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c/s case study

  • 지역사회간호학 실습) 보건교육계획안 지역1실습 A+받았어용

    목차

    없음

    본문내용

    학습주제
    고혈압 어떻게 하면 관리할 수 있을까?
    주제 선정이유
    대상자가 고혈압에 대한 기본 지식이 부족하고 혈압약 복용에 있어 부족한 부분이 있기 때문이다.
    학습목표
    ■ 고혈압을 이해하고 올바른 투약을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다.

    도입
    (4분)
    반응 형성하기
    학습 문제 파악하기

    ▶ 동기 유발 활동
    ● ’자기혈관 숫자‘에 대한 영상을 보고 느낀점을 말하게 한다.(zoom을 통하여 발표한다.)
    ● 고혈압 증상, 혈압 관련 간이 설문지를 통해 현재 상태에 대해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 학습 문제 안내
    ● 본인 혈압에 대해 확인하고 효과적인 약물 복용을 일상생활 속에 적용할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성인간호학 실습 당뇨환자 case study 간호진단 3, 과정2

    목차

    1. 문헌고찰

    2. 사례보고서
    1) 일반적 사항
    2) 과거력
    3) 의식상태
    4) 감정영역
    5) 비뇨기계와 관련된 자료를 수집하시오.

    3. 대상자의 간호진단 목록 작성

    4. 대상자의 건강문제 해결을 위한 간호를 계획, 수행 및 평가

    본문내용

    병태생리
    – 요로감염증은 요도, 방광, 요관, 콩팥을 포함하는 요로기계 감염을 지칭하는 것으로, 대개는 장내 세균에 감염되어 발생한다.
    – 요로 중 어느 곳에 감염되었는지에 따라 질병명이 달라진다.
    – 요도의 감염증은 요도염, 방광의 감염증은 방광염, 콩팥의 감염증은 신우신염이나 콩팥염이라 불린다.
    – 요관의 감염증은 요관염이라 하지만 요관에 감염이 생기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원인
    – 주 원인: E.coli균
    – 임신, 당뇨
    – 요도구를 통한 하부 요로계의 감염과 균이 축적
    – 곰팡이, 바이러스의 감염
    – 하부 소변이 상부로 역류하는 방광요관 역류
    – 장기간 유치도뇨관을 했을 경우
    – 양성 전립선 비대증으로 인한 요로폐색, 요로협착, 요로결석 등에 따른 하부 요로계 기능장애

    신우신염(Pyelonephritis)
    – 신우와 신배의 염증
    – 하부 요로계에서 상행성감염
    – 방광요관 역류, 혈행성
    – 임부, 당뇨병, 고혈압 환자

    방광염(cystitis)
    – 요로 감염 중 가장 흔함
    – 세균성 감염에 대한 2차 감염
    – 요도를 통한 상행성
    – 드물게 신장통한 하행성

    요도염(Urethritis)
    – 남성 : 성병
    – 여성 : 폐경기 estrogen↓
    – 성교에 의한 상행성 감염

    <중 략>

    출처 : 해피캠퍼스

  • 뇌출혈(Cerebral hemorrhage)_A+ CASE STUDY(간호진단 6개/비효과적 기도청결, 뇌조직 관류의 위험, 감염위험성, 피부통합성 장애, 영양불균형, 활동의 지속성 장애)

    목차

    1. 임상자료 수집
    2. 비정상자료 목룍
    3. 환자문제의 초안(관련 자료 묶음)
    4. 간호진단
    5. 개념도(Concept maps)
    6. 간호중재(진단&계획&평가)

    본문내용

    (1) 임상자료 수집(Gathering Clinical Data)

    간호병동
    NICU
    환자 성명
    김OO
    나이
    77세
    성장과 발달
    자아통합 대 절망감
    성별
    M
    입원날짜
    2021.10.28

    *의학 진단명
    : Lobar intracerebral hemorrhage

    *입원사유(History of present illness)
    : P/I
    2021.10.28.
    PM 5:00 병원가야겠다고 보호자 얘기함.
    PM 5:30 왼쪽 팔다리에 힘이 빠져 119 불러서 오는중 Mental deterioration 발생하여 본원 응급실 내원.

    P/ex
    Mental : E1V1M1 -3/15 semi coma
    motor : uncheckable
    2021.
    05.27
    C/C
    : 1. dizziness
    : 2. disturbance. gait
    PI or PHx
    : 작년부터 말이 어둔하다. 당시 local에서 시행한 brain MRI: mild cerebellar atrophy
    머리가 간혹 띵하다.
    걸으면 휘청거린다.
    shuffling gait(+)
    1달전 내리막을 내려가다가 넘어졌다. 앉았다가 일어서면 어지럽다. + Lt.limb ataxia
    2021
    .06.03
    VOG:bilarteral saccade and pursuit impairment
    AFT : normal
    cerebellar ataxia로 work up
    2021.
    08.03
    오토바이를 타고 가다가 중심을 잃고 넘어져 local에 입원중. shoulder fx로 수술.

    출처 : 해피캠퍼스

  • 신생아실 AGA 적정체중아, 잠복고환_A+ CASE STUDY(간호진단4개/비효율적 호흡양상, 체온유지능력 저하 위험성, 흡인의 위험, 피부 손상 위험성)

    목차

    1. 분만관련정보

    2. Self study

    3. 간호진단
    : 비효율적 호흡양상, 체온유지능력 저하 위험성, 흡인의 위험, 피부 손상 위험성

    4. 간호중재(진단&계획&평가)
    : 일반적 목표, 행동성과 목표, 간호계획, 근거, 간호수행, 평가

    본문내용

    분만관련정보
    산모이름
    서oo 산모
    산모 나이
    37세
    배우자나이
    39세
    신생아인식표
    ■신생아발찌
    모유수유
    ■원함 □원치 않음
    Apgar Score

    1분
    5분
    HR
    2
    2
    Resp. Effort
    1
    2
    Muscle Tone
    2
    2
    R.Irritability
    1
    2
    Skin Color
    1
    1
    Total
    7
    9

    양막파수
    ■SROM □PROM
    분만형태
    ■유도분만 □제왕절개
    산모 건강상태

    – 산과력: gravida 0회, abortion 0회, SA(spontaneous abortion) 0회
    – 병력 : r/o cervical polyp dx at 본원(2020.10.15.)
    Hx of adm d/t r/o oligohydramnios oligohydramnios : 양수과소증 – 임신 말기에 양수가 300ml 이하인 상태
    , preterm labor pain, at 본원
    d/t fetal movement, decreased – Tracsiban #2.

    신생아관련정보
    출생일
    2020년 11월 10일
    성별
    ■남 □여
    현재입원일
    2일째
    재태기간
    36주 3일
    출생 시 체중
    2710g
    현재 체중
    2710g
    → 측정 예정
    분류
    ■정상 □LBW □VLBW □ELBW
    Vital sign
    체온 36.4℃, 맥박140회, 호흡 55회
    성장특성
    신장 49cm(50-90 percentile AGA), 체중2710g(25-50 percentile AGA),
    두위33cm(50-90 percentile AGA), 흉위 31cm, 복위 28cm
    탯줄확인
    ■2A1V □1A1V □기타___
    Activity
    □좋음■보통□약함□나쁨
    호흡기

    출처 : 해피캠퍼스

  • 임신성 당뇨(GDM)_A+ CASE STUDY(간호진단 6개/출혈 위험성, 급성통증, 감염위험성, 혈당조절의 위험, 변비, 불안)

    목차

    1. 간호정보조사지
    2. GDM self
    3. 신체사정자료
    4. 통증
    5. 산과력
    6. 산전진찰 기록
    7. 검사실 자료
    8. 진단검사
    9. 투약
    10. 기타(알러지와 통증, 식이요법, 활동, 신경학적/정신상태 등)
    11. 비정상자료
    12. 환자문제의 초안(관련 자료 묶음)
    13. 간호문제 목록
    14. 개념도
    15. 간호진단&중재&평가

    본문내용

    < GDM (Gestational Diabetes Melitus), 임신성 당뇨 >

    ▶ 정의
    원래 당뇨가 없던 사람이 임신 20주 이후에 당뇨병이 발생하는 경우를 말한다. 태아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인해 임신부의 인슐린 기능이 떨어지게 되면 정상적으로 이를 극복하기 위해 췌장에서 인슐린 분비가 증가하게 되는데, 이때 인슐린 분비가 충분치 않을 경우 임신성 당뇨가 발생하게 된다.
    임신 중에는 호르몬과 여러 생리학적 변화로 인해 당뇨가 발생할 수 있으며 출산 후에는 대부분 정상 혈당으로 돌아옵니다. 그러나 임신성 당뇨병이 있는 경우 이는 태아와 산모 모두에게 모두 영향을 끼칠 수 있고, 나중에 제 2형 당뇨병이 발생할 위험성이 높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중 략>

    ⊙ 간호가 필요한 이유
    : 본 대상자는 Preeclampsia imp하 w/u 및 manage 위해 입원하여 Emergency cesarean section(12/7)후 통증 및 불안을 호소하고 있으며 출혈위험, 감염의 위험이 있어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부] Diabetes mellitus arising in pregnancy로 불안정한 혈당수치를 보이고 있고, 잘못된 식사패턴 및 자기 관리 의욕 부족으로 혈당관리를 위한 식습관 교육이 필요하다.

    <중 략>
    1. 간호정보조사지
    2. GDM self
    : GDM 정의, 검사/시술/수술 방법
    : 자간정증정의, 검사
    3. 신체사정자료
    4. 통증
    5. 산과력
    6. 산전진찰 기록
    7. 검사실 자료
    8. 진단검사
    9. 투약
    10. 기타(알러지와 통증, 식이요법, 활동, 신경학적/정신상태 등)
    11. 비정상자료
    12. 환자문제의 초안(관련 자료 묶음)
    13. 간호문제 목록
    14. 개념도
    ★★ 간호진단&중재&평가(간호진단 1개당 한페이지 이상!!)★★
    : 일반적 목표, 행동성과목표, 계획, 간호수행, 평가

    출처 : 해피캠퍼스

  • 자궁경부암(Cervical cancer)_A+ CASE STUDY(간호진단 6개/수면장애, 무력감, 만성통증, 불안, 변비, 감염의 위험)

    목차

    1. 간호정보조사지
    2. 자구경부암(Cervical cancer) self study
    3. 신체사정자료
    4. 검사실자료
    5. 투약
    6. 알러지와 통증
    7. 치료
    8. 식이요법/ 수분섭취
    9. 기타( 배설, 활동, 근골격계 등)
    10. 비정상자료 목록
    11. 개념도 초안
    12. 간호진단
    13. 개념도(concept map)
    14. 간호문제&중재&평가

    본문내용

    Self study
    정의
    : 자궁경부암이란 자궁의 입구인 자궁경부에 발생하는 여성 생식기 암이다.

    자궁경부 표면의 정상 상피세포에서 시작하여 미세한 현미경학적인 변화가 발생하는 자궁경부 상피내이형성증(정상조직과 암조직의 중간)을 거쳐, 상피 내에만 암세포가 존재하는 자궁경부상피내암(자궁경부암 0기)으로 진행하고, 이 단계에서 발견하지 못하여 치료하지 못하면 다시 침윤성 자궁경부암으로 진행한다. 정상 상피세포에서 침윤암이 되는 과정은 수년 내지 수십 년에 걸쳐 서서히 진행된다.

    <중 략>

    < 비정상 자료 목록(Abnormal data list) >

    * 주관적 자료

    S1 : “속이 메쓰거워요.”
    S2 : “변은 이틀에 한번정도 보는데 시원하지도 않고 불편감이 있네…”
    S3 : “입원 당일 날은 그래도 잘 잤는데, 속이 울렁거리니까 잠을 못자겠어.”
    S4 : “밥도 제대로 못 먹고 이젠 잠도 제대로 못자고 있으니…힘들다.”
    S5 : “금식하다가 밥을 먹어서 그런가 배는 고픈 것 같은데 입맛도 없고 소화도 안되네.“
    S6 : “불안하면 혈압 높게 나와요..나중에 하면 안될까요?“
    S7 : “아무것도 하기싫다…”
    S8 : “선생님들은 젊고.. 좋겠어요…난 요즘 거울 보기가 싫던데..“
    S9 : “진통제 좀 주세요.”
    S10 : “치료받으면 괜찮아지는 거 맞나….모르겠다..“

    * 객관적 자료

    O1. 의학진단명 : Cervical cancers stage 2B(C539)

    출처 : 해피캠퍼스

  • 저위전방절제술(LOW anterior resection)_A+ CASE STUDY(간호진단 6개/급성통증, 변실금, 요정체, 감염위험성, 지식부족, 피부 통합성 장애의 위험)

    목차

    1. 수술환자 기본사항
    2. 수술정보
    3. 회복실 간호
    4. 간호진단&중재

    본문내용

    (1) 수술환자 기본사항
    이름: 장O규
    성별: M
    연령: 55세
    진료과:
    진단명: Malignant neoplasm of rectum

    History :
    ① 2020.08.11. LMC에서 시행한 colonscopy에서 rectal cancer로 진단받고 본원 CR opd 내원하여 시행한 DRE에서 AV 10cm, finger tip mass 소견 보였고 2020.08.25. CEA : 95.2 , CT : Rectosigmoid colon cancer , Chest CT : U-R, MRI : MR stage T4aN2b, PET CT : Rectosigmoid colon cancer without distant metastasis, suggestive 소견 보임. 2020.9.15. CCRT 시작하여 2020.10.16. RT 종료하였고 2020.11.17. CEA : 5.0 , CT : Much decreased size of rectosigmoid colon cancer and lymphadenopathy MR stage T3N2b 소견 보였고 2020.11.24. op 위해 본원 CR 내원함.

    ②가족력 없음.

    P/I :
    # DM
    # rectal cancer

    Malignant neoplasm of rectum

    → 직장암은 대장암 중에서 직장에 생긴 악성종양을 말한다. 직장은 대장의 마지막 부분으로 길이는 약 12~15cm이고 항문으로 이어진다. 점막층, 점막하층, 근육층, 장막층으로 나뉘어져 있고, 직장암은 장의 점막에서 선암으로 시작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외에도 유암종, 림프종, 육종, 편평상피암 등이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만성신장병(CKD)_A+ CASE STUDY(간호진단 6개/급성통증, 영양불균형, 불면증, 자기돌봄결핍, 감염위험성, 낙상위험성)

    목차

    (1) 임상자료 수집(Gathering Clinical Data)
    (2) 비정 자료 목록(abnormal data list)
    (3) 환자문제의 초안(관련 자료 묶음)
    (4) 간호진단 목록(Nursing Diagnosis list) 확정
    (5) 개념도(Concept Care Maps)
    (6) 간호문제/간호진단

    본문내용

    간호병동
    환자 성명
    장OO
    나이
    49세
    성장과 발달
    7단계 중년기
    (생산성 vs 침체감)
    성별
    F
    입원날짜
    2020.08.28

    *의학 진단명
    : Chronic kidney disease stage5

    *입원사유(History of present illness)
    : 2020.08.29. DDKT (Deceased donor kidney transplantation) 수술 위해 입원함.

    2019.03.20
    CKD-PD13yr
    (화, 목, 토)
    2019.04.25
    오후 1시 두류봉 85번지 클래식 명가 앞 도로에서 오토바이를 타고 가다가 도로 틈에 바퀴가 끼어 넘어져 오른팔 부상으로 본원 ER 내원함.
    2020.04.02
    Bipolar hemiarthroplasty, hip(right)
    2020.04.09
    Bipolar hemiarthroplasty, hip(left)
    2020.08.28
    DDKT (Deceased donor kidney transplantation) 수술 위해 입원함.
    2020.08.29
    DDKT 수술함.

    *과거력
    ● HTN
    ● CKD on HD
    ● MDD
    ● Panic disorder

    *외과력
    : 2020-04-02 Bipolar hemiarthroplasty, hip(right)
    : 2020-04-09 Bipolar hemiarthroplasty, hip(left)

    *현재 주요 호소(chief complaint)
    ● 통증(수술부위, 관절통)
    ● 불안
    ● 수면장애
    ● 전신쇠약

    ● “오늘은 더 이상 주사 안 맞아도 되는거죠…?“
    ● “또 검사 받으러 가야해요…?”
    ● “수술부위도 아프고 다리도 왜 이리 아픈건지…”
    ● “나는 몰라…언니한테 말해봐요..”
    ● “아프고 힘도 없으니까 당연히 입맛도 없지…”
    ● “피곤하다…아무것도 하기 싫어.“

    * 가족력( family tree )
    : 부 – bladder cancer
    : 모 – gastric cancer

    * 가족관계도

    출처 : 해피캠퍼스

  • 성인간호학실습 Case Study

    목차

    A. 환자 사정
    B. 환자문제의 초안(관련 자료 묶음)
    C. 간호진단 목록(Nursing Diagnosis list) 확정
    D. 개념도(Concept Care Maps)
    E. 간호계획, 수행, 평가

    본문내용

    날 짜 성 명 나이 성 별 입원 날짜
    2015. 11. 19 이◯◯ 3 M 2015. 11. 13

    A. 환자 사정

    I. 입원 사유
    a. 입원 동기
    내원 1일 전 오전 치즈를 먹고 vomiting(#1, food content) 한 차례 하였고 상기 증상 지속되어 evaluation 및 treatment 위해 본원 ER통해 PG 입원함.

    b. 의학적 진단
    Small bowel obstruction
    Acute peritonitis

    c. 증상과 징후
    통증, 구토, 허약감

    II. 현재력
    내원 12일 전 pm 3부터 abd. pain (periumbilical, 20min-30min 지속, #10, not cyclic, not colicky) develop되었고 pm 4:30부터 vomiting (#10 이상, postprandial, regurgitant, not bloody, not bilous) develop되어 내원 11일 전 ER 통해 본원 PGS. adm. 하여 small bowel wedge resection op 후 내원 2일 전 퇴원하였고 이후 변 보지 못하며 abdominal pain (dull, whole abdomen, continuous) 있고 식사를 잘 하지 못하였다고 하며 내원 1일 전 vomiting 증상 지속되어 입원함.

    III. 가족력
    (-)

    IV. 과거력
    a. 산과력
    (-)

    b. 출생력 (재태연령, 출생순위 등)
    IUP 40주, 4200gm, 자연분만으로 출생하였으며 모유수유함. 첫 째 아이임.
    c. 출생시 상태(APGA Score 등)
    만삭아로 출생 당시 good activity, crying 보임.
    d. 예방접종

    1차 2차 3차 추가
    4차 추가
    5차 추가
    6차
    BCG √
    B형간염 √ √ √ √ √
    DPT √ √ √ √
    소아마비 √ √ √
    MMR √ √
    수두 √

    출처 : 해피캠퍼스

  • 여성간호학실습 분만실 제왕절개 C/S case study 사례보고서, 문헌고찰 ~ 간호진단 및 간호과정 3개 포함

    목차

    I. 문헌고찰
    1. 유형
    2. 적응증과 금기증
    3. 간호중재

    Ⅱ. 자료수집
    1. 간호력
    2. 신체검진(Physical examination)
    3. 분만과정 요약
    4. 분만관련 정서적 상태 및 요구도 사정
    5. 제왕절개분만의 산욕기 사정기록지
    6. 임상 검사
    7. 투여 약물

    III. 간호진단 목록

    IV. 간호과정

    본문내용

    ※ 제왕절개분만(cesarean section delivery)
    제왕절개술은 복강을 가르는 수술이라는 사실에 유념한다. 제왕절개분만을 위한 수술과정에 가족이 참여할 수 없어 때때로 부모역할 적응에 영향을 주게 된다. 제왕절개술은 질식분만에 비해 모성사망률이 2~4배 높고 이환율이 증가한다. 제왕절개술 후 외과적 합병증인 출혈, 마취 부작용, 골반 또는 복부장기 상해, 감염(창상부위, 자궁내막, 비뇨기) 등이 발생할 수 있다.

    1. 유형
    가. 자궁하부절개(low segment)
    가장 흔히 사용되는 절개방법이다. 이 절개는 치구 수준에서 피부를 횡으로 자궁하부를 수평으로 절개하는 방법으로 절개부위가 쉽게 치유될 뿐만 아니라 피부절개선은 차후 치모에 의해 은폐된다. 장점으로는 혈액손실이 적고 합병증도 거의 없으며, 차후 질 분만 시 자궁근무력 및 반흔으로 인한 자궁파열의 위험, 수술 후 복부팽만이 적게 생긴다는 것이다.
    나. 고전적 절개(classic type)
    피부 및 자궁체부 벽에 수직적 정중선절개가 이루어진다. 태아 만출을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는 이점 때문에 과거 수술로 인한 복부유착이 있는 경우, 태아가 횡위인 경우, 응급분만 시 적용할 수 있다. 그러나 혈액손실 및 차후 분만 시 자궁파열의 위험이 증가한다.

    2. 적응증과 금기증
    제왕절개분만의 일차적 목표는 생명을 보존하고 산부와 태아의 안녕을 도모하는 것이다.

    적응증
    – 아두골반 불균형(CPD): 가장 흔한 원인
    – 태위이상: 횡위나 둔위
    – 자궁기능부전
    – 과거 제왕절개분만
    – 과거 난산으로 연조직 손상
    – 유도분만의 실패
    – 생식기의 음부포진 감염
    – 임신합병증: 임신성 고혈압
    – 모체당뇨병
    – 모체합병증
    – 태반부전: 지연임신 시 태반의 노화
    – 기타 고위험 산과적 요소

    금기증
    – 태아사망, 미숙아 등

    3. 간호중재
    가. 수술 전 산부간호

    수술 전 교육과 지지 제공
    – 수술에 대한 산부의 사전지식 파악 및 수술 이유 설명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