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c/s case study

  • [수술실 실습A+] 교수님 극찬 ORIF 자세한 수술 과정/간호과정 1개(감염의 위험)

    목차

    1. ORIF 수술 소개(사진 첨부한 수술 과정 포함)
    2. 수술 전/중/후 사정과 간호
    3. 참고문헌

    본문내용

    C. 대상자의 질병, 수술에 대한 일반적 소개

    1. 골절(fracture)의 원인

    직접적인 외상으로 인한 골절
    – 교통사고, 타박, 총상 등으로 인해 생긴 골절
    간접적인 외상으로 인한 골절
    – 뼈에 붙은 근육이나 인대가 갑작스럽게 힘이 가해지면서 뼈를 잡아당겨 골절이 생기거나 뼈에 회전력 등이 가해져 생긴 골절
    병적골절(불충분골절)
    – 골다공증, 종양, 감염 등으로 약해진 부위로 인해 생긴 골절
    피로골절
    – 뼈의 일정한 부위에 반복되는 스트레스가 가해질 때 점차적으로 생긴 골절
    – 군인이나 전문적인 운동선수들에게서 장거리 행군이나 반복된 훈련 후 발생

    2. 골절(fracture)의 병태생리
    뼈는 분필처럼 부스러지는 것이 아니라 질기고 탄성이 있어 부딪히거나 뒤틀릴 때 튼튼한 나뭇가지처럼 반응하며 정상적으로 뼈는 어느정도 내적인 저항력이 있으며 외력을 흡수할 수 있는 능력이 있지만 뼈의 탄성 한도, 즉 뼈가 견디어 낼 수 있는 흡수점 이상에 이르게 될 경우 골절이 발생한다.

    3. 일반적 증상 및 증후
    골절의 형태와 위치, 관련 조직의 손상 유무에 따라 다양하다. 일반적으로 통증, 압통, 기능상실, 변형, 위축, 국소부정, 반상출혈, 마찰음 등이 나타난다.

    4. 골절 치료 및 간호
    – 치료 목적: 손상된 부위가 합병증 없이 최대한의 기능을 유지하도록 하고 외관상 보기좋은 결과로 환원하는 것

    정복
    (reduction)
    골절편을 해부학적 위치로 재정립함
    고정
    (fixation)
    골절 치유가 충분히 이루어질 때까지 정복된 위치를 고정함
    재활
    (rehabilitation)
    근육, 관절, 건의 기능을 다시 찾음

    ① 수술(ORIF)의 목적 및 적응증
    골절로 인해 뼈가 적절한 선열에서 벗어난 경우 또는 관절면의 불일치가 발생한 경우 골절부의 정복을 시도한다. 비개방교정이 불가능하거나, 관혈적정복으로 정확한 정복을 하지 않을 경우 예후가 불량할 것으로 예측되는 경우, 골절 주위 신경이나 혈관의 동반 손상이 의심되는 경우 등에서 개방정복술을 시행한다.

    ② 방법
    1. 전신마취 하에 supine position을 위치하게 하고 마취 후. sitting position을 취하게 한다.
    2. 골절 부위의 cast(붕대)를 풀고 골절 부위를 노출한 후 C-arm으로 골절부위를 확인한다.
    3. upper extremity에 betadin과 Alcohol을 통해 draping 한 후 멸균포로 대상자를 덮고 수술부위만 노출시킨다.
    4. knife(metzenbaum)로 수술 부위 15cm를 incision한 후 골절이나 해당 관절을 덮고 있는 부위의 연부조직을 curette과 knife를 통해 절개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정신간호학실습-조현병 사례연구(CASE STUDY)

    목차

    Ⅰ. 정의
    Ⅱ. 원인
    Ⅲ. 증상
    Ⅳ. 진단기준 (DSM-V)
    Ⅵ. 간호과정 1
    Ⅵ-1. 간호과정 2

    본문내용

    Ⅰ. 정의
    이 병에 걸린 환자들을 장기간 관찰한 결과, 비교적 어린 나이에 발병하고, 만성적이고 황폐화되는 결과를 보이기 때문에 조발성 치매라고 명명했다. 1900년대 초, 블로일러는 조발성 치매를 ‘마음의 분열’이라는 의미인 ‘schizophrenia’로 개명했을 뿐만 아니라, 이 병이 단 한 가지 유형만 있는 것이 아니라 몇 가지 유형이 있다고 하였다. 슈나이더는 조현병 증상을 1급과 2급 증상으로 구분하였고, 1급 증상에는 정신병적 망상이나 환각 등이 있으며, 2급 증상에는 정신병적 망상이나 환각을 제외한 기타 질병과 관련된 행동 및 경험 등이 있다고 했다.
    조현병(정신분열병)은 10대 후반에서 20대의 나이에 시작하여 만성적 경과를 보이는 정신적으로 혼란된 상태, 현실과 현실이 아닌 것을 구별하는 능력의 약화를 유발하는 뇌 질환이다. 이 질환은 100명 중 1명이 걸리는 흔한 질환이며, 모든 계층의 사람이 걸릴 수 있다. 남녀의 발병 빈도는 비슷하다.
    [참고문헌]
    – Mary Ann Boyd 저 (2021), 실무중심의 정신건강간호학 제6판 수정판, 현문사
    – 서울 아산병원, “조현병”,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578

    Ⅱ. 원인
    1970년대 이후 심인론에서 신경생물학적 이론으로 대치됨.
    1. 생물학적 이론
    – 최근 이론은 태아기에서 청소년기까지의 뇌신경발달에 초점을 두고 있음.

    출처 : 해피캠퍼스

  • A+성인간호학실습-뇌출혈 사례연구(case study)-NSICU 실습 케이스 스터디

    목차

    없음

    본문내용

    간호진단
    매슬로우
    욕구 단계
    (1-5점)
    해결 가능성
    (1-3점)
    문제 심각성
    (1-3점)
    대상자 요구도
    (1-3점)
    총점
    순위
    37.5℃이상으로 나타나는 두개내출혈과 관련된 고체온
    5
    3
    3
    3
    14
    1순위
    FLACC 5점 이상, ABP 상승으로 나타나는 질병으로 인한 두개내압상승, 두개내출혈과 관련된 두개 내 적응능력 감소
    5
    3
    3
    2
    13
    2순위
    의식수준저하로 인한 분비물의 부적절한 배출과 관련된 비효과적 기도청결
    5
    3
    2
    3
    13
    3순위
    의식수준저하로 인한 비위관 영양섭취와 관련된 영양불균형: 신체요구량보다 적음
    5
    3
    2
    1
    11
    6순위
    FLACC 5점 이상으로 나타나는 두 개내압상승과 관련된 급성통증
    5
    3
    2
    2
    12
    4순위
    혈당 200mg/dL이상으로 나타나는 두 개내출혈과 관련된 불안정한 혈당수치의 위험
    5
    3
    2
    1
    11
    5순위
    동맥내카테터, 두개내가테터삽입과 관련된 감염의 위험
    4
    3
    1
    1
    9
    8순위
    의식수준저하와 관련된 낙상의 위험
    4
    3
    1
    1
    9
    10순위
    3일 이상 변 못봄으로 나타나는 의식수준저하로 인한 장운동저하와 관련된 변비
    5
    2
    2
    1
    10
    7순위
    동맥내카테터 삽입, 두개내카테터 삽입과 관련된 출혈의 위험
    4
    2
    2
    1
    9
    9순위
    우선순위 선정 이유 : 대상자 분은 모야모야병 진단받아 혈관이 잘 터지는 질환으로 모야모야병으로 뇌출혈 발생한 case이다. 계속해서 semicoma한 상태 유지 중이시며 11일 11시부터 발열 발생하여 Denogan 투여함에도 불구하고 38도 이상으로 체온 상승하여 투약한 약물에 대해 효과보이지 않은 상황이다. 뇌출혈로 인해 발생한 고체온으로 생각하여 다른 진단보다 급 우선으로 해결해줘야 하는 문제라고 판단하여 1순위로 잡았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아동간호학실습A+ 급성세기관지염 case study

    목차

    Ⅰ. 간호사정
    1. 일반적 정보
    2. 과거력
    3. 가족력
    4. 예방접종
    5. 현재 건강상태
    6. 신체사정 및 건강상태 사정
    7. 성장발달 사정
    8. 진단검사
    9. 방사선검사
    10 투약

    Ⅱ. 간호과정
    1. 염증반응과 관련된 고체온
    2. 좁아진 기관지와 관련된 비효과적 호흡양상
    3. 점액 분비물 증가와 관련된 비효율적 기도청결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

    A. 일반적 정보
    (1) 성별: 남 ■ 여 ☐ (2) 출생일:
    (3) 월령: 1년 1개월 (4) 입원일:
    (5) 진단명(medical diagnosis): Acute bronchiolitis due to respiratory syncytial virus
    (6) 주호소(chief complaint): fever, 기침
    (7) 현병력(present illness): 상기 13M 남자 환아 IUP 36wks, 30.5kg, NSVD, 7/16 local에서 아데노 바이러스 확진 받았던 환아로 내원 당일 아침부터 peak 39도 intermittent한 양상의 fever 있어 응급실 통해 입원함

    B. 과거력
    (1) 분만형태: 자연분만 ☐ 제왕절개 ☐ (2) 출생 시 체중:
    (3) 임신기간이나 출산 시 투약: 무 ☐ 유 ☐ ( )
    (4) 임신기간이나 출산 시 건강문제: 무 ☐ 유 ☐ ( )
    (4) 과거 입원력 및 수술력:

    C. 가족력
    (1) 가족력(가족 구성원, 만성질병, 유전성 질병, 사망 시 원인/나이 등 가계도를 이용하여 작성)

    D. 예방접종

    필수예방접종
    #1
    #2
    #3
    #4
    #5
    #6
    결핵(BCG)

    B형 간염

    디프테리아/파상풍/백일해(DTaP)

    홍역/볼거리/풍진(MMR)

    수두

    소아마비(폴리오)

    일본뇌염

    폐렴구균

    인플루엔자

    기타(A형 간염)

    기타(뇌수막염)

    E. 현재 건강상태
    (1) 식이습관: 모유수유 ☐ 분유수유 ☐ 이유식 ☐ 일반식 ☐ 기타 ☐
    (2) 배뇨습관: ( )회/일, 기타:
    (3) 배변습관: ( )회/일, 기타:
    (4) 수면습관: ( )시간/일
    (5) 알레르기: 무 ☐ 유 ☐ (약물: 음식: 기타: )
    (6) 복용약물: 무 ☐ 유 ☐ ( )

    출처 : 해피캠퍼스

  • 무릎관절증 성인간호학 실습 케이스스터디(TKR환자) 간호과정 3개 포함/ A+인증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본론
    1. 문헌고찰
    2. 간호사례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무릎관절증은 무릎에 염증이 발생하는 모든 질환을 말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통계에 따르면, 2010년 222만 331명이던 무릎관절증 환자가 매년 꾸준히 증가해 2018년에는 295만 6740명을 기록했다. 2018년을 기준으로 환자의 성별을 살펴보면 여성이 약 70.3%(207만 7327명), 남성이 약 29.7%(87만 9413명)를 차지해 여성 진료 인원이 남성보다 2배 이상 많다는 사실도 알 수 있다. 여성에게 호발하는 이유는 폐경 이후 골밀도가 낮아지면서 관절과 주변의 근육이 약화돼 무릎관절증에 걸릴 확률이 상당히 높아진다. 하이힐과 같이 굽이 높은 구두를 신거나 집안일을 하며 쪼그려 앉는 등 생활습관도 무릎에 무리를 주기 때문이다.
    또한 무릎관절증은 50대 이상의 연령의 환자가 전체의 약 91.3%를 차지하는 질환이다. 우리나라는 현재 고령화 사회로 아래 그래프를 보면 중위연령이 지속해서 상승하고 있으며 50대 이상의 인구가 늘어남에 따라 무릎관절증을 겪게 되는 인구가 늘어날 것이다. 무릎관절증은 우리나라에 흔히 발생하는 질환으로 자리를 잡게 될 것이다. 이에 따라 우리는 무릎관절증이 어떤 질환인지 잘 알아야 하며 예방하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본론
    1. 문헌고찰
    1) 무릎관절증
    (1) 정의
    무릎관절증(gonarthrosis)이란 무릎에 염증이 발생하는 모든 질환을 포괄하는 말로 슬관절의 통증과 기능장애를 일으킨다. 쉽게 말해 우리가 흔히 아는 퇴행성 관절염도 여기 포함된다. 무릎관절염의 증상이 나타나고 X-ray 상으로 관절염의 징후가 나타난다면 이는 무릎관절염이라는 진단을 내리게 된다. 하지만 무릎관절염의 증상만 나타나고 검사상의 징후가 나타나지 않는 경우 무릎관절증이라는 진단을 내리게 된다. 이때 X-ray에서 볼 수 있는 무릎관절염의 징후는 보통 무릎 사이의 간격과 골학적 변화이다.
    무릎관절증은 일차성 무릎관절증과 이차성 무릎 관절증으로 나눌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성인간호학실습 심부정맥혈전증(DVT) CASE STUDY

    목차

    Ⅰ. 서론
    1. DVT(심부정맥 혈전증) 문헌고찰

    Ⅱ. 본론
    1. DVT 환자 간호 정보 조사지
    2. DVT 사례연구
    3. DVT(심부정맥 혈전증) 간호과정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1. DVT(심부정맥 혈전증) 문헌고찰
    1) 정의
    정맥 혈전증은 정맥에 염증과 혈전이 형성되는 것이다. 이것은 정맥질환의 흔한 장애이며 표재정맥 혈전증(SVT)과 심부정맥 혈전증(DVT)으로 구분된다. 심부정맥혈전증은 심부 혈관에 혈전이 생기는 것으로, 장골정맥 혹은 대퇴정맥과 같이 하지의 정맥 내에 생긴 혈전으로 인하여 발생한다. 하지 혈관의 특정 부위에서 떨어져 나온 혈전이 우심방, 우심실을 거쳐 폐동맥으로 흘러가 폐동맥을 막으면 폐색전증을 유발할 수 있다. 주로 오랜 침상생활을 하거나 외상을 입었거나 혈전이 생기기 쉬운 상황에 처했을 때 발생한다.
    심부정맥 혈전증은 오랜 기간 앉아 있거나 장시간 침상에 누워 있을 때, 외상이나 수술 후 혹은 관련된 과거력이 있을 때, 유전적인 소인이나 악성 종양으로 인해 혈액이 응고되기 쉬운 경우에 높은 비율로 발생한다.
    위험인자는 크게 정맥정체, 혈액의 과응고력, 정맥벽의 손상 세 가지로 나누어볼 수 있다.

    ① 정맥정체
    – 노화 – 비만
    – 심방세동 – 정형외과 수술(특히 골반, 하지)
    – 침상안정 – 임신과 산후기간
    – 만성심부전 – 지속적인 부동
    – 다리, 골반 골절 – 척추손상 또는 하지마비
    – 뇌졸중 – 정맥류

    ② 혈액의 과응고력
    – 항인지질항체 증후군 – Antithrombin Ⅲ 결핍
    – 탈수 또는 영양실조 – Factor Ⅷ 또는 lipoprotein의 상승
    – 조혈작용 촉진 약물 – 악성종양

    ③ 정맥벽의 손상
    – 복부와 골반 수술 – 골반, 고관절 혹은 다리 골절
    – 정맥혈전색전증의 과거력 – 말초 중심정맥관 삽입

    출처 : 해피캠퍼스

  • A+ 자료 여성건강간호학 제왕절개 C/S cesarean section case study(간호진단 3개)(간호과정 3개)

    목차

    목 차

    Ⅰ. 문헌고찰
    1. 제왕절개 정의
    2. 제왕절개 적응증
    3. 제왕절개 종류 및 과정
    4. 제왕절개에 대한 간호
    5. 제왕절개 합병증과 위험성

    Ⅱ. 연구 기간 및 방법

    Ⅲ. 간호사정

    Ⅳ. 간호과정의 적용
    1. 간호진단
    2. 간호과정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문헌고찰

    1. 제왕절개 정의
    임신부의 복부를 절개하여 태아를 출산하는 것으로 복벽과 자궁의 절개를 통해 자궁으로부터 태아를 꺼내는 것이다. 모든 분만의 25% 정도를 차지한다. 의료기술과 장비, 항생제의 발전으로 사망률이 낮아져 심각한 문제가 되지는 않았지만 자연분만에 비해 산모와 태아에게 미치는 위험은 더 크다.

    2. 제왕절개 적응증

    산모측 요인
    – 협골반으로 태아의 머리보다 골반 크기가 작을 때

    – 35세 이상의 노초산모

    – 임신중독증 (전자 간 혈압이 130/90 이상으로 단백뇨가 나오고 전신에 부종이 나타날 때, 자간 혈압이 190/90 이상
    으로 단백뇨가 나오며 간질까지 하는 때)

    – 출산 12시간 전에 양수가 터져 아기의 감염이 우려되는 때

    – 출산 전에 양수가 터져 탯줄이 밖으로 나온 때

    – 태아를 밀어내는 자궁의 힘이 약할 때

    – 산모의 혈액형이 RH(-)일 경우

    – 기존에 제왕절개술을 한 경험이 있는 산모

    – 성병으로 자궁경부나 질에 균이 있을 때

    – 유도분만에 실패했을 때
    태아측 요인
    – 태아가 거꾸로 선 경우나 옆으로 누워있을 때

    – 분만전, 분만 중 맥박이 정상이 아니거나 태아의 상태가 나빠져 사산의 위험이 있을 때

    – 태아가 너무 커 골반을 못 빠져 나올 때

    – 제대 탈출 시 태아가 생존한 때

    3. 제왕절개 종류 및 과정

    (1) 제왕절개 종류
    ① 재래식 제왕절개술(classical cesarean section)
    종적 절개가 직접적으로 자궁 체부의 벽으로 이어진다. 자궁체부에 수직절개를 하는 수술방법으로 제왕절개술의 기왕력이 있는 경우 방광과 자궁하부에 유착이 심할 때 그리고 횡위전치태반이 있을 때 등에 적용된다.

    a. 방광과 하부근육의 유착이 광범위할 때 유용하다.
    b. 전치태반일 때 선택된다.
    c. 태아가 횡위일 때 선택된다.
    d. 혈액 유실이 증가한다.
    e. 추후 분만시 자궁파열 위험이 증가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선천성 거대결장 case study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문헌고찰
    1. 선천성 거대 결장증 (hirschsprung’s disease) 정의 및 원인
    2. 선천성 거대 결장증의 증상
    3. 선천성 거대 결장증의 진단
    4. 선천성 거대결장의 치료와 간호
    5. 선천성거대결장의 예후 및 합병증

    Ⅲ. 간호사정
    1. 개인력
    2. 건강력
    3. 신체검진
    4. 진단을 위한 검사 소견
    5. 의학적 치료 및 경과
    6. 기타 자료

    Ⅳ. 간호진단& 간호과정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선천성 거대결장은 모든 신생아 장폐색증의 약 1/4를 차지하고 있다. 발병빈도는 살아서 출생한 아동 5,000명 중의 1명이다. 여아보다 남아에서 4배더 많이 발생되고, 약 10%에서 가족력이 있다. 신생아는 출생 후, 태변 배출이 2일 이상 늦어지거나 복부 팽만이 심해 수유 진행이 어렵고 구토가 지속된다면 선천성 거대결장 질환의 가능성을 생각해 보고 빠르게 치료를 해야한다. 만약 치료하지 않고 그대로 방치해 둔다면 복부팽만, 구토 등의 장폐색 증상을 보이고 이후 위험한 합병증인 소장결장염으로 진행하여 이를 방치할 경우 패혈증으로 사망할 수 있다.
    소아과에서 실습을 하면서 선천성 거대결장에 대한 치료법과 수술 전후 적절한 간호에 대해 공부해보고,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

    Ⅱ. 문헌고찰

    1. 선천성 거대 결장증 (hirschsprung’s disease) 정의 및 원인
    장에 신경이 제대로 분포되지 않아 정상적으로 변을 보지 못하는 병이다.
    장에는 신경이 분포하여 장이 운동하게 하는데 선천성 거대 결장증은 신경 중에서 주로 부교감신경의 분포가 어느 부위 이하에서 제대로 되지 않아 그 이하의 장에서는 장이 제대로 움직이지 않게 된다. 그 결과 정상적으로 변을 배출할 수 없게 되며, 신경이 제대로 분포하고 있는 장에 대변이 고여 장이 늘어나게 된다. 주로 병변이 직장 및 결장에 위치하기 때문에 ‘거대결장’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 병을 처음 기술한 사람의 이름을 따서 히르쉬스프룽병으로도 부른다.

    <중 략>

    3. 선천성 거대 결장증의 진단
    ① 직장 수지검사(Rectal Examination: 항문에 손가락을 집어 넣어 검사함)
    : 직장에 손가락을 넣으면 직장이 비어있는 경우가 많으며 손가락을 뺏을 때, 대변과 공기가 다량으로 밀려나오는 것을 보고 이 질환을 의심할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 지역사회간호학 Case Study 천안시 동남구 건강문제진단

    목차

    1. 지역사회건강사정
    가. 지역사회의 특성
    나. 대상 인구의 특성
    다. 지역사회의 각종 자원
    라. 보건사업 현황

    2. 지역사회간호 문제

    3. 지역사회간호문제 우선순위

    4. 지역사회간호계획

    5. 참고문헌

    본문내용

    지역사회의 건강수준을 파악하고 평가하기 위하여 체계이론을 근거로 구성물인 주민, 자원, 주민과 자원간의 상호작용 등에 관한 정보를 수집한다.

    가. 지역사회의 특성
    ① 역사와 성장과정
    충남의 천안시와 천안군은 하늘에서 유래된 지명이다. 고려 태조가 ‘하늘 아래의 으뜸가는 요충지(要衝地)’라고 명명한 데서 땅 이름이 기원했기 때문이다. 『조선왕조실록』과 『세종실록지리지』에서도 현 천안시 지명을 ‘가장 이상적인 사회’라는 의미의 ‘도솔’이라 기록하고 있다. 그래서 천안은 예로부터 ‘평안하고’ ‘살기 좋은’을 뜻하는 이름으로 불리었다. 1945년 8월 15일 광복을 맞이하고, 군정 3년을 거쳐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된 후도 계속 천안군으로 존속되었다. 천안읍이 인구 5만이 넘고 도시의 형태를 갖춤으로 1963년 1월 1일 행정구역을 변경할 때 천안읍과 환성면이 합쳐 천안시로 승격되었다. 현재 2021.11.15. 시조례 제2203호로 불당동을 불당1동과 불당2동으로 분동(2구 4읍 8면 19행정동)되었다. 천안은 디스플레이 산업의 중심지이다. 오늘날 천안을 대표하는 산업으로는 반도체와 LCD 등의 디스플레이 산업, 차세대 전지 산업이 있다. 1990년대 이후 천안에 정착되기 시작한 한국 디스플레이 산업이 전 세계의 수위를 점함으로써, 그 종주지(宗主地)로서의 위상을 마음껏 펼치고 있다.

    ② 지리적 특성과 기후
    ⦁지리적 특성: 천안시 중앙을 남북으로 가로지르는 차령산맥의 태조산(424m) 줄기를 중심으로 동서측으로 지역이 분리되어 있으며, 북측지역은 평택평야까지 탁 트인 얕은 구릉성 평지이며, 동측은 국사봉, 만근산, 망경산 줄기를 경계로 아산시와 진천군과도 인접하고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 지역사회간호학 Case Study 가족간호과정

    목차

    1. 방문건강관리 서비스 기록지

    2. 가족간호사정
    ① 가계도 및 사회 지지도
    ② 가구조사표
    ③ 가구원 질병조사지
    ④ 가족사정 조사표

    3. 간호문제 도출
    ① 가족간호문제
    ② 가족간호진단 우선순위
    ③ 가족간호계획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일반관리
    □흡연
    □금연 실천
    □금연교육 실시
    – 흡연 영향
    – 금연 방법에 대한 정보(수첩 등) 제공
    □금연클리닉 연계
    □주기적 모니터링(행동체크리스트 활용)
    □가족지지
    □음주관리 안됨
    □절주 실천
    □절주교육 실시
    – 음주 영향
    – 절주방법 및 효과에 대한 정보 제공
    □알코올 상담센터 연계
    □주기적 모니터링(행동체크리스트 활용)
    □가족지지
    □ 체중조절 안됨
    □ 복부비만
    □정상 체중범위 유지
    □적정체중유지의 필요성 및 중요성 교육
    □규칙적 신체활동실천을 위한 신체활동교실 소개
    □체중변화 모니터링
    □체중조절 성공사례 소개
    ■ 신체활동실천안됨
    ■ 신체활동능력저하
    ■규칙적 신체활동실천
    ■신체활동량 증가
    □신체기능 향상
    □자가관리 수첩 제공
    ■대상자에게 맞는 신체활동 종류, 강도, 시간 정하기
    – 근력운동
    – 유연성운동
    – 유산소운동(걷기 등)
    ■신체활동방법 및 효과 정보 제공
    – 일상생활동작 훈련지도
    – 관절구축 예방 신체활동 및 교육
    – 보행 및 이동 훈련
    ■보조기구사용 정보제공
    □필요시 보장구 건강보험급여제공 정보 제공 등
    □필요시 보건소 물리치료사/신체활동지도인력 의뢰
    ■가족지지
    ■불건강한 식습관
    □식이조절 안됨
    □식사일지 기록불이행
    □영양상태 불량
    ■건강한식습관
    ■식이요법 실천
    □식사일지기록
    □영양상태 양호
    ■영양교육
    – 식이요법 중요성
    – 식습관 점검
    – 대상자에게 맞는 영양관리 정하기
    • 단백집 섭취
    • 채소 섭취
    • 수분 섭취
    • 기타( )
    – 식사일지 작성
    ■필요시 보건소 영양사 의뢰 및 지역사회 연계
    ■가족지지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