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c/s case study

  • A+ 성인간호학 Case Study 발작성심실상성빈맥 PSVT

    목차

    1.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3) 문헌 고찰

    2. 본론
    1) 자료수집
    (1) 대상자 간호 사정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
    (2) 대상자 사정
    (3) Chart review

    2) 간호 과정
    (1) 간호 진단 목록
    (2) 간호 과정

    3.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연구의 필요성
    발작성 심실상성 빈맥(Paroxysmal supraventricular tachycardia, PSVT)은 구조적 심질환의 유무에 관계없이 발생하는 흔한 빈맥성 부정맥으로 심실성 부정맥보다는 치명도가 낮지만 가슴 두근거림, 가슴 답답함, 호흡곤란, 흉통, 현기증, 실신 등의 증상을 유발하며 자주 재발할 경우 환자의 삶의 질을 저해한다(이누리, 2020). 대부분의 발작성 심실상성 빈맥은 회귀 기전에 의해 발생하며 고주파 전극도자절제술( Radiofrequency catheter ablation, RFCA)로 발생 원인을 정확히 감별하고 치료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이와 관련된 연구 및 논문이 현저히 적으며 원인별 효과적인 치료법과 간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발작성 심실상성 빈맥 환자들을 간호하게 될 미래의 임상 실무자들에게 학습 자료를 제공하고, 환자 및 보호자에게 요구되는 건강행위 및 간호를 효과적으로 실천하는데 발판이 되고자 한다.

    2) 연구의 목적
    본 연구는 첫째, 발작성 심실상성 빈맥의 정의, 원인, 증상 및 치료 방법에 대해 알기 위함이다. 둘째, 발작성 심실상성 빈맥 환자의 간호 문제를 파악하고 적절한 간호중재를 적용하기 위함이다. 셋째, 발작성 심실상성 빈맥 환자의 치료 후 질환 관리 간호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3) 문헌고찰

    1. 정의
    심실상부의 이소성 심박조절자에 의해 빠른 흥분이 갑자기 발생하는 상태로서, 심박동수는 150~250회/분으로 현저히 증가한다. 흥분의 회귀장애로 발생되며, 심박동수가 빨라서 P파가 T파와 겹쳐져 나타나 P파를 구별하기 어렵다. 심실상부의 이상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QRS모양은 일반적으로 정상이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 모성간호학 Case Study 자궁근종

    목차

    1. 문헌고찰

    2. 자료수집

    3. 간호과정
    1) 간호진단
    2) 간호과정

    4.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정의

    자궁근종(uterine myoma)은 자궁을 대부분 이루고 있는 평활근(smooth muscle)에 생기는 종양이며 양성질환이다. 자궁근종은 자궁 내에 발생하는 위치에 따라 점막하근종(submucosal myoma), 근층내근종(intram
    -ural myoma), 장막하근종(subserosal myo
    -ma)으로 나뉜다. 자궁근종은 여성에서 매우 흔하게 발생하는 질병이며, 35세 이상의 여성의 40~50%에서 나타난다.

    2) 원인 및 위험요인
    자궁근종의 원인은 아직 밝혀진 것이 없다. 여러 연구에서 자궁의 평활근을 이루는 세포 중 하나가 비정상적으로 증식하여 하나의 자궁근종을 이루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자궁근종을 가지고 있는 가족 구성원이 있는 경우 자궁근종의 발생 위험도가 경도로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임신 중에는 크기가 커지고 폐경 후에는 크기가 줄어드는 형태를 보이므로 여성호르몬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궁근종은 초경이 빠를수록 발생위험이 높아지고, 4~5명의 출산력이 있는 경우 미산부에 비해 70~80%의 위험도 감소가 보고되었다.

    3) 증상
    대부분의 근종은 증상이 없으나 약 20~50%에서 증상을 호소하며 종양의 수, 크기 및 위치에 따라 다양한 증상이 나타난다. 가장 일반적인 증상은 비정상 자궁출혈로 월경과다, 부정 자궁출혈을 보이며, 많은 여성에게서 이 두 가지 모두 나타난 불규칙과다월경을 경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심한 빈혈이 초래될 수 있고 빈혈을 유발하지 않더라도 다량의 월경량으로 인해 사회생활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다. 두 번째로 흔한 증상은 골반통증이며 이외에도 생리통, 성교 시 통증, 골반 압박감, 빈뇨 등이 나타날 수도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 모성간호학 Case Study 임신성 당뇨병으로 인한 유도분만

    목차

    1. 문헌고찰

    2. 자료수집

    3. 간호과정
    1) 간호진단
    2) 간호과정

    4.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임신성 당뇨병(gestational diabetes)
    (1) 정의
    임신 중기 이후 진단된 당뇨병으로, 임신 전에는 당뇨병이 분명하지 않았던 경우를 말한다. 전체 임신부의 3~4% 정도에서 발견되며, 경한 당내성, 식후 고혈당이 특징이다. 대부분 임신이 끝나면 사라지나 다음 임신 시 재발하거나 추후 제 Ⅱ형 당뇨로 발전할 수 있다.

    (2) 원인
    태아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에 의해 혈당을 낮추는 인슐린의 기능이 떨어져 세포가 포도당을 효과적으로 연소하지 못하는 인슐린 저항성(insulin resistance)이 생기면, 정상 임산부는 췌장의 보상기전으로 인슐린 저항에 대처하고 정상혈당을 유지할 수 있을 만큼 인슐린을 충분히 생산할 수 있다. 하지만 췌장이 보상기전으로써 충분히 인슐린을 생산하지 못하거나 인슐린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면 임신성 당뇨병이 발생한다. 다음 사항에 해당되는 경우, 임신성 당뇨병에 걸린 확률이 높기 때문에 임신 후 임신성 당뇨병의 발생여부를 철저히 검사해야 한다.
    ⦁30세 이상의 고령 산모
    ⦁다태 임신
    ⦁당뇨병 가족력
    ⦁과거 임신성 당뇨병 경험
    ⦁임신 전 비만(비만도 120% 이상, 80kg 이상)
    ⦁임신 중 고혈압
    ⦁거대아(4kg 이상) 출산력
    ⦁다낭성난소증후군
    ⦁요 검사에서 당이 검출되는 경우
    ⦁과거에 원인 불명의 유산, 조산, 사산을 한 경우

    (3) 진단/검사
    임신성당뇨병의 70% 정도는 증상 없이 발생하므로 모든 임부에게 산전검사와 더불어 임신성 당뇨병 여부를 확인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A+ 노인간호학 Case Study 알츠하이머치매

    목차

    1.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3) 문헌 고찰

    2. 본론
    1) 포괄적 노인사정
    2) 간호과정
    (1) 간호진단 목록
    (2) 간호과정 기록

    3.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연구의 필요성
    우리 사회는 1860년부터 2010년까지 평균 수명이 40년 증가하였으며, 2050년 60세 이상 인구는 40%를 넘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는 고령화 사회이다. 노인인구 비율은 2010년 11.0%, 2013년 12.3%, 2015년 13.1%, 2016년 13.5% 그리고 2020년은 15.7%로 예상되며, 치매 유병율도 함께 증가할 것으로 보고 있다. 독일의 경우 새로운 치매 환자의 수는 해마다 40,000명에 달하며 2050년에는 2010년에 두 배로 증가할 것으로 보고 있다(Bickel, 2014). 치매의 한 유형인 알츠하이머 치매는 퇴행성 뇌질환으로서 정신기능(판단, 감정, 기억력, 계산 등)의 일부를 상실하여 자신의 일상적․사회적 활동에 장애를 주는 질병이다. 이는 노인의 생활에 큰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질병에 대한 이해와 예방 및 추후 관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알츠하이머치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노인에게 요구되는 건강행위 및 간호를 효과적으로 실천하는데 발판이 되고자 한다.

    2) 연구의 목적
    본 연구는 첫째, 알츠하이머치매의 정의, 원인, 증상 및 치료 방법에 대해 알기 위함이다. 둘째, 알츠하이머치매의 간호 문제를 파악하고 적절한 간호중재를 적용하기 위함이다. 셋째, 알츠하이머치매의 질환 관리 간호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3) 문헌고찰
    ▶ 정의
    치매를 일으키는 가장 흔한 퇴행성 뇌질환으로 매우 서서히 발병하여 점진적으로 진행되는 경과가 특징적이다. 초기에는 주로 최근 일에 대한 기억력에서 문제를 보이다가 진행하면서 언어기능이나 판단력 등 다른 여러 인지기능의 이상을 동반하게 되다가 결국에는 모든 일상생활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지역사회사례관리 _ 알코올의존증

    목차

    1. 대상자사정 – 일반적 정보, 현재의 병력, 발달력, 가족력, 생태도, 현재상태
    2. 자료분석 – 의뢰과정, 주요문제, 환자의 요구 및 강점&취약점
    3. 사례관리목표
    4. 사례개입과정
    5. 종합평가
    6. 슈퍼바이저 의견

    본문내용

    1. 대상자 사정

    (1) 일반적 정보

    성별/나이 :
    학 력 :
    종 교 :
    월평균수입 :
    동거인수입 :
    주거 형태 :
    정보제공자 :
    M/43
    고졸
    무교
    수급비 약 30만원
    모름
    누나집
    셋째누나
    결혼상태 :
    직 업 :
    경제상태 :
    한달용돈 :
    월평균의료비 :
    의료보장 :
    등록동기:
    미혼
    무직

    약 30만원
    약 5천원
    보호1종
    누나, 매형의 권유

    (2) 현재의 병력

    31세 직장에서 동료들과의 불화로 인해 폭음하기 시작하였고, 이후로 술을 안마시면 잠이 안와 혼자서 매일 소량씩 술을 마시기 시작했다함. 33세 무렵에는 만취해서 잠에서 깨지 못해 회사에 나가지 못하는 날이 많아지면서 회사에서 권고사직 했다함. 혼자서 계속 생활하며 모아뒀던 돈을 다 쓰고 결국 C시에 있는 셋째 누나의 집으로 들어와 함께 살기 시작함. 누나와 살면서 술을 멀리하는 듯 했으나 우울하고 잠이 안온다 하며 소량씩 술마시기 시작했고 다시 폭음하고 자는 모습 관찰되어 누나와 매형의 권유로 2008년 처음 B병원 NP과에 방문하여 알코올의존, 우울증 진단받고 외래진료 받으며 술을 끊는 듯하여 정신과 진료받기를 멈추었다함. 15‘ 부터는 말수가 더욱 없어지고 사람과 눈맞춤 안되며 술마시면 폭력적인 모습으로 돌변하여 다시 B병원 NP과에 외래진료를 받았으며 입원하지는 않았다고 함. 누나가 조울증으로 NP과에 진료를 받았었고, 정신보건센터에 대해 알고 있어 매형과 누나가 센터로 방문하여 상담받고 16년 4월부터 OO정신보건센터에 등록하여 다니고 있음.

    (3) 발달력
    1) 영아 및 초기아동기
    3남 3녀중 5째 아들로 가정분만으로 태어남. 첫째, 둘째, 셋째가 모두 딸이였고 넷째부터 아들을 낳게 되면서 처음 낳은 넷째 아들에게 부모님의 관심이 집중되었었기 때문에 대상자는 부모님에게 비교적 적은 관심을 받았다고 함. 부모님이 모두 인천에서 공장일을 하며 여섯 형제를 키웠기 때문에 넉넉하지 못했던 가정환경이였고 모두 형이 쓰던 물건을 받아썼다고 함.

    출처 : 해피캠퍼스

  • 성인간호학실습 척추협착증 spinal stenosis 케이스 스터디

    목차

    1. PBL을 통한 간호사례

    2. 문헌고찰
    1) 척추관 협착증
    2) 척추유합술

    3. 진단검사
    1) 혈액 및 소변검사
    2) MRI lumbar

    4. 약물

    5. 간호과정
    1) 간호과정 #1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의 위험
    2) 간호과정 #2 수술부위와 관련된 급성통증

    6. Reference

    본문내용

    김**환자는 74세 남자환자로 퇴행성 척추 협착증으로 타병원에서 L4/L5 시술 후에도 지속되는 NRS 8점 정도의 허리통증으로 5/30 외래 통해 5/31 입원하였습니다. 대상자의 신장은 165cm에 체중 59kg으로 고혈압과 당뇨의 과거력은 없었습니다. 간호평가 욕창점수 23점, 낙상점수 15점으로 저위험군이었으며, 피부 상태 좋고 소변과 대변보는데도 문제가 없었습니다. 보호자는 따로 상주하지 않았으며, 본원에서 시행한 MRI lumber 촬영 결과 L3/4/5 stenosis 진단되었으며 입원 당일 OP 결정되었습니다.

    사정1일째인 5월 31일 입원 1일째로 금일 전신마취로 Both Transforaminal lumbar interbody fusion(양측측방요추체간유합술) L4/L5 수술 후 ClinVAC과 foley catheter insertion(12Fr), PCA IV로 가지고 병실로 돌아왔습니다. 수술 전/후 진단명은 L4/5 stenosis이었으며, 수술 직후 V/S은 T/P/R 37.1°C-80회/분-18회/분, BP 130/80mmHg, Spo2 95% 의식상태 alert하였습니다. 대상자는 허리보조기를 착용하였으며 수술 후 NRS 통증점수 8점을 호소하여 Denogan을 투여하였고 간호사로부터 통증 조절을 위해 2시간마다 PCA 버튼을 누르기를 권고하는 교육을 받았습니다.

    사정2일째인 6월 01일 입원 2일째로 V/S은 변함없으며, gas out(+)확인 되어 수술로 인한 NPO를 해제하였으며 식이 죽(연식)을 제공하였습니다. 수술 부위 oozing이나 bleeding없이 양호하였고, moter power intact로 확인하였습니다. 수술한 부위의 허리통증은 전날과 비슷한 양상인 NRS 7점으로 “수술 부위 아파 죽겠지만 이 정도 통증은 참아 볼래요. 평소에도 통증은 잘 참았었거든요.”라고 호소하였고 마약성 진통제는 따로 처방된 건 없이 PCA로만 통증 조절하고 있었습니다.

    출처 : 해피캠퍼스

  •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 스터디/ 간호진단 3개, 간호과정 2개/ 1. 수술과 관련된 급성통증, 2. 부동과 관련된 피부 통합성 장애의 위험

    목차

    Ⅰ. 서론
    1. 연구목적
    2. 문헌고찰
    1) 골절과 폐쇄성 대퇴골 전자간 골절의 정의
    2) 증상
    3) 원인
    4) 진단
    5) 검사
    6) 치료
    7) 경과
    8) 합병증

    Ⅱ. 간호과정
    1. 간호사정
    1-1. 일반적 사항
    1-2. NANDA의 분류체계에 의한 간호 사정도구
    1-3. 신체 사정
    1-4. 검사결과
    1-5. 영상검사결과
    1-6. 투약
    2. 간호진단
    2-1. 간호문제 list 작성
    2-2. 우선순위 점수표
    2-3. 간호과정 적용(간호계획- 간호수행- 간호평가)
    \
    Ⅲ. 결론 및 소감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연구목적
    간호간병통합병동에는 보호자나 간병인을 구하기 어려운 노인대상자가 대다수였다. 특히, 노인대상자 중에서 무릎관절증이나 골관절증, 골절 등 OS 환자가 가장 많았다.
    골절은 뼈나 골단판 또는 관절면의 연속성이 완전 혹은 불완전하게 소실된 상태를 말하며, 대개의 경우 외부의 힘에 의하여 발생한다. 뼈의 주변에 있는 연부 조직이나 장기들의 손상도 흔히 동반된다. 노인의 경우 뼈가 약하기 때문에 골절상을 당하는 경우가 흔하다.
    골절상을 입은 대상자들은 65세 이상이었으며 일을 하거나 일상생활을 하다가 넘어져 극심한 통증으로 인해 내원했다. 많은 노인들은 골다공증으로 인해 뼈가 약해져 있기 때문에 엉덩방아만 찧어도 쉽게 골절이 발생한다. 노인 골절은 부위에 따라 심각성이 달라지는데 손목, 척추, 고관절의 골절이 가장 많이 발생한다. 손목, 척추골절은 비교적 빠른 시일 내에 치료가 가능하지만 고관절 골절은 치료가 까다로운 편이라고 한다.
    노인골절은 여생을 좌우하는 중요한 질병이기도 하면서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질병이므로 폐쇄성 대퇴골 전자 간 골절을 case study주제로 선정해보았다. 폐쇄성 대퇴골 전자간 골절은 무엇인지와 간호과정에는 어떤 것이 있는 지에 대해 서술할 예정이다.

    2. 문헌고찰

    1) 정의

    ①골절
    – 외부적 힘에 의하여 골 조직의 연속성이 파괴된 상태이다.
    – 골절로 인한 손상의 범위는 경미한 근염좌에서부터 심한 골절로 인해 불구를 야기하는 것까지 다양하다.
    – 골절의 원인은 자동차 사고, 낙상, 구타, 뒤틀림, 기계에 눌리는 압축 손상 또는 병리적 골절이다. 대개의 경우 외부의 힘에 의하여 발생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흉막삼출, 심방세동 case study

    목차

    1) 문헌고찰

    2) 사례 보고
    Ⅰ. 대상자 사정
    1. 대상자 간호력
    2. 신체사정
    3. 진단적 검사와 결과 해석
    4. 사용 약물 등
    Ⅱ. 대상자의 상태에 대한 요약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

    ∎심방세동(Atrial fibrillation)
    (1) 정의
    심방 세동은 심방의 수축이 소실되어 불규칙하게 수축하는 상태로, 부정맥의 일종입니다.

    (2) 원인
    심방 세동은 대부분 승모판 질환과 같은 판막 질환, 관상동맥 질환, 고혈압성 심질환, 비후성 혹은 확장성 심근증(심부전증), 선천성 심질환 등의 기질적인 심장 질환과 동반됩니다. 갑상선기능항진증이나 만성 폐 질환과 동반되기도 합니다. 수술 후에 일시적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심방 세동은 심장에 구조적인 이상이나 병이 없는 사람에게도 잘 발생합니다. 특히 연령이 증가하면서 발생 빈도가 증가하여, 60세 이상은 1~2%가 이 질환을 갖고 있습니다.
    심방 세동은 술과 관련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음주 당일 저녁 혹은 다음 날에 자주 발생합니다. 이러한 경우 음주를 끊어 심방 세동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중 략>

    – 진단명: pleural effusion(흉막삼출)
    – 2022.09.20. PCD(경피적 배액술) : USG guided right lung PCD cathether insertion was done
    – 2022.09.20. CT Chest Angio : Small amount of pericardial effusion
    – 2022.09.21. 페인리스정 약 투여
    – 라식스 약물 투여(이뇨제)
    – NRS 측정
    – Vital 측정

    이론적 근거

    1. PCA(자가통증조절장치)의 사용 방법에 대하여 설명함으로써 환자 스스로가 통증을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통증에 대하여 자가간호가 가능하다.

    2. 통증점수를 측정하여 대상자의 상태에 따라 중재를 제공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 IVH 뇌실내출혈 case study

    목차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문헌고찰

    Ⅱ. 본 론
    1. 간호사정
    1) 주관적 자료
    (1) 개인정보
    Ⓐ 입원동기 및 입원경로
    Ⓑ 입원시 상태
    (2) 간호력 사정
    Ⓐ 기본 욕구 사정
    Ⓑ 과거 건강력 사정
    2) 객관적 자료
    (1) 신체 검진
    (2) 검사 소견
    (3) 의학적 치료 계획
    내과적 치료(식이요법, 약물요법 등)
    외과적 치료
    특수 치료 요법
    2. Problem List : 간호진단
    3. 간호과정 적용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뇌는 우리 신체의 가장 중심이 되는 곳이다. 뇌는 척수와 더불어 중추신경계를 이루고 있는 신경계의 중추이고 운동, 감각, 언어, 기억 및 고위 정신기능을 수행하고 항상성 유지, 신체대사 조절 등 생존에 필요한 환경을 유지한다.
    30대 이상 성인의 사망원인 중 큰 비중을 차지하는 뇌졸중 대표적인 질환인 뇌출혈 중 한 종류이다.
    뇌출혈은 증상이 갑자기 나타나고 사망에 이를 수도 있는 매우 위험한 상태이지만 질병이 발생하고서도 빠른 치료를 한다면 사망 등의 극단적인 결과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응급처치와 함께 정확한 진단과 그에 대한 처치기술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간호사례 연구를 통해 이러한 증상이 발생했을 때 대처하는 방법과 전반적인 뇌출혈에 대한 공부를 하기 위해 이 사례를 선택하였다.

    2. 문헌고찰
    ● 뇌실의 구조와 기능
    [위치]
    – 가장 큰 뇌실인 측뇌실은 제3뇌실과 연결되어 대뇌 반구가 나눠지는 부분에 위치함
    – 제3뇌실과 제4뇌실은 중뇌수도를 통해 연결되어 뇌줄기의 중간에 제4뇌실이 위치함

    [구조]
    – 뇌실은 좌우에 위치한 측뇌실, 제3뇌실, 제4뇌실로 이루어져 있음
    – 4개의 뇌실들은 서로 교통하고 있고, 각 뇌실에는 맥락총이 있어 뇌척수액은 생산함
    – 좌우의 대뇌반구 속에 측뇌실이 있으며, 사이뇌 사이의 좁은 빈 공간으로 제3뇌실이 이어져 있음
    – 측뇌실은 이마엽 안의 전각, 마루엽 안의 중심부, 뒤통수엽 안의 후각 및 관자엽 안의 하각 등 4부로 구성됨
    – 중간뇌 안의 중뇌수도를 통해 제3뇌실과 제4뇌실이 연결됨
    – 제4뇌실은 다리뇌와 숨뇌의 등부분과 소뇌의 아래 부분으로 둘러싸인 공간임
    – 아래쪽으로 척수의 중심관과 이어져 전체 척수와 연결됨
    – 뇌실의 내면은 뇌실막 세포로 덮여 있음

    출처 : 해피캠퍼스

  • 여성실습 제왕절개 case study

    목차

    Ⅰ. 사례선정 이유
    -사례에 대한 자신의 관심 및 계기를 기술

    Ⅱ. 문헌고찰
    1. 정의
    2. 병태생리, 원인
    3. 증상
    4. 진단
    5. 치료
    6. 간호

    Ⅲ. 간호과정

    Ⅳ. 실습소감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정의
    ∎제왕절개
    제왕절개 분만은 산모의 복부를 절개한 후 자궁을 절개하고 태아를 분만하는 수술법이다. 제왕절개 분만(cesarean delivery)은 로마시대의 케사르(Cesar)가 산모의 배를 가른 후 꺼내졌다 하여 붙여진 용어라는 설도 있으나, 이는 근거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제왕절개 분만율은 국내의 경우 최근 수년간 35~40% 수준이다. 미국의 경우, 제왕절개 분만율은 32% 정도이며, 85% 이상의 경우에서 이전 제왕절개 수술력, 난산, 태아 곤란, 태아의 위치 이상으로 수술하게 된다.

    2. 병태생리, 원인
    수술 방법 및 소아 치료의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제왕절개 분만이 산모와 아기 모두에게 더욱 안전해졌다. 산부인과 의사들이 분만의 지연에 의한 난산보다 더 건강한 아기를 분만하는 데에 제왕절개 분만이 더 유리하다고 인식하게 되었다. 분만진통 중 태아감시 장치의 발달로 질식분만에서 ‘아두골반불균형’이나 ‘진행장애’를 찾아낼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산과적 발전으로 산모와 아기의 건강은 더욱 안전하게 되었따. 산부인과 의사와 부모들의 강력한 지지에 의해 출산교육은 더욱 발전하였다. 대수술이라는 면에서 보면, 제왕절개 분만이 자연분만에서 보다 합병증이 더 많지는 않다. 가족센터의 궁극적인 목적이 산모와 아기의 건강이므로 이 목적을 이루기 위한 분만의 적절한 방법 선택이 산모와 아기의 건강에 중요하다.

    3. 증상 (적응증)
    (1) 모체와 태아측 요인
    : 난산(아두골반 불균형, 유도분만 실패, 자궁기능 부전 등)
    (2) 모체측 요인
    – 모체질병: 중증 심장병, 고혈압성 질환, 당뇨병, 자궁경부암
    – 중증감염: 음부포진, 활동성 병소
    – 과거에 제왕절개 분만을 했을 경우
    – 자궁수술의 경험이 있을 경우
    – 난소종양이나 섬유종으로 인한 산도 폐쇄
    – 35세 이상의 노초산부나 오랜 불임 산부
    (3) 태아측 요인
    – 태아질식(제대탈출, 심한 태반기능부전)
    – 횡위, 둔위
    – 다태아(선진부가 둔위인 경우)
    (4) 태반 요인
    – 전치태반, 태반 조기박리

    4. 진단 (제왕절개 유형)
    *수술 전 진단 절차
    (1) 소변검사
    대사기능 및 신장 기능을 사정하기 위하여 시행함

    출처 : 해피캠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