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간호사례 보고서 요로감염(UTI)

목차

I. 질병기술

II. 일반적 사항

III. 병력
III-2. 과거력(과거의 건강 문제)

Ⅳ. 간호력 및 신체검진
Ⅳ-1. 간호력
Ⅳ-2. 신체 사정

Ⅴ. 임상검사 및 진단검사

Ⅵ. 약물

Ⅷ. 간호과정

IX. 참고문헌

본문내용

요로감염(UTI, urinary tract infection)
1. 병태생리
1) 정의
① 요로감염(Urinary tract infection)
신생아나 영유아 요로감염은 신생아(출생 후 28일 이내)나 영유아(1~2세)에서 발생하는 요로계통의 감염을 의미한다.
주로 세균에 의해 야기되며 대장균이 가장 흔한 감염 원인균이지만, 기타 세균도 감염의 원인이 될 수 있다. 감염은 비뇨관을 통해 방광으로 진입하고, 감염이 심해지면 방광 내부를 침범하여 염증을 일으킨다. 영유아의 경우, 요로계통이 아직 성장 중이며 발달되지 않았기 때문에 성인보다 더 쉽게 감염이 발생할 수 있다.
신생아의 경우, 요로감염은 생후 초기에 발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출생 시 비뇨관에 있는 세균이나 기타 감염 원인체가 원인이 될 수 있다. 조기 진단과 치료가 중요하며, 합병증 예방을 위한 빠른 대응이 필요하다.
복구할 수 없는 요로 이상이 있지 않는 한, 적절한 치료를 받는 소아가 신부전에 걸리는 경우는 드물다. 그러나 반복적인 UTI, 중증의 방광요관역류(Vesicoureteral reflux; VUR)를 앓는 소아에서 반복적인 UTI는 신장 반흔을 야기하는 것으로 간주되며, 이는 고혈압과 만성 신장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

2) 원인
① 세균 감염
대장균은 신생아와 영유아의 요로감염의 가장 흔한 원인균이며 신생아의 경우, 출생 시 비뇨관에 있는 세균, 기타 감염 원인체가 원인이 될 수 있다.

② 비뇨기관의 불완전한 발달
비뇨기관이 완전히 발달하지 않았기 때문에 감염에 취약하다. 요로관의 길이나 구조적인 특성 때문에 세균이나 감염 원인체가 쉽게 침입할 수 있다.

출처 : 해피캠퍼스

코멘트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