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c/s case study

  • 대퇴 전자간 골절(폐쇄형), Fracture Intertrochanteric, femur, closed [Fx, ITC femur, Rt], study case

    목차

    I. 문헌고찰
    1. 질환 관련 해부학적 구조
    2. 질환의 병태생리
    3. 질환과 관련된 증상
    4. 질환과 관련된 진단
    5. 질환과 관련된 의학적 치료
    6. 질환과 관련된 간호학적 중재

    Ⅱ. 대상자
    1. 대상자 인적사항
    2. 대상자 간호사정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
    3. 대상자 기록

    Ⅲ. 간호과정

    본문내용

    1. 질환 관련 해부학적 구조
    ▪ 넙다리뼈 [femur]
    인체의 골조직 중 가장 크고 길어서 전체 신장의 약 1/4 가량을 차지한다. 정상 한국인들의 경우에는 대개 40cm에서 50cm 정도의 길이를 가진다. 양측 말단부에는 단단한 겉질뼈 속으로 성긴 모양을 가지는 해면골도 풍부히 존재하지만 가운데 부분인 몸통은 긴 파이프 모양이면서 안에 해면골이 거의 없다.
    따라서 양측 말단부에 골절이 생기면 비교적 수월하게 뼈가 다시 붙을 수 있지만 가운데인 몸통 부위가 골절되면 상당수에서 뼈가 잘 붙지 않는다. 골반과 엉덩관절을 통해 전달되는 체중을 지탱하면서 걷고 달리는 하지의 기본 기능에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 무릎관절 쪽 하부를 제외하고는 대부분이 풍부한 근육들로 감싸져 있다. 대퇴전자간골절은 대퇴경부 아래 부분에서 골절이 발생하는 것이다.

    ▪ 하위 기관
    – 넙다리뼈머리 : 넙다리뼈의 상부를 형성하며 둥근 공 모양을 하고 있다. 골반과
    만나 엉덩관절을 이룬다.
    – 넙다리뼈목(대퇴경부) : 넙다리뼈머리의 바로 아래 부위로 사람으로 치면 ‘목’
    부위에 해당한다. 엉덩관절 속에 위치한다.
    – 큰돌기(대전자부) : 넙다리뼈목 바로 아래 부위를 말한다. 혈액공급이 풍부하게
    잘 되는 해면골을 가지고 있다.
    – 몸통(간부) : 둥근 단면을 가진 긴 파이프 형태이다. 매우 단단한 겉질뼈(피질골)로
    둘러싸여 있으나 내측에는 해면골이 거의 없어 빈 공간이다.
    – 관절융기 윗부분(과상부): 넙다리뼈의 하부를 형성하며 좌우로 넓은 모양을
    가진다. 해면골이 많이 존재하는 부위이다.
    – 관절연골 : 상부와 하부 끝 부분인 넙다리뼈머리와 넙다리뼈 말단부는 관절 연골로
    덮여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불특정 담낭의 질병, Disease of Gallbladder-Unspecified, study case

    목차

    문헌고찰 ······························································································ 3
    1. 질환 관련 해부학적 구조
    2. 질환의 병태생리
    3. 질환과 관련된 증상
    4. 질환과 관련된 진단
    5. 질환과 관련된 의학적 치료
    6. 질환과 관련된 간호학적 중재

    Ⅱ. 대상자 ·································································································· 11
    1. 대상자 인적사항
    2. 대상자 간호사정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
    3. 대상자 기록

    Ⅲ. 간호과정

    본문내용

    Ⅰ. 문헌고찰
    1. 담낭질환 관련 해부학적 구조

    ■ 구조
    간(liver), 담낭(biliary tract) 및 췌장(pancreas)은 모두 복강에 위치하고 있으며 소화와 신진대사 작용을 촉진시킨다.
    만성적이고 진행적인 질병은 환자에게 심각한 영향을 미치며 장기간의 치료와 간호를 필요로 한다.
    담도계는 담낭(gallbladder), 담관(bile duct) 및 담낭관(cystic duct)으로 구성되어있다.
    담낭으로부터 나온 담낭관은 간으로부터 나온 간관(hepatic duct)과 합해져
    총담관(common bile duct)을 형성한다.

    ■ 기능
    담즙은 간의 좌우 간관에서 담낭으로 이동한다. 담낭에서 농축된 담즙은 담관을 통하여 방출되어 총담관으로 흐른다.
    장내에 지방이 있을 때, 총담관이 십이지장에 개구하는 부위에 있는 오디괄약근이 열려서 담즙이 장으로 흘러가게 한다.
    장내에 지방이 없으면, 괄약근은 닫히고 담즙은 담낭에 저장된다.

    ■ 병태생리 (담석증 / 총담관 결석증)
    ⦁ 담석에 포함되는 성분에 따라 분류

    1. 콜레스테롤 담석
    콜레스테롤이 포함된 담즙은 담석을 형성하고, 담낭에 염증성 변화를 일으키게 된다. 대부분의 담석은 매끄럽고 흰빛을 띤 노란색에서부터 황갈색을 띠고 있다.

    3. 담낭질환과 관련된 증상
    ⦁복부통증
    담석증인 경우 담낭에서 담관으로 결석이 이동할 때 담관의 경련이 발생하며 이 경련은 담즙성 산통의 원인이
    된다. 담낭염인 경우 통증은 염증 때문에 지속돠고 복막의 강도가 증가하면서 통증도 심해진다.
    총담관 결석증은 통증이 경미할 수도 있고 심할 수도 있으며 담낭의 통증과 구별되지 않을 수도 있다.

    5. 담낭질환과 관련된 의학적 치료
    ■ 담낭염
    급성 담낭염이 의심되는 환자는 발견된 세균에 효과 있는 항생제를 투약한다. 엠피실린, 설파제 또는 아미노글리코사이드만성 담낭염의 관리는 저지방식이, 체중감량, 약물(미주신경차단제, 진정제, 제산제)투여 등이 있다.

    Ⅱ. 대상자
    1. 인적사항
    2. 환자기록(투여약물)
    3. 진단검사와 결과
    4. 기타진단검사
    5. V/S
    6. NSR
    7. 식이

    Ⅲ. 간호과정
    1. 급성통증
    2. 감염위험
    3. 불안정한 혈압

    출처 : 해피캠퍼스

  • 여성간호학 다발성 자궁근종 간호과정 (간호진단 5개, 간호과정 2개)

    목차

    1. 간호 정보 조사
    2. 신체사정
    3. 진단검사
    4. 투약정보
    5. 투약정보
    6. 수술 간호
    7. 간호과정

    본문내용

    5) 의학적 치료 계획
    ▸치료계획: 수술 후 경과 관찰

    ▸치료 및 수술에 대한 반응
    수술 후 통증을 심하게 느껴 진통제를 투여하는 모습을 관찰하였고, 간호사 선생님께서 수술 후 폐합병증을 위해 기침과 심호흡 교육, 금식, 갈증 예방을 위해서 입안 거즈 대주기, 통증 시 PCA 교육에 대해 설명하는 모습을 관찰하였다. 수술 이후 환자와 보호자는 적극적이고 높은 치료 과정 교육에 참여하는 모습을 관찰하였다.

    ▸치료 경과 및 예후
    ▸치료 과정: Daily V/S, Daily wound dressing, Vaginal dressing: No bleeding
    ▸치료경과: 경쾌
    ▸추후 관리
    -discharge and opd f/u
    -stitch off at opd
    -수술 후 안정 후 퇴원, 외래추적 관찰을 하고 투약조절을 한다.

    <중 략>

    간호진단 – 수술 절개 부위 (robotic myomectomy with SP)와 관련된 급성 통증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움직일 때 수술 부위가 당겨요”
    “아랫쪽 배가 너무 아파요”

    출처 : 해피캠퍼스

  • 지역사회 간호과정- 의성군 보건소

    목차

    Ⅰ. 지역사회 건강사정
    1. 지역사회 현황분석
    2. 지역의 건강수준
    3. 지역사회 현황분석 종합

    Ⅱ. 지역사회 건강진단
    1. 지역사회 건강문제 열거
    2. 지역사회 건강문제 우선순위 결정

    Ⅲ. 지역사회 간호계획
    1. 지역사회 간호목표설정
    2. 방법 및 수단선택
    3. 사업수행계획

    Ⅳ. 지역사회 간호수행

    Ⅴ. 지역사회 간호평가

    본문내용

    1. 지역사회 현황분석
    1) 지역사회의 인구현황
    2018년 4월 말 안동시의 인구는 163,311명이며, 읍면지역 총인구 수는 44,027명으로 안동시인구의 26.9%를 차지하며, 노인 인구는 17,124명(65세 이상)으로 안동시 전체 노인인구(36,489명)의 46.9%를 차지한다. 동지역 총인구는 119,284명으로 안동시 전체인구의 약 73.1%를 차지하며 노인인구는 동지역 인구의 약 16%인 19,365명을 차지하고 있다. 인구 크기별로 보면..

    <중 략>

    3. 지역사회 현황분석 종합
    1) 인구구조
     농촌지역과 도시지역의 인구편차가 심하며, 인구밀도도 농촌지역과 도시지역이 현저하게 차이났다.
     인구구성은 세대당 인구수가 농촌지역(평균 1.91명)과 도시지역(평균 2.26명)이 약 0.57 정도 차이가 있고, 학생인구(22%)이며 안동시 노인인구(65세 이상) 36,489(2018년 4월말 인구) 22.34%이며, 노인 인구 중 남자가 15,117명으로 41.4%이며, 여자는 21.372명으로 58.6%로 여성이 남성보다 6.255명으로 17.2%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 보건의료환경
     관내 병원 18개소(종합병원 3개소, 병원 5개소, 치과 2개소, 요양병원 8개소) 의원 166개소(일반의원 77개소, 치과의원 46개소)로 타 지역에 비해 의료기관이 많은 편이나, 그 분포가 도시지역에 집중되어 농촌지역 주민의 의료이용은 보건지소나 진료소를 주로 이용하고 있음(경북 응급의료센터: 안동병원)에는 경북 북부지역 응급환자 수송 응급닥터헬기 운항, 응급의료 안전망 강화 기대.
     보건소 전체 이용자의 28.83%는 진료, 71.17%는 보건사업 목적이며, 진료환자 중 건강 보험 34.2%, 의료급여 2.61%, 일반환자 61.75%, 무료환자 1.448%이고, 보건사업 목적으로 방문한 환자의 65.7%가 예방접종이며, 일반 환자의 대부분은 신체검사 등 제증명임.

    출처 : 해피캠퍼스

  • 수술 후 폐합병증과 관련된 비효과적 기도청결 간호과정

    목차

    없음

    본문내용

    1. 남자 60세 환자
    2. 진단명: 위암 및 R/O COPD
    3. 개인력: 결혼했고 주호소는 없음
    타병원에서 시행한 건강검진상 AGC 진단받아 수술위해 입원
    4. 건강력: 20년전 결핵완치, 흡연중이며 1.5갑/43년, 음주 안함
    고혈압, 당뇨, 간염, 알레르기 모두 없음
    키 174.3 체중 74.4, 체중 변화 없음
    Vital sign: BP117/61mmhg , PR 76회/분, RR 20회/분, BT 36.5도
    의식상태: 명료, 정서상태: 안정
    전신에 소양감외에 다른 신체부분은 정상임
    5. 진단검사결과
    수술후 2일째 임상검사결과에서 AST 61, ALT 115, 외에는 모두 정상범위내에 있음
    6. 수술경과
    피부과 협진으로 연고도포후 호전중에 있음
    POD#3: foley catheter 제거

    출처 : 해피캠퍼스

  • A+지역사회간호학 케이스스터디

    목차

    1. 가족사정
    1) 가족 사정
    2) 가족자료 분석 및 진단

    2. 간호진단 진술 및 우선순위 설정

    3. 간호계획, 수행 계획

    4. 참고문헌

    본문내용

    3. 간호계획, 수행 계획
    간호진단문제 관련원인
    – 간호진단: 질병에 대한 지식 부족과 관련된 부적절한 질병관리
    – 관련요인: 부적절한 질병관리, 부적절한 추후관리, 약물불이행, 부적당한 건강증진 행위, 의료 추구행위의 지연

    객관적 자료
    – 허리 X-ray 결과 L4~L5 허리디스크 병력
    – 손가락 류마티스관절염 병력
    – 주호소: 양쪽 손가락의 저림, 아침에 뻣뻣, 손가락 통증
    – 부적당한 건강행위 관리와 비지속적인 의료관리로, 치료를 안 받거나 질환 있는 부위 지속적 사용함을 관찰됨.
    – 질병이 있음을 인식하지만, 질병의 심각성에 대한 부적절한 인식으로, 치료에 대해 비협조적인 모습을 보임.
    – 건강관리 행위의 이행이 부족함을 관찰됨.
    – 관절 통증 증상이 약10년 간 있었음에도 방치함.

    주관적 자료
    – ”일을 20대 때부터 지금까지 하고 있어서 몸이 안 좋아지는 건 알지만 아파서 일 잠깐 안 하면 일 안 한다고 뭐라 해서 할 수밖에 없어“
    – ”오른쪽 팔과 손으로 계속 아픈 부위를 사용할 수밖에 없는데 치료해 봤자 또 사용할 텐데 소용없어 치료 안 받아“
    – ”에이 치료안받는다고 죽기나하겠어? 치료 안받아도 살고있자너“
    – ”치료받으면 낫어? 그때뿐이것지 계속 주기적으로 받아야 효과가 있는거지 난 그렇게는 못해 병원 나가기도 귀찮아 안해“
    – ”도수치료가 효과가 좋은데 도수치료가 비싸서 치료를 받아도 또 일할 거라 돈 아까워”
    – “아침마다 자고 일어나면 양쪽 손이 뻣뻣하고 붓고 일하면 통증시작이되”

    출처 : 해피캠퍼스

  • A+양극성 정동장애 케이스스터디

    목차

    1. 대상자 정보
    2. 성장 발달력(확인 가능한 것 만 기록)
    3. 가 족 력
    4. 정신상태사정 Mental Status Examination
    5. 약물치료(현재 투여중인 약물, 약전에 나오는 내용을 그대로 복사 금지)
    6. 치료적 기타 중재
    7. 간호중재 대상자의 간호문제 목록(5가지)

    본문내용

    대상자 정보

    성별/ 나이
    F/53

    의학적 진단(DSM-IV-TR)
    양극성 정동장애, 현존 정신병적 증상이 없는 조증
    양극성 정동장애, 현존 정신병적 증상이 있는 조증
    급성 간염
    비알코올성 지방간질환
    합병증을 동반하지 않은 2형 당뇨병

    정신과적 주호소
    (Chief complain)
    기분이 뜨고, 말이 많고, 잠 못 잠

    정신과적 과거력
    2023.06.02

    신체적인 현병력
    (예: 고혈압, 당뇨병)
    당뇨병(2형)

    정신과적 현 문제 최초발병시기
    2023.06.02

    입원치료횟수
    3회(서천사랑병원, 신동환병원, 홍성의료원 정신과 입원하여 치료)

    일상생활양상
    식습관
    식사 규칙적으로 안 함, 식사 3끼 중 1~2끼 편식이 심함

    수면 양상
    입원하기 2주 전부터 새벽에 깨어 자지 않고 활동함
    조그마한 소리에도 못 잠
    소음에 예민해서 깊은 수면 못 함

    배변양상
    이상 없이 대변 잘 봄

    개인위생상태
    계절에 맞춘 옷차림, 세수, 양치, 샴푸, 샤워 등 위생적임

    <중 략>

    치료적 기타 중재

    정신 • 심리적 치료
    (24장 참고)
    지지정신치료-안심, 지지, 환기, 재반응, 설득, 암시, 충고와 지도, 마취합성,
    지지분석치료-전이, 역전이, 저항, 자유연상 기법, 꿈의 분석
    대인관계 분석치료, 단기역동 정신치료, 수용전념치료
    실존주의 정신치료-합리적 정서적 치료, 의미치료, 현실치료, 게슈탈트치료, 내담자중심치료, 인지행동치료- 불안완화 기법(이완요법, 바이오피드백, 체계적 탈감작, 감각기관에서의 노출, 홍수법, 반응 방지), 인지의 재구조적 기법(사고와 감정의 감시, 증거탐문, 탈비극화, 재구성, 사고 중지), 새로운 행동 학습 기법(모델링, 형성법, 토큰경제, 역할극, 사회기술 훈련, 혐오요법, 행동 계약)

    활동치료
    (25장 참고)
    음악치료(가창, 음악감상, 연주), 미술치료(종이 오려 붙이기, 그림 그리기, 색칠)
    무용치료, 독서치료(교양서적인 역사, 여행, 미술, 과학 등)

    출처 : 해피캠퍼스

  • A+자연분만 케이스스터디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정의
    2. 특징
    3. 검사
    4. 치료 및 간호

    Ⅲ. 결론

    본문내용

    1. 정의
    산부가 거의 만삭에 이르고 합병증 없이 자연적으로 진통이 올 때까지 기다렸다가 진통이 시작되면 한 명의 태아를 두정위로 24시간 이내에 질을 통해서 분만이 완성되는 것

    2. 특징
    [ 정상분만요소 ]
    1) 산도 : 모체의 골반과 연조직으로 구분
    2) 태아 : 아두, 태세, 태위 등과 관련 (두정위, 둔위, 횡위)
    ⦁태세(fetal attitude) : 자궁강내에서의 태아 각부분의 상호관계
    ⦁태위(fetal lie) : 태아의 장축과 모체의 장축과의 관계를 말하며 종위와 횡위로 나뉨.
    종위는 선진부에 따라 두정위와 둔위로 나뉨
    ⦁선진부(presenting part) : 태아의 밑부분으로 분만시 제일 먼저나오는 부분.
    두부, 둔부, 어깨 등으로 태위, 태향을 결정
    ⦁태향(position) : 각 태위의 지표와 모체의 골반과의 관계를 나타낸 것
    ⦁하강도(station) : 지표는 양쪽 좌골극으로 태아의 선진부가 양쪽 좌골극을 연결한 선에 도달한 상태 하강도 “0”으로 표시. (위로 1cm 정도에 도달한 경우는 –1, 아래로 1cm만큼 내려갔으면+1)

    3) 만출력
    ⦁만출력의 요소
    -불수의적인 자궁수축
    -수의적으로 내려미는 힘
    -항문올림근의 수축

    ⦁분만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힘은 자궁수축력
    – 적절한 시기에 분만이 시작되고 자궁수축으로 경부의 소실과 개대, 태아 하강과 출산이 이루어짐
    ⦁자궁수축
    – 실제적인 분만과정은 자궁수축에 의해 일어난다. 장시간에 걸진 자궁수축은 경부의 소실과 개대, 선진부 하강을 초래하며 분만 2기에 산부가 밑으로 밀어내는 힘(아래로 힘주는 노력)과 함쳐져 쉽게 분만할 수 있다. 규칙적으로 점진적 변화의 자궁수축은 분만시작의 신호이다.
    ① 수축 : 근육세포들이 단축되고 두꺼워지면서 자궁이 단단해짐

    ② 이완 : 수축이 다 끝난 후 다시 근육세포는 길어지고 이완됨
    ③ 견축 : 자궁근육이 수축되었다가 이완될 시에 덜 이완되므로 점차 두꺼워지면서 자궁하부와 경관의 조직이 당겨져 올라감(분만이 진행되면서 자궁 저부와 상부의 근육이 점차 짧아지고 두꺼워짐)

    출처 : 해피캠퍼스

  • A+자궁경부암 케이스스터디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일반 간호정보
    2. 임상검사(Laboratory Test)
    3. 진단적 검사(초음파, 조직검사, 복강경검사, 방광경검사, 직장경검사, CT, MRI, 기타)
    4. 최종진단명
    5. 치료과정
    6. 투여약물
    7. 수술 후 경과

    Ⅲ. 결론

    본문내용

    ▶정의
    자궁경부암(cervical cancer)은 특성상 침윤전암과 침윤암으로 뚜렷이 구분되며, 발병과정도 다른 어떤 암보다 잘 규명되어 조기진단과 치료법이 잘 발달되어 있다. 국내 침윤성 자궁경부암은 40대 여성에서 가장 발생률이 높고 50대와 30대 여성에서 유사한 분포로 높다. 자궁경부암의 발생률은 최근의 조기발견율 증가로 인해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지만 상대적으로 자궁경부상피내 종양의 발생 빈도는 증가하고 있고, 발생 연령층은 낮아지고 있다.

    ▶원인
    자궁경부암은 역학적 조사에 의해 여러 가지 유발 요인이 밝혀져 있으며, 성접촉성 감염질환 모델이 가장 널라 인정되고 있다. 지금까지 밝혀진 관련 요인은 결혼과 성교, 포경 여부와 음경의 위생상태, 성매개 질환, 인유두종 바이러스 감염, 인종, 사회경제적 특성, 인간 면역 결핍 바이러스 감염 등이다.
    ① 인유두종 바이러스 감염
    HPV 감염은 자궁경부암과 경부의 전암성 병변의 주요 원인이다. 감염이 발생하면 HPV의 DNA는 숙주 세포에 통합되어 악성 형질전환을 이끌어 낸다. 이 악성 형질전환에는 HPV의 종양유전조작 단백질인 E6, E7의 발현이 필요한데, 이 단백질은 HPV에 의해 감염된 세포에서 발견된다. HPV 16이나 18의 복제를 포함하는 자궁경부암 세포주(cell line)는 E6와 E7을 분비한다. HPV DNA는 자궁경부 이상증식을 가진 대부분의 여성에서 발견할 수 있으며 HPV 감염으로 인한 상피내 이상증식은 90%에 이른다. 고등급 병변의 90% 이상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는 HPV 16, 18, 31, 33, 35, 39, 45, 51, 52, 56, 58, 59, 68이며, 이중 HPV 16이 침윤암과 CIN 2. CIN 3에서 가장 흔하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자연분만 케이스

    목차

    Ⅰ. 서론
    ■ 사례연구 필요성

    Ⅱ. 본론
    ■ 문헌고찰
    ■ 자료수집
    ■ 임상검사 ※(의미 있는 검사만 적용하였음 / 생략한 것은 모두 정상임)
    ■ 특수검사
    ■ 기타검사
    ■ 투여약물
    ■ 간호과정 적용

    Ⅲ. 결론
    ■ 소감 및 느낀점
    ■ 참고문헌 목록

    본문내용

    분만실에서 실습을 하면서 정상으로 분만을 하는 경우도 보았고, 정상적으로 분만을 하지 못하는 케이스도 보았다. 정상적으로 분만을 하지못한 것은 어떠한 고위험 문제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여 발표 사례로 선택하게 되었다. 고위험에는 어떠한 원인으로 인해 문제가 있는지 깊이 알아보고자 하여 사례 연구하게 되었다.

    1. 조기파막

    1) 만삭 조기파막
    만삭 조기파막(premature rupture of membrane. PROM)이란 임신 37주 이후 분만이 시작되기 전에 양막이 파열되는 것을 말한다. 임신 37주 이후에 파악될 경우에는 파막 후 24시간 이내에 80~90%가 분만이 시작된다.

    2) 만삭 전 조기파막
    만삭 전 조기파막(preterm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 PPROM)은 임신 37주 미만에 진통이 생기기 전에 파막된 것을 의미하며, 전체 조기파막의 25%, 조산의 25%에서 발생된다. 진통은 파막 후 수일~수주 이후 시작된다. 만삭 전 조기파막은 양수가 갑자기 질로부터 쏟아지거나 천천히 누수된 후에 진단된다. 만삭 전 조기 파막은 만삭 조기파막보다 융모양막염과 자궁내막염의 발생 빈도가 높다. 융모양막염은 양막, 융모막과 양수 내의 감염으로 태아와 임부의 생명을 위협할 수 있다. 대부분 자궁내 감염은 항생제에 잘 반응하지만 패혈증과 모성사망을 초래할 수도 있다. 융모양막염으로 인한 태아의 합병증으로 선천성 폐렴, 패혈증, 뇌막염 등이 올 수 있다. 비록 감염이 없어도 만삭 전 조기파막은 제대탈출, 양수과소증을 유발함으로써 제대가 압박되고 태아의 생명을 위협하는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다.

    ★ 원인
    1) 만삭 조기파막
    조기파막의 확실한 원인은 알 수 없으나 경관무력증, 선진부의 진입지연, 양수과다증과 다태임신으로 자궁내압력이 높은 경우, 산부의 연령, 다산부, 흡연, 조산, 임신중 체중증가의 부족 등과 관련이 있다. 융모양막염(chorioamnionitis)은 융모막과 양막의 감염이고 임부의 감염 시에도 조기파막이 발생되어 조산이 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