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모성간호학 Case Study 임신성 당뇨병으로 인한 유도분만

목차

1. 문헌고찰

2. 자료수집

3. 간호과정
1) 간호진단
2) 간호과정

4.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임신성 당뇨병(gestational diabetes)
(1) 정의
임신 중기 이후 진단된 당뇨병으로, 임신 전에는 당뇨병이 분명하지 않았던 경우를 말한다. 전체 임신부의 3~4% 정도에서 발견되며, 경한 당내성, 식후 고혈당이 특징이다. 대부분 임신이 끝나면 사라지나 다음 임신 시 재발하거나 추후 제 Ⅱ형 당뇨로 발전할 수 있다.

(2) 원인
태아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에 의해 혈당을 낮추는 인슐린의 기능이 떨어져 세포가 포도당을 효과적으로 연소하지 못하는 인슐린 저항성(insulin resistance)이 생기면, 정상 임산부는 췌장의 보상기전으로 인슐린 저항에 대처하고 정상혈당을 유지할 수 있을 만큼 인슐린을 충분히 생산할 수 있다. 하지만 췌장이 보상기전으로써 충분히 인슐린을 생산하지 못하거나 인슐린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면 임신성 당뇨병이 발생한다. 다음 사항에 해당되는 경우, 임신성 당뇨병에 걸린 확률이 높기 때문에 임신 후 임신성 당뇨병의 발생여부를 철저히 검사해야 한다.
⦁30세 이상의 고령 산모
⦁다태 임신
⦁당뇨병 가족력
⦁과거 임신성 당뇨병 경험
⦁임신 전 비만(비만도 120% 이상, 80kg 이상)
⦁임신 중 고혈압
⦁거대아(4kg 이상) 출산력
⦁다낭성난소증후군
⦁요 검사에서 당이 검출되는 경우
⦁과거에 원인 불명의 유산, 조산, 사산을 한 경우

(3) 진단/검사
임신성당뇨병의 70% 정도는 증상 없이 발생하므로 모든 임부에게 산전검사와 더불어 임신성 당뇨병 여부를 확인한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