 정상적으로 분만을 하지못한 것은 어떠한 고위험 문제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여 발표 사례로 선택하게 되었다. 고위험에는 어떠한 원인으로 인해 문제가 있는지 깊이 알아보고자 하여 사례 연구하게 되었다.

    1. 조기파막

    1) 만삭 조기파막
    만삭 조기파막(premature rupture of membrane. PROM)이란 임신 37주 이후 분만이 시작되기 전에 양막이 파열되는 것을 말한다. 임신 37주 이후에 파악될 경우에는 파막 후 24시간 이내에 80~90%가 분만이 시작된다.

    2) 만삭 전 조기파막
    만삭 전 조기파막(preterm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 PPROM)은 임신 37주 미만에 진통이 생기기 전에 파막된 것을 의미하며, 전체 조기파막의 25%, 조산의 25%에서 발생된다. 진통은 파막 후 수일~수주 이후 시작된다. 만삭 전 조기파막은 양수가 갑자기 질로부터 쏟아지거나 천천히 누수된 후에 진단된다. 만삭 전 조기 파막은 만삭 조기파막보다 융모양막염과 자궁내막염의 발생 빈도가 높다. 융모양막염은 양막, 융모막과 양수 내의 감염으로 태아와 임부의 생명을 위협할 수 있다. 대부분 자궁내 감염은 항생제에 잘 반응하지만 패혈증과 모성사망을 초래할 수도 있다. 융모양막염으로 인한 태아의 합병증으로 선천성 폐렴, 패혈증, 뇌막염 등이 올 수 있다. 비록 감염이 없어도 만삭 전 조기파막은 제대탈출, 양수과소증을 유발함으로써 제대가 압박되고 태아의 생명을 위협하는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다.

    ★ 원인
    1) 만삭 조기파막
    조기파막의 확실한 원인은 알 수 없으나 경관무력증, 선진부의 진입지연, 양수과다증과 다태임신으로 자궁내압력이 높은 경우, 산부의 연령, 다산부, 흡연, 조산, 임신중 체중증가의 부족 등과 관련이 있다. 융모양막염(chorioamnionitis)은 융모막과 양막의 감염이고 임부의 감염 시에도 조기파막이 발생되어 조산이 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뇌경색 케이스스터디

    목차

    Ⅰ. 질환에 대한 소개
    Ⅱ. 자료수집
    Ⅲ. 간호진단
    Ⅳ. 간호과정 작성 양식

    본문내용

    뇌경색(Cerebral infarction)
    ▶ 정의
    – 뇌경색은 뇌혈관이 막혀 뇌의 일부가 손상되는 질환을 의미한다.
    – 목 부분에 있는 경동맥, 척추-기저동맥부터 우리 뇌 안에 있는 아주 작은 지름의 동맥까지 어떤 혈관이든 막힐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혈관이 지배하던 부위의 뇌가 괴사하여 지속적인 증상이 남는다.

    ▶ 원인
    – 동맥경화증에 의해 병든 혈관에서 주로 발생하는 혈전(핏덩어리)은 심장에서 뇌로 가는 내경동맥이나 뇌혈관 중 어떤 곳에서든 발생할 수 있다.
    – 혈전이 혈관을 막거나 혹은 처음 형성된 부위에서 떨어져 나가 다른 혈관을 막는 것을 색전이라고 한다.
    – 혈전이 심장이나 굵은 뇌동맥 등에서 떨어져 나와 말단부 뇌혈관을 막아서 뇌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 동맥경화증으로 인해 말단부 혈관이 아주 좁아진 경우 허혈성 뇌졸중이 생길 수 있다.

    ▶ 증상
    – 뇌경색의 증상은 혈관이 막힌 혈관의 위치에 따라 반신 불수, 언어 장애, 시야 장애, 어지럼증, 의식 소실 등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 진단
    – 뇌 전산화 단층촬영(CT)이나 자기공명영상(MRI) 등의 검사를 통해 뇌신경 및 뇌혈관의 상태를 파악한 후, 그에 따른 약물 치료나 수술 치료를 고려합니다.
    1) 뇌 전산화 단층촬영(CT)
    2) 자기공명영상(MRI)

    ▶ 치료
    1) 약물 요법(혈전용해제, 항혈전제)
    ① 혈전용해제
    – 뇌혈관이 막혀 뇌 혈류가 차단되면 불과 몇 시간 내에 뇌 조직에 돌이킬 수 없는 손상이 생긴다. 따라서 수 시간 이내에 막힌 뇌혈관에 혈전용해제를 투여하여 혈관을 막고 있는 혈전을 녹여 뇌 혈류를 재개해야 합니다. 치료가 잘 되면 증상은 즉시 호전되며, 수일 이내에는 완전히 회복된다.

    – 혈전용해제의 투여 방법은 정맥 내 투여 방식과 동맥 내 투여 방식 두 가지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급성 위장염 케이스스터디

    목차

    I. 서론
    ①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② 환아의 전반적 질병의 과정 요약

    II. 문헌고찰
    ① 위장의 구조와 기능
    ② 급성위장염, 탈수 정의
    ③ 급성위장염 병태생리
    ④ 급성위장염, 탈수 원인
    ⑤ 급성위장염, 탈수 증상
    ⑥ 급성위장염, 탈수 진단검사
    ⑦ 급성위장염, 탈수 치료

    III. 간호사정
    ① 투약
    ② 검사 및 처치

    IV. 간호과정

    V. 결론
    ① 소감

    VI. 참고문헌

    본문내용

    I. 서론

    ①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AGE는 소아에게서 급성으로 많이 발생하는 질병 가운데 하나로 입원 이유의 주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설사의 빈도가 높은 질환으로서, 2세 미만 영아에게 잘 일어난다.
    또, 호흡기 감염 다음으로 아동에게 흔한 질병으로 3세 이하의 대부분의 소아가 1~3회의 심한 급성 위장관염을 경험하고 있다. 이처럼 아동에게 흔히 일어나는 질환이면서도 아동 스스로의 극복 능력 부족의 이유로 간호적인 부분에서 많은 지지가 필요한 질환이기에 이 질환의 환아를 사례로 들어 병태생리를 자세히 이해하고 숙지함으로써 이에 따른 간호진단을 내리고 수행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② 환아의 전반적 질병의 과정 요약
    설사와 발열로 인해 개인병원에서 진료를 받았지만 설사와 발열의 지속됨으로 입원하였다. 낮에 묽은 설사 5회하고 체온은 38도로 발열을 보인다.

    II. 문헌고찰

    [ 1. 위장의 구조와 기능 ]
    ▶위장의 기능
    위장은 식도로 들어온 음식물을 소장으로 보내기 전에 저장하고, 위장근육의 수축과 이완이라는 위장운동과 위산과 소화액이 포함된 위액분비를 통하여 음식물을 잘게 부수고 소화시키는 기능을 한다. 또한, 위산은 소화작용 외에 위장으로 들어온 여러 가지 세균을 살균하는 작용을 하며, 위산에 대한 위장점막을 보호하는 점액 또한 분비하여 위장이 점막의 상처없이 지속적으로 움직이도록 한다. 위장은 소화기관 중에서 가장 넓은 부분을 가지고 있으며, 왼쪽 갈비뼈 아래의 윗배의 왼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위장의 위쪽으로는 식도와 연결되고 아래쪽으로는 소장인 십이지장과 연결되어 있다.
    ▶위장의 구조
    위장은 4개 부위로 나눠지는데, 식도에서 위장으로 이어지는 위장의 위쪽 입구인 ‘분문부’, 좌상방으로 불룩하게 내민 ‘위저부’, 중앙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위체부’ 그리고 십이지장을 향해서 가늘어지는 유문부로 나누어진다. 위벽은 안쪽의 점막층, 점막하층, 고유근육층, 장막하, 위장 바깥쪽의 장막층의 다섯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췌장염 케이스스터디

    목차

    I. 서론
    1) 문헌고찰
    (1) 급성췌장염 구조와 기능
    (2) 급성췌장염 정의
    (3) 급성췌장염 병태생리
    (4) 급성췌장염 원인
    (5) 급성췌장염 증상
    (6) 급성췌장염의 진단검사
    (7) 급성췌장염의 치료

    II. 본론
    1) 간호사정
    2) 간호진단
    3) 간호계획
    4) 간호수행
    5) 간호평가

    본문내용

    〔1. 구조와 기능 〕
    췌장은 위와 십이지장 가까이에 있으며, 십이지장 가까이 있는 두부(head)와 체부(body), 지라(비장)쪽에 있는 미부(tail)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위의 뒤쪽 몸통벽과 아래쪽 가장자리 사이에 납작하게 눌려 있는 스펀지 모양의 평평한 복막후선으로, 성인의 경우 길이는 약 14cm 정도이고 두께는 약 2.5cm입니다. 췌장관은 쓸개관(총담관)과 함께 바터팽대부(ampulla of Vater)를 통해 십이지장으로 이어집니다.

    췌장은 위장관의 부속기관으로 내분비와 외분비 기능을 모두 수행합니다. 내분비 기능으로 랑게르한스섬(Langerhans islets)에서 인슐린을 분비하고, 외분비 기능으로는 전해질, 수분, 소화 효소를 분비합니다. 이는 자율신경과 위장관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의 영향을 받습니다. 췌장의 주 기능은 십이지장 내의 pH 조절이며, Na+, K+, Cl-, HCO3-, 등의 전해질을 분비합니다. 중탄산이온(HCO3-)은 장으로 들어온 산성 위액을 중화시켜 췌장 분비 효소들이 기능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이 중화작용으로 장벽이 보호되는데, 십이지장 점막에서 secretin이 분비되면 췌장에서 중탄산이온이 다량 분비되어 pH를 조절합니다. 이 secretin은 췌장에서 재흡수 됩니다.

    췌장에서 분비하는 효소로는 프로테아제(protease: 단백질 분해효소), 아밀라아제(amylase: 탄수화물 분해효소), 리파아제(lipase: 지방 분해효소), 펩티다아제(peptidase: 단백질 분해효소) 등이 있습니다. 단백질 분해효소는 췌장에서 활동하지 않고 십이지장으로 유입되면 비로소 활동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췌장은 자체 단백질 분해효소에 의해 분해되어 손상됩니다.

    부교감신경(미주신경)은 췌장의 분비를 증가시키며 교감신경은 분비를 감소시킵니다. 미주신경의 자극 외에 cholecystokinin도 췌장 효소들을 비활동성의 형태로 분비되도록 자극합니다. cholecystokinin은 단백질이 있을 때 십이지장에서 생성, 분비됩니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