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c/s case study

  • A+뇌경색 케이스스터디

    목차

    Ⅰ. 질환에 대한 소개
    Ⅱ. 자료수집
    Ⅲ. 간호진단
    Ⅳ. 간호과정 작성 양식

    본문내용

    뇌경색(Cerebral infarction)
    ▶ 정의
    – 뇌경색은 뇌혈관이 막혀 뇌의 일부가 손상되는 질환을 의미한다.
    – 목 부분에 있는 경동맥, 척추-기저동맥부터 우리 뇌 안에 있는 아주 작은 지름의 동맥까지 어떤 혈관이든 막힐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혈관이 지배하던 부위의 뇌가 괴사하여 지속적인 증상이 남는다.

    ▶ 원인
    – 동맥경화증에 의해 병든 혈관에서 주로 발생하는 혈전(핏덩어리)은 심장에서 뇌로 가는 내경동맥이나 뇌혈관 중 어떤 곳에서든 발생할 수 있다.
    – 혈전이 혈관을 막거나 혹은 처음 형성된 부위에서 떨어져 나가 다른 혈관을 막는 것을 색전이라고 한다.
    – 혈전이 심장이나 굵은 뇌동맥 등에서 떨어져 나와 말단부 뇌혈관을 막아서 뇌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 동맥경화증으로 인해 말단부 혈관이 아주 좁아진 경우 허혈성 뇌졸중이 생길 수 있다.

    ▶ 증상
    – 뇌경색의 증상은 혈관이 막힌 혈관의 위치에 따라 반신 불수, 언어 장애, 시야 장애, 어지럼증, 의식 소실 등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 진단
    – 뇌 전산화 단층촬영(CT)이나 자기공명영상(MRI) 등의 검사를 통해 뇌신경 및 뇌혈관의 상태를 파악한 후, 그에 따른 약물 치료나 수술 치료를 고려합니다.
    1) 뇌 전산화 단층촬영(CT)
    2) 자기공명영상(MRI)

    ▶ 치료
    1) 약물 요법(혈전용해제, 항혈전제)
    ① 혈전용해제
    – 뇌혈관이 막혀 뇌 혈류가 차단되면 불과 몇 시간 내에 뇌 조직에 돌이킬 수 없는 손상이 생긴다. 따라서 수 시간 이내에 막힌 뇌혈관에 혈전용해제를 투여하여 혈관을 막고 있는 혈전을 녹여 뇌 혈류를 재개해야 합니다. 치료가 잘 되면 증상은 즉시 호전되며, 수일 이내에는 완전히 회복된다.

    – 혈전용해제의 투여 방법은 정맥 내 투여 방식과 동맥 내 투여 방식 두 가지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급성 위장염 케이스스터디

    목차

    I. 서론
    ①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② 환아의 전반적 질병의 과정 요약

    II. 문헌고찰
    ① 위장의 구조와 기능
    ② 급성위장염, 탈수 정의
    ③ 급성위장염 병태생리
    ④ 급성위장염, 탈수 원인
    ⑤ 급성위장염, 탈수 증상
    ⑥ 급성위장염, 탈수 진단검사
    ⑦ 급성위장염, 탈수 치료

    III. 간호사정
    ① 투약
    ② 검사 및 처치

    IV. 간호과정

    V. 결론
    ① 소감

    VI. 참고문헌

    본문내용

    I. 서론

    ①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AGE는 소아에게서 급성으로 많이 발생하는 질병 가운데 하나로 입원 이유의 주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설사의 빈도가 높은 질환으로서, 2세 미만 영아에게 잘 일어난다.
    또, 호흡기 감염 다음으로 아동에게 흔한 질병으로 3세 이하의 대부분의 소아가 1~3회의 심한 급성 위장관염을 경험하고 있다. 이처럼 아동에게 흔히 일어나는 질환이면서도 아동 스스로의 극복 능력 부족의 이유로 간호적인 부분에서 많은 지지가 필요한 질환이기에 이 질환의 환아를 사례로 들어 병태생리를 자세히 이해하고 숙지함으로써 이에 따른 간호진단을 내리고 수행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② 환아의 전반적 질병의 과정 요약
    설사와 발열로 인해 개인병원에서 진료를 받았지만 설사와 발열의 지속됨으로 입원하였다. 낮에 묽은 설사 5회하고 체온은 38도로 발열을 보인다.

    II. 문헌고찰

    [ 1. 위장의 구조와 기능 ]
    ▶위장의 기능
    위장은 식도로 들어온 음식물을 소장으로 보내기 전에 저장하고, 위장근육의 수축과 이완이라는 위장운동과 위산과 소화액이 포함된 위액분비를 통하여 음식물을 잘게 부수고 소화시키는 기능을 한다. 또한, 위산은 소화작용 외에 위장으로 들어온 여러 가지 세균을 살균하는 작용을 하며, 위산에 대한 위장점막을 보호하는 점액 또한 분비하여 위장이 점막의 상처없이 지속적으로 움직이도록 한다. 위장은 소화기관 중에서 가장 넓은 부분을 가지고 있으며, 왼쪽 갈비뼈 아래의 윗배의 왼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위장의 위쪽으로는 식도와 연결되고 아래쪽으로는 소장인 십이지장과 연결되어 있다.
    ▶위장의 구조
    위장은 4개 부위로 나눠지는데, 식도에서 위장으로 이어지는 위장의 위쪽 입구인 ‘분문부’, 좌상방으로 불룩하게 내민 ‘위저부’, 중앙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위체부’ 그리고 십이지장을 향해서 가늘어지는 유문부로 나누어진다. 위벽은 안쪽의 점막층, 점막하층, 고유근육층, 장막하, 위장 바깥쪽의 장막층의 다섯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골절 케이스스터디

    목차

    Ⅰ. 서론
    1. 질환에 대한 소개
    2. 자료수집
    3. 현병력
    4. 약물요법
    5. 진단적 검사
    6. 의사의 진단, 치료 계획
    7. 환자 면담내용

    Ⅱ. 본론
    1. 간호진단
    2. 간호과정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

    질환에 대한 소개
    뼈나 골단판 또는 관절면의 연속성이 완전 혹은 불완전하게 소실된 상태를 말하며, 대개의 경우 외부의 힘에 의하여 발생한다. 뼈의 주변에 있는 연부 조직이나 장기들의 손상도 흔히 동반된다. 발생하는 위치에 따라 크게 사지골절, 척추골절 그리고 늑골, 두개골, 안와 등과 같은 기타 골절로 나눌 수 있다. 골절편의 수에 따라 단순골절과 분쇄골절로 나눌 수 있다. 단순골절은 한 개의 골절 선에 의해 두 개의 골절편이 생기는 경우이며, 분쇄골절은 두 개 이상의 골전선에 의해 세 개 이상의 골절편이 발생하는 것이다.

    대개의 경우 뼈에 강한 외력이 가해지는 외상 후에 발생하게 된다. 직접적인 외상과 간접적인 외상에 의하여 발생하는 경우로 구분되는데 직접적인 외상에 의한 골절은 작용한 외력의 크기나 외력이 작용된 뼈의 범위에 따라 조금씩 다르며 교통사고, 타박, 총상 등이 원인이 된다. 간접적인 외상에 의한 골절은 뼈에 붙은 근육이나 인대가 갑작스럽게 힘이 가해지면서 뼈를 잡아당겨 골절이 생기거나 뼈에 회전력 등이 가해져 골절이 발생하는 경우 등을 말한다. 그 밖에 골다공증, 종양, 감염 등으로 약해진 부위에 정상적인 뼈에서는 골절을 유발하기에 약한 힘에 의해 일어난 골절을 병적 골절이라 하며, 종양 이외의 병변 부위에 일어난 병적 골절을 불충분 골절이라 하기도 한다. 피로골절은 뼈의 일정한 부위에 반복되는 스트레스가 가해질 때 점차적으로 생긴 골절로 군인이나 전문적인 운동선수들에게서 장거리 행군이나 반복된 훈련 후 발생하곤 한다.

    2.질병의 증상
    • 통증 및 압통: 골절 부위의 부기(종창), 근육 경련, 골막의 손상에 의해 통증이 발생하며, 골절 부위를 압박할 때 악화되고 움직일 때 더욱 심해짐
    • 정상 기능의 상실: 골절된 부위가 비정상적으로 흔들리고 주위 관절이 아파서 움직이지 못함

    출처 : 해피캠퍼스

  • 췌장염 케이스스터디

    목차

    I. 서론
    1) 문헌고찰
    (1) 급성췌장염 구조와 기능
    (2) 급성췌장염 정의
    (3) 급성췌장염 병태생리
    (4) 급성췌장염 원인
    (5) 급성췌장염 증상
    (6) 급성췌장염의 진단검사
    (7) 급성췌장염의 치료

    II. 본론
    1) 간호사정
    2) 간호진단
    3) 간호계획
    4) 간호수행
    5) 간호평가

    본문내용

    〔1. 구조와 기능 〕
    췌장은 위와 십이지장 가까이에 있으며, 십이지장 가까이 있는 두부(head)와 체부(body), 지라(비장)쪽에 있는 미부(tail)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위의 뒤쪽 몸통벽과 아래쪽 가장자리 사이에 납작하게 눌려 있는 스펀지 모양의 평평한 복막후선으로, 성인의 경우 길이는 약 14cm 정도이고 두께는 약 2.5cm입니다. 췌장관은 쓸개관(총담관)과 함께 바터팽대부(ampulla of Vater)를 통해 십이지장으로 이어집니다.

    췌장은 위장관의 부속기관으로 내분비와 외분비 기능을 모두 수행합니다. 내분비 기능으로 랑게르한스섬(Langerhans islets)에서 인슐린을 분비하고, 외분비 기능으로는 전해질, 수분, 소화 효소를 분비합니다. 이는 자율신경과 위장관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의 영향을 받습니다. 췌장의 주 기능은 십이지장 내의 pH 조절이며, Na+, K+, Cl-, HCO3-, 등의 전해질을 분비합니다. 중탄산이온(HCO3-)은 장으로 들어온 산성 위액을 중화시켜 췌장 분비 효소들이 기능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이 중화작용으로 장벽이 보호되는데, 십이지장 점막에서 secretin이 분비되면 췌장에서 중탄산이온이 다량 분비되어 pH를 조절합니다. 이 secretin은 췌장에서 재흡수 됩니다.

    췌장에서 분비하는 효소로는 프로테아제(protease: 단백질 분해효소), 아밀라아제(amylase: 탄수화물 분해효소), 리파아제(lipase: 지방 분해효소), 펩티다아제(peptidase: 단백질 분해효소) 등이 있습니다. 단백질 분해효소는 췌장에서 활동하지 않고 십이지장으로 유입되면 비로소 활동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췌장은 자체 단백질 분해효소에 의해 분해되어 손상됩니다.

    부교감신경(미주신경)은 췌장의 분비를 증가시키며 교감신경은 분비를 감소시킵니다. 미주신경의 자극 외에 cholecystokinin도 췌장 효소들을 비활동성의 형태로 분비되도록 자극합니다. cholecystokinin은 단백질이 있을 때 십이지장에서 생성, 분비됩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 보장!! 간호학과 실습 성인간호학 CASE STUDY 심근경색_NSTEMI_OPCAB_중환자실 실습 간호과정(문헌고찰+간호진단 3개)

    목차

    1. 문헌고찰
    2. 간호사정
    3. 간호과정
    4.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문헌고찰
    1. 심근경색의 정의
    심장은 크게 3개의 심장혈관(관상동맥)에 의해 산소와 영양분을 받고 활동한다. 이 3개의 관상동맥 중 어느 하나라도 혈전증이나 혈관의 빠른 수축(연축) 등에 의해 급성으로 막히는 경우, 심장의 전체 또는 일부분에 산소와 영양 공급이 급격하게 줄어들어서 심장 근육의 조직이나 세포가 죽는(괴사) 상황을 심근경색증이라 한다.
    심근경색은 부위별로 전벽 심근경색증, 하벽 심근경색증, 심한 정도별로는 통벽성 심근경색증(transmural myocardial infarction, 전층심근경색증), 심근내막에 국한된 심근경색증(subendocardial infarction, 심내막하경색증)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또 심전도 검사 결과를 기준으로는 ST절 상승 심근경색증, 비 ST절 상승 심근경색증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2. 심근경색의 원인
    심장 근육은 관상동맥이라 부르는 3가닥의 혈관을 통해서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받으면서 일생동안 혈액을 전신으로 펌프질하는 중요한 기관이다. 따라서 관상동맥에 이상이 생기는 경우에는 심장 근육이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관상동맥의 구조를 살펴보면, 그 가장 안쪽 층을 내피세포가 둘러싸고 있는데 내피세포가 건강한 경우에는 혈전이 생기지 않는다. 그러나 고지혈증, 당뇨병, 고혈압, 흡연 등에 의해서 내피세포가 손상을 받게 되어 죽상경화증이 진행되고, 관상동맥 안을 흐르던 혈액 내의 혈소판이 활성화되면서 급성으로 혈전이 잘 생기게 된다. 이렇게 생긴 혈전이 혈관의 70% 이상을 막아서 심장 근육의 일부가 파괴(괴사)되는 경우가 심근경색증이고, 괴사되지는 않지만 혈관 내 혈액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아 가슴에 통증 이 생기는 것이 협심증이다.
    1) 심근경색 위험인자
    (1) 고령
    (2) 흡연
    (3) 고혈압 : 혈압 ≥ 140/90mmHg 이거나 항고혈압제를 복용하고 있는 경우
    (4) 당뇨병

    출처 : 해피캠퍼스

  • 간호학과 실습 CASE STUDY 뇌졸중 편마비 간호과정(간호진단 2개 포함) !!

    목차

    1. 우측 편마비로 인한 근력 저하, 인지능력 저하와 관련된 낙상의 위험
    2. 우측 편마비로 인한 근력 저하와 관련된 신체 기동성 장애

    본문내용

    <주관적 자료>
    “기운이 없어….”
    “오른쪽 팔다리에 힘이 들어가지를 않아.”
    “낙상이 위험하다 말해도 잘 이해를 못하세요.” – 보호자

    <객관적 자료>
    – 치료 외에는 침상에서만 머무르는 모습 관찰됨.
    – Morse Fall Scale 60점
    – 좌우 상지 근력 : 좌 : 4~5점 / 우 : 2점
    – 좌우 하지 근력 : 좌 : 5점 / 우 : 2점
    – K-MMSE 19점(입원 당시/3년 전 알츠하이머 진단받음.)
    – 물리치료 및 미술프로그램 이동 시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아 휠체어로 이동함.
    – 낙상 위험요인 : 고령_65세 이상, 정신기능 장애(치매), 근골격계 기능 장애(우측 편마비), 신경계 장애(뇌졸중), 휠체어 이동

    …<중 략>

    출처 : 해피캠퍼스

  • 골절 간호과정 레포트(인공삽입물 주변의 대퇴골 원위부 골절)

    목차

    Ⅰ. 서론

    Ⅱ. 문헌고찰
    1. 정의
    2. 증상
    3. 진단검사
    1) 임상소견
    2) 방사선 소견
    4. 치료 및 간호
    5. 합병증
    6. OR&IF(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개방정복내부고정술)

    Ⅲ. 자료 수집 기간 및 방법

    Ⅳ. 간호과정
    1. 건강사정
    1) 일반 정보
    2) 입원관련 정보
    3) 대상자 신체 사정
    2. 낙상위험 사정
    3. 욕창위험 사정
    4. 임상관찰; 배설&V/S
    5. 진단검사 및 영상의학검사; 혈액검사, 혈청검사, 영상학적 검사
    6. 약물정보
    7. 수술정보
    8. 수혈정보
    9. 치료 및 경과
    10. 중재적 접근을 위한 간호문제 도출
    1) 간호문제
    2) 주관적 및 객관적 자료
    11. 간호과정

    Ⅴ. 결론

    Ⅵ.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골절은 언제 어디에서나 발생할 수 있으며 발생 원인과 그에 따른 치유과정에 관련되는 요인 또한 다양하다. 뿐만 아니라 골절을 입게 되면 골절된 뼈의 날카로운 끝이 주위의 혈관, 신경, 근육을 손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빠른 초기 대응으로 합병증 예방을 막아야 한다. 따라서 이에 대한 깊이 있는 학습을 통해 골절의 다양한 증상과 합병증, 치료와 수술에 대한 지식을 보다 정확하게 학습하고 그에 따른 적절한 간호중재를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성인간호학Ⅲ 이론 시간에 배운 근골격계의 다양한 질환 중 골절에 가장 큰 흥미를 느꼈고 이에 대한 실제 임상 증상 연관성에 대한 깊이 있는 학습을 원했다. 본 간호학생은 OO대학교 서울병원 본관 9층 실습을 통해 골절 환자를 대상자로 선정하여 배운 이론을 실제 임상에 적용하여 의미있는 학습을 하고자한다.

    <중 략>

    18:41
    응급실 경유하여 입원함. 1. 의식상태: alert, 2. 유지기구: Lt. Long Leg Spint&실린더 3. Remain fluid: 무, 4. 피부상태: coccyx G2, both G1. both pitting edema(+), Lt. knee abration(넘어지면서 발생), 두어달 전부터 발생한 Lt. leg abrasion&infection 소견 있어 EB 감고 옴. Rt. arm blue는 입원전 발생(환자도 원인 모름), 5. V/S: BP 107/83mmHg, HR: 97회/분, RR: 18회/분, BT: 36.3℃.
    18:50
    버스 계단 올라가다가 왼쪽 무릎을 계단에 부딪혀 발생한 무릎 통증으로 본원 ER 내원 후 병동입원한 분으로 NRS 3점으로 좌측하지가 지속적으로 쑤시는 양상의 통증을 호소함.
    19:20
    NRS 2점으로 통증 악화 발생 없음.

    출처 : 해피캠퍼스

  • 상부위장관 출혈 간호과정(수문사 성인간호 가상사례)

    목차

    1. 간호진단
    1) 체액부족 위험성
    2) 불안

    2. 간호과정
    1) 근거자료
    2) 간호목표
    3) 간호계획(이론적 근거 포함)
    4) 간호중재
    5) 간호평가

    본문내용

    <사례; 상부 위장관 출혈 환자의 간호과정>
    1. 간호진단
    #1. 출혈과 관련된 체액 부족 위험성
    #2. 건강 상태의 변화 및 악화와 관련된 불안

    2. 간호과정
    객관적 자료
    – 대상자의 주 진단명:
    상부위장관 출혈(Upper GI bleeding)
    – 대상자는 수년간 오목가슴 통증, 복부 불편감 호소 및 지난 해 허약감, 어지러움증, 숨 가쁨 호소 후 빈혈과 십이지장 궤양 진단받음
    – 심한 상부 위장관 출혈로 응급실 통해 본원 입원함
    – CBC 검사 결과 Hb / Hct 수치가 정상치보다 낮게 측정됨
    – 검사 결과 BUN / Cr 수치가 정상 수치보다 증가되어 탈수 및 위장출혈 여부 확인 가능
    – 피부 관찰 결과, 창백하고 차가우며 입술 건조함
    – 호흡기계 관찰 결과, 가쁘게 숨을 쉬는 모습 관찰됨
    – L-tube irrigation 결과 200ml 선홍색 혈액 채집함
    – 3개월간 PPIs와 ferrous sulfate 복용함
    – 최근 한 달 동안 체중 약 5%(4kg) 감소함
    – PRBC 2pint와 수액 주입함
    – 5일간 고용량 구강 오메프라졸(40mg bid)을 처방에 따라 투약함
    – 처방에 따라 내시경검사를 받고 레이저광응고치료 후 24시간 맑은 유동식 섭취함
    – 내시경 결과 조직검사에서 H.pylori 감염 확인됨

    간호목표

    [단기목표]
    1. 3일 이내에 대상자는 Hb 수치와 Hct 수치가 정상범위 내에 해당한다.
    2. 3일 이내에 대상자의 피부 온도, 습도, 탄력, 색깔이 정상에 해당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간경화증 간호과정 레포트(수문사 성인간호1 가상사례)

    목차

    1. 간호진단

    2. 간호과정
    1) #1. 만성질환으로 인한 면역기능 저하에 근거한 감염위험성
    2) #2. 복합적 요인(복부 둘레 증가, 황달 등) 관련된 상황적 자긍심 저하

    본문내용

    1. 간호진단
    #1. 만성질환으로 인한 면역기능 저하에 근거한 감염위험성
    #2. 복합적 요인(복부 둘레 증가, 황달 등) 관련된 상황적 자긍심 저하

    2. 간호과정
    #1. 만성질환으로 인한 면역기능 저하에 근거한 감염위험성

    영역
    근거 자료

    주관적 자료
    “지난 주에 피를 뱉어내었다.”

    객관적 자료
    – 대상자의 주 진단명:
    괴사 후 간경화증(postnecrotic cirrhosis)
    – 대상자는 HBV로 인한 간경화로 3번 입원을 한 경험이 있으며 마지막 입원 6개월 전임
    – 전신에 jaundice 관찰됨
    – 팔과 다리에 petechiae, ecchymoses, pitting edema 관찰됨
    – 복부 사정 시 복수, Caput Medusae 관찰됨

    <중 략>

    #2. 복합적 요인(복부 둘레 증가, 황달 등) 관련된 상황적 자긍심 저하

    영역
    근거 자료

    주관적 자료
    – “지난 주에 피를 뱉어내었다.“
    – “제 피부색이 이상해서 거울을 보기가 싫어요..”
    – “팔과 다리가 이 모양이라 날이 더워져도 반팔이랑 반바지를 못 입을 것 같아요.”

    객관적 자료
    – 대상자의 주 진단명:
    괴사 후 간경화증(postnecrotic cirrhosis)
    – 대상자는 HBV로 인한 간경화로 3번 입원을 한 경험이 있으며 마지막 입원 6개월 전임
    – 전신에 jaundice 관찰됨
    – 팔과 다리에 petechiae, ecchymoses, pitting edema 관찰됨
    – 복부 사정 시 복수, Caput Medusae 관찰됨
    – 총 빌리루빈치 4.9 ㎍/dl (정상수치 0.1-1.0 ㎍ /dl)
    – AST/ALT 60/76 (정상수치 40/40)

    간호진단
    #2. 복합적 요인(복부 둘레 증가, 황달 등) 관련된 상황적 자긍심 저하

    간호목표
    [단기목표]
    – 대상자는 일주일 내에 자신의 자아상에 대해 솔직하게 말로 표현한다.

    [장기목표]
    – 대상자는 한 달 내에 자신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을 이기는 방법을 이야기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저체중신생아 CASE STUDY (진단 4, 과정 2)

    목차

    I. 문헌고찰
    II. 간호력
    Ⅲ. 진단검사
    Ⅳ. 간호과정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문헌고찰

    1) 정의
    세계보건기구(WHO)에 의하면 재태 기간 37주 미만 또는 최종 월경일로부터 259일 미만에 태어난 아기를 미숙아(preterm infant) 또는 조산아라고 한다. 반면 재태 기간과 상관없이 출생 체중을 기준으로 하여 출생 체중이 2,500g 미만인 경우는 저체중 출생아(LBW, low birth weight) 출생 체중이 1,500g 미만인 경우는 극소 저체중 출생아(VLBW, very low birth weight), 그리고 출생 체중이 1,000g 미만은 경우는 초극소 저체중 출생아(ELBW, extremely low birth weight)라고 분류하기도 한다. 최근 출생 체중이 2,500g 미만이거나 재태 기간 37주 미만으로 출생한 아기를 통칭하여 이른둥이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 저출생 체중아는 미숙아나 자궁내 발육지연에 의한 부당경량아가 많다. 여기서 부당경량아란 저신장(short stature)이라고도 불리며, 같은 성별을 가진 연령의 소아의 키 정규분포 상에서 키가 3% 미만인 경우를 말한다.
    저출생 체중아 중 미숙아가 이환율이나 사망률이 높은 까닭은 호흡기의 질환, 뇌실내 출혈, 감염 등 여러 가지 미숙한 신체에서 오는 문제들 때문이다. 부당경량아들은 적량아에 비하여 사망률이 높다. 우리나라에서 1000g 미만의 초극소 저체중 출생아에서는 65~83%의 생존율을, 1500g 미만의 극소 저체중 출생아의 경우에는 80~92%의 생존율을 보이고 있고, 최근에는 의료시설 및 의료진의 치료 수준의 발전으로 1500g 미만의 극소 저체중 출생아의 경우 95%이상의 생존율을 보이는 곳도 많아졌다. 국내에서는 재태주령으로는 22주 3일, 출생 체중으로는 430g의 미숙아가 출생하여 무사히 신생아 집중 치료실에서 퇴원하였다.

    출생체중에 의한 분류
    저체중 출생아(low birth weight, LBW)
    재태기간에 상관없이 출생체중이 2500g 미만인 신생아
    극소 저체중 출생아(very low birth weight, VLBW)
    재태기간에 상관없이 출생제중이 1500g 미만인 신생아
    초극소 저체중 출생아(extremely low birth weight infant, EXBW)
    재태기간에 상관없이 출생체중이 1000g 미만인 신생아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